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카페이스
아미티지 트레일 외 지음, 정탄 옮김 / 끌림 / 2008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그들은 말을 쏘았다>와 <스카 페이스>는 동명의 영화가 원작으로 탄생되었으며, 철저히 미국적이라는 것이 과연 어떤 것인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작품들이다. 초창기 아메리칸 갱스터 무비는 우리에게 익숙하지만 소설은 그다지 친숙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이번 기회에 새롭게 만나본 두 작품은 영화의 원작이 되기에 부족함이 없는 소설들이다. 범죄 영화의 전범으로 꼽히는 <대부>시리즈나 <스카 페이스>는 20세기 초반이라는 시대적 상황을 배경으로 자본주의의 절정을 치닫고 있을 무렵, 세계의 중심 미국의 암흑가라는 무대를 장악해나가는 갱들의 모습을 사실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한때나마 궁금했던 것은, 미국은 왜 그토록 범죄자들을 좋아하는가? 라는 아리송한 문제였다. 수입되는 미국 영화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범죄 영화나 드라마는 단지 오락성만 짙음에도 그토록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잔인한 오락, 상업적인 재미만 따지기에 묘하게도 중동석이 강하다. 그 이유는 소수의 권력자가 지배하는 자본주의 세상에서 결코 상위 1%에 근접할 수조차 없는 일반인들이 뒷골목의 제왕이라도 되어보고 싶다는 일종의 자기투시가 아니었을까? 게다가 범죄들 중에는 다수의 의리파가 존재하고, 넥타이부대 보다 인간미가 강하게 발휘되는 경우가 허다하다. 떳떳한 불법이나 비도덕 한 합법이나 어차피 누군가의 눈에는 별다른 차이점이 없기 마련이니까. 공권력을 행사하는 부패한 정부 관료나 뒷골목 양아치가 어차피 우리에겐 매 한가지로 보일 뿐이다.
 
  <스카 페이스>의 토니는 기존의 1세대 건달과는 확연히 다른 상징성으로 자신의 세력을 넓혀간다. 구세대 갱의 전형이 고리타분하고, 촌스럽고, 투박하고, 오로지 돈에 혈안이 되어서 그 어떤 더러운 일도 마다하지 않았다면, 토니는 그러한 완력으로 모든 것을 해결하는 갱들을 증오했고, 새로운 갱의 전형을 창조해 나갔다. 말쑥하게 차려 입고 사무적인 일처리로 불가피한 폭력을 최대한 피해가는 방식의 점잖은 사업을 구사했다. 비상한 동물적 감각으로 돈맛을 알아가며 결국은 자신의 야망대로 권력의 최상층까지 도달하게 된다. 그러나 권력이 높을수록 적들은 많아지는 법. 자신의 위치를 지키며 세력을 넓혀가기가 그리 호락호락 하지는 않다. 암흑가 갱들의 세력다툼과 영역싸움, 그리고 주인공 토니가 보스가 되기까지의 일대기를 웅장하게 다루고 있는 소설 <스카 페이스>. 내 기억에 유일하게 남은 토니 ‘알 파치노’의 그 때 그 시절 모습을 새롭게 회상해 볼 수 있었다.

  대공황을 지나는 시키고, 뉴욕의 갱들의 활약을 담은 소설이 <스카 페이스>라면, <그들은 말을 쏘았다>는 비슷한 시기에 나온 새로운 전형의 소설이라고 할 수 있겠다. 프랑스에서는 최초의 미국 실존주의 소설이라는 극찬이 쏟아졌다고 하는데, 미국의 평론가들이 등을 돌린 이유는 무엇일까? 두 주인공 로버트와 글로리아는 번듯한 직업 없이 막연한 미래만을 상상하며 살아가는 젊은이들로, 우연한 기회에 만나 함께 댄스 마라톤 대회에 참가한다. 댄스 마라톤은 쉬지 않고 몸을 움직이며 춤을 춰야 하고 최후의 1팀을 가려내기 전까지는 절대 멈출 수 없는 마라톤이다. 누군가가 탈락해야만 본인들이 살아남을 수 있는 죽음의 레이스인 셈이다.

  댄스 마라톤 속에서도 모든 삶이 투영되어 있다. 돈이면 다 해결되는 물질만능주의, 상대팀이 떨어지기만을 바라는 철저하고 지독한 이기심, 관계자들의 비리와 그들의 보이지 않는 폭력, 생존자를 기다리는 처절한 더비 경주 속에서 생과 사를 넘나들던 글로리아는 반복해서 죽고 싶은 말만을 되풀이 한다. 그녀는 처음부터 잘못 태어난 것이며, 살아가는 이유가 없었다는 게 바로 오래 전부터의 그녀의 생각이다. 너무도 비관적인 사상을 가지고 있는 글로리아를 로버트는 상당히 지겨워하지만, 결국 로버트는 가련한 글로리아의 소원을 대신해서 들어주기로 결심한다. 죽고 싶은 마음은 가득하지만, 죽을 용기는 없었던 그녀에게는 더 이상 살아갈 이유가 없는 것으로 결론이 났다고 로버트는 생각한다. 마치, 모든 뇌 기능을 상실해서 안락사 당하는 한 마리의 말처럼. 비록 타락한 운명에 던져졌더라도 스스로의 운명을 끝장낼 자유는 있다는 것이 그들의 생각이었다. 무엇이 옳았는지는 그 누구도 판단할 수 없겠지만, 만일 내가 배심원이었더라면 로버트의 입장을 옹호해줬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