-
-
사연 없는 단어는 없다 - 읽기만 해도 어휘력이 늘고 말과 글에 깊이가 더해지는 책
장인용 지음 / 그래도봄 / 2025년 2월
평점 :
30여 년간 인문 및 과학 분야의 출판인으로, 이제는 일선에서 물러나 쓰는 일에 몰두하고 있는 저자 장인용의 인문학적 탐색이 돋보이는 책 《사연 없는 단어는 없다》가 출간되었다. 저자는 단어의 어원과 역사, 문화적 맥락을 탐구하며 우리가 사용하는 단어들의 실제 의미와 쓰임, 그 속에 담긴 이야기를 흥미롭게 풀어낸다.
총 7부로 구성된 이 책에서 특히 눈여겨볼 내용은, ‘단지(團地)’ 혹은 ‘고수부지(高水敷地)’나 ‘경제’와 ‘사회’처럼 일본이 번역한 한자어를 살펴 그에 담긴 이야기를 통해 언어의 변화와 융합 과정을 탐구한 부분이다. 또 한자어에서 유래한 말의 유래와 다른 어원 책에서 만나기 힘든 나무, 물고기, 채소, 과일의 이름에 얽힌 비밀, 지명과 종교 용어의 유래, 동음이의어나 첩어에서 찾는 흥미로운 언어적 단서를 만날 수 있다.
세상의 모든 것에는 시작이 있듯, 우리가 쓰는 말도 거슬러 올라가면 시작이 있을 것이다. 단어의 본질을 탐구하는 여정은 말에 새겨진 과거의 흔적을 찾는 일이기에 옛날이야기 같은 재미가 있다. 말에 관한 지식을 얻을 수 있기에 정확한 어휘 구사에도 도움이 된다. 문해력, 어휘력, 나아가 표현력을 높이는 데 유용하다. 우리는 국어로 쓰인 텍스트를 통해 지식과 문명, 역사, 문학을 배우고 소통하며 살아간다. 단어의 어원을 알 때 비로소 그 의미를 더 깊이 이해하고 세상을 보는 시야를 넓힐 수 있다. 모쪼록 이 책을 통해 단어의 뜻과 쓰임을 제대로 이해하고 우리 삶에 교양이 더해지는 즐거움을 느껴보기 바란다.
<인터넷 알라딘 제공>
‘경제’는 본래 ‘세상을 올바르게 해서 백성을 구하다’라는 계몽적인 성격을 지닌 말이다. 홍만선은 무지한 백성을 올바르게 가르쳐서 세상을 잘 살게 하겠다는 뜻으로 이 책을 지었다. 그렇다면 ‘경제’는 왜 이렇게 뜻이 달라졌을까? 바로 일본인들이 서구의 용어를 옮기면서 ‘이코노미 (Economy)’를 ‘경제’로 번역했기 때문이다. 그러면서 이 단어가 내포하던 전통적인 유교의 개념들은 없어지고, 서양 언어의 개념들만 남게 되었다. 세상이 바뀌면 말도 따라 바뀐다. 말을 시대에 따라 다른 뜻으로 쓰기 시작하면 금세 옛 뜻은 사라지고 만다. p21
우리는 ‘줏대 없이 허튼 행동을 하는 것’을 일러 ‘주책맞다’라고 한다. 남들이 나더러 주책이라 하는 것이 좋을 리 없다. 그러나 사전을 찾아보면 ‘일정하게 자리 잡은 주장이나 판단력’이란 풀이가 가장 먼저 나온다. 부정적인 말이 아니라 바람직한 상태를 이르는 것이다. ‘주책’의 본래 말은 ‘주착(主着)’이고 여기서 ‘착’은 ‘도착(到着)’과 마찬가지로 ‘~하고 있음’의 뜻이니 이 풀이가 수긍이 간다. 그런데 긍정적인 의미로는 거의 쓰지 않고 ‘주책을 부리다’나 ‘주책바가지’란 표현으로만 쓴다. ‘하는 일이 반듯하고 야무지다’라는 뜻의 ‘칠칠하다’도 역시 부정적인 어휘인 ‘않다’ 또는 ‘못하다’와 결합하다가 본래의 긍정적인 뜻이 역전되고 있는 듯하다.
