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인 오늘의 일본문학 6
요시다 슈이치 지음, 이영미 옮김 / 은행나무 / 2008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간에게 부여된 참혹한 선과 악의 공존은 항상 상황의 지배를 받는 듯하다. 극단적인 예로 ‘살인’을 들 수가 있는데, 누구의 잘잘못을 가리는 과정보다는 언제나 결과에 치중하여 초점이 맞춰지기 마련이기 때문에, 살인자는 항상 '악'으로 판명되고 만다. 법률과 도덕이 정해놓은 사회의 규칙이 살인을 인정하지 않기에, 살인자에게는 어떠한 변명이나 동정도 필요가 없다. 그렇다면 살인자가 살의를 느끼게 만든 원인제공자에게는 아무런 죄가 없다는 뜻일까? 법률이 인정한 신악의 딜레마란 참으로 아이러니 하다.

  요시다 슈이치의 <악인>을 읽은 독자라면 아마도 대부분 비슷한 생각을 하리라 본다. 처음부터 공개되어버린 살인자를 향해 옳다, 나쁘다, 라는 정의를 내리기보다는 그의 행적을 쫓으며 그저 물 흐르듯이 유유히 흘러가는 상황의 안타까움을 느꼈다. 그저 그런 도시에서 살아가는 그저 그런 인생들의 3류 이야기. 얽히고 얽힌 사람들이 떠들어대는 저마다의 사연들. 때로는 눈물겹게 안타까우면서도, 한 편으론 이해 할 수 없는 사상을 지닌 자들에게는 그렇게 밖에 살 수 없는 걸까, 라는 냉소가 스멀스멀 피어올라와 은근히 부아가 치밀어 오르기도 했다. 누구나 악한 면과 선한 면은 동시에 지니고 있다. 남에게 폐를 끼치면서까지 자신의 이득을 취한다면 달리 말할 필요도 없는 '악인'이란 정의에 부합될 것이다. 본서에서 정의 내리고자 하는 주인공이 실제 악인이 아니었다는 사실이 못내 가슴 아플 뿐이다.

  이야기는 어느 평범한 여자가 교살로 살해 되면서 시작된다. 살해 된 채 인적이 드문 고갯길에 버려진 ‘요시노’를 둘러싸고 그녀의 주변을 찬찬히, 마치 카메라가 훑는 듯이 한 사람, 한 사람이 모습을 드러낸다. 저마다의 사연을 간직한 채……. 허영에 들떠 싸구려 인생을 살기는 했으나 요시노 역시 누군가의 소중한 가족이고 친구였다. 철딱서니 없이 설쳐 대다가 억울한 죽음을 당했다고 탄식해봤자 이제는 들어줄 상대조차 없는 외로운 신세가 되어버렸다. 사실은 그녀도, 유이치도, 깊숙이 숨겨져 있던 자신의 상처를 드러내고 싶지 않았고, 누군가에게 소중한 존재이고 싶었을 뿐이다. 누구나가 그러하듯이…….

  실타래처럼 얽인 사람들의 공생관계 속에서 참다운 '나 자신'의 모습은 과연 무엇이었는가? 라는 물음을 던져주는 책이다. <악인>에서 진짜 악인이 누구였는지는 마지막까지 책을 모두 읽은 독자들만이 알 수 있다. 처음부터 범인이 누군지를 친절히 알려주고는 있지만, 중반까지는 설마,하는 의혹 속에서 긴장해야 했다. 추리 소설답게 흥미진진하게 사건을 풀어가는 형식이지만, 어쩐지 <악인>은 재미보다는 휴머니즘을 더욱 강조한 듯 보인다. 타인에게 정의 내려지는 개인의 본성과 은밀한 내면, 들추어내면 낼수록 더욱 신비하고 아리송한 인간의 마음들. 깊은 철학까지 논하지 않더라도 <악인>을 통해 가슴 깊이 요동치는 깊고 깊은 인간이라는 심연 속으로 들어가 볼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