이처럼 뜻이 좋은 단어도 ‘없다’, ‘아니다’, ‘못하다’, ‘모르다’와 같은 부정적인 서술형과 주로 결합하다 보면 뜻이 역전되는 경우가 많다. 부정적인 서술이 생략되어도 그 어감이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이다. 착한 사람도 못된 사람과 노상 같이 있으면 못된 사람이 착해지는 것보다 착한 사람이 못되게 변하기 쉬운 법이다. p72
‘재미’, ‘맛’, ‘멋’이 모두 같은 뜻이었다는 사실은 인간의 삶이 본디 그리 복잡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일깨운다. 결국 사람에게는 먹는 것이 우선이고, 또 잘 먹으려면 맛이 있어야 한다. 그런 다음에 그것이 풍족해지면 놀이나 예술로 발전해 나간다. 어찌 보면 재미와 맛과 멋이 우리 인생과 행복의 거의 전부일 수 있다. 그래서 숱한 ‘~없다’란 말이 있어도 ‘재미있다’, ‘맛있다’, ‘멋있다’의 쓰임을 이겨내지 못하는 것 같기도 하다. p101
명사에도 토박이말 같은 한자에서 유래한 단어들이 꽤 있다. ‘피리’는 ‘필률(觱篥)’이란 한자어에서 유래한 악기 이름이고, ‘낙지’는 ‘락제(絡蹄)’에서 비롯한 이름이다. ‘비단’은 ‘필단(匹段)’이 변해서 생긴 말이고, ‘마고자’는 ‘마괘자(馬掛子)’에서 나온 말이다. 부부 사이를 뜻하는 ‘금실’은 ‘금슬(琴瑟)’에서 온 것이고, 가을에 열리는 ‘대추’는 ‘대조(大棗)’에서 유래했다. 책상이나 가구에 달린 ‘서랍’은 한자어로 ‘혀처럼 넣었다 빼었다 할 수 있는 상자’라는 뜻의 ‘설합(舌盒)’이 변한 것이고, 법랑이나 알루미늄으로 만든 그릇을 ‘양재기’라 부르는 것은 ‘서양에서 건너온 자기 그릇’이란 뜻의 ‘양자기(洋磁器)’가 변한 말이고, ‘절구’는 한자어 ‘저구(杵臼)’가 변한 말이다. 이렇듯 한자어에서 유래한 우리말은 끝이 없을 정도로 많다. 이 가운데 음이 변한 것은 이미 완전하게 우리말로 귀화했다고 쳐도 좋다. 그래서 이런 단어들은 국어사전에도 괄호로 한자를 표기하지 않는다. p235
그림과 조각이나 조소, 도자기나목기 같은 공예 등 여러 시각적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법이 있는데 동양에서는 이것들이 한 분야라는 인식이 거의 없었다. 가령 그림 하나만 봐도 붓으로 멋진 글씨를 쓰는 문인이 그린 문인화와 화공이 그린 그림은 다르자고 구분할 정도였다. 조각은 또 다른 분야였고, 도자기는 도공이, 목기는 장인이 만드는 완전히 다른 분야였다. 이런 복합적인 개념인 '아트(ART)'를 번역하기 위해 일본인들은 '미술(美術)'이란 두 두글자 단어로 표현했다. 우리나라에서는 '미술'이란 용어가 1884년 <한성순보>에 처음 나온다. P270
살다보니 이런날도 있다.
아침 일찍출근하는는 김씨 덕(?)에 평소 늦게 잠들고 아침잠 많은 나지만
새벽에 일어나 아침식사 준비를 한다.
이런 상황이라 주말에야 늦잠을 자고 아점을 먹곤했는데
아침에 일어나니 김씨가 없다.
어제 주말에 출근한다는 얘기 없었는데
더 자라고 일부러 얘기 안하고 출근했다는 전갈...
호밀빵과 계란, 따뜻한 커피 한잔으로
여유있는 아침을 보내고
책도 읽고 블로그에 포스팅도 하는 평소와 다른 주말 풍경....
읽기만 해도 어휘력이 늘고 말과 글에 깊이가 더해지는 책
'사연없는 단어는 없다'
점점 말하고 글을 쓸때 적당한 단어가 생각나지않아
어버버~하는 상황에 제목에 끌려 구입한 책으로
흥미로운 단어들이 눈에 띄인다.
마누라
어감상 별로 존칭 같아 보이지 않는 '마누라'는 어원을 따지고 올라가면
'마노라'에서 유래했는데, 이는 왕이나 왕비 같은 왕족에게 쓰던 존칭어라고 한다.
그러니 존칭어 가운데 극존칭이고, 남녀를 가리지 않고 쓰던 것이
어쩌다 여성 배우자를 지칭하는 말이 되었다는 것이다.
책 초반에 가족을 지칭하는 단어들의 사연(?)이 펼쳐진다.
평소 '마누라'라는 단어가 왠지 싫었던 터에
왕이나 왕비같은 왕족에게 쓰던 존칭이었다니
마음을 바꾸지 않을 수 없었다.
김씨 휴대폰에도 날 '마눌'이라 저장해 놓았는데
결국 '왕비'라 생각하니 슬며시 웃음이 나오기도. ^^;
음식이름들의 사연도 재미나다.
조기와 굴비, 명태와 북어의 유래를 읽으며
저녁걱정을 하는 난 구제불능이다.
오늘 저녁메뉴는 너로 정했다.
조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