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의 집
전경린 지음 / 열림원 / 2007년 12월
평점 :
절판


  부모로부터 자식에게 전가되는 책임의 무게는 막중하다. 아직 부모가 되어보지 못해 부모의 심정을 100% 이해할 수는 없다. 다만 나는 내 부모님의 딸이기에 전적으로 자식의 입장에서 이 글을 서술할 수는 있다. <엄마의 집>에 등장하는 미스 엔의 의젓한 딸 호은과 나는 놀랄 만큼 비슷한 입장으로, 부모가 이혼 한 가정의 딸이라면 대부분 겪는 극심한 정신적 타격과 사회적 불이익까지 감당해야 했다. 부모가 이혼한 경우 대부분의 딸은 다소간의 애정 결핍을 보이고, 누군가에게 내색하지 못하는 혼자만의 성에 갇혀버리게 된다. 엄마에게도 속하지 않고, 아빠에게도 속하지 못하는 어정쩡한 중립의 입장. 또래에 비해 상당히 조숙한 정신세계를 지니게 되고, 힘겨운 아르바이트로 어린 나이에 물질이 주는 풍요와 아늑함을 동경하게 됨은 물론이다. 아버지가 무능한 경우 상황은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농후하다.

  <엄마의 집>은 마치 우리집 앨범을 들춰보는 듯 적나라해서 소름이 돋을 정도였다. 이런 특이한 케이스의 가정에서 자라는 아이일 경우, 대다수 일탈 혹은 타락의 나락으로 빠질 수도 있으나, 또 어떤 식으로 보면 그 반대라고 볼 수도 있다. 상황이 본인을 지배 해 버리는, 옴짝달싹 할 수도 없는 가혹한 운명 속에서 아무리 빠져 나오려고 발버둥쳐도 결국은 제자리 걸음 뿐인 막다른 골목길 같은 삶들. 상황에 지배되지 않기 위해 상황을 지배할 수밖에 없는 노력은 <엄마의 집>에서 호은이 보여준 용기이고 삶의 원동력이 된다. '생은 시어 빠진 레몬 따위를 줄 뿐이지만, 나는 그것으로 레모네이드를 만들 것이다.' 운명에 수긍한 채 날개 빠진 채로 살기 보다는 조금 더 타당하고 조화롭게, 그리고 아름답게 생을 조리해야 하는 법을 배운다.

  어린 시절, 가출한 엄마를 시작으로 '호은'의 삶은 격변하기 시작한다. 그러나 엄마는 자신을 버린 것이 아니라 둘이서 더 잘 살기 위해, 자신들의 집을 갖기 위해 동분서주하며 힘들기만 한 시간들을 채워간다. 오직 딸과의 재회라는 결과만을 노리면서 말이다. <엄마의 집>은 소위 말하는 안정적인 가정의 범주에서 벗어난 두 모녀의 이야기다. 아직도 시대를 탓하며 자신의 무능을 정당화하는 고집불통 아버지로 인해 어머니는 가난이라는 벽과 평생을 마주봐야 했다. 그런 아버지를 증오하는 동시에 동정하는 딸 호은, 그녀는 오히려 아버지에게서 냉정히 떠나가 가정을 파괴해 버린 엄마라는 존재를 더 증오하고 있었을지도 모르겠다. 그러나 호은이 느끼는 증오의 원천은 그리움이었고, 사랑이라 불렸던 표현의 다른 이름이었다. 결국은 서로의 존재를 찾게 되고 인정하며, 또 이해하게 되는, 핏줄이라는 어쩔 수 없는 연결의 고리가 끝내는 눈물겹다. 그리고 몹시 잔인하다.

  '집'에서 벗어나고 싶었던 가족들. 기존의 '집'을 파괴해 새롭게 잉태된 또 다른 '집'은 과연 누구에게 휴식을 준 것일까? 관계라는 것이 참으로 복잡하고 어렵다. 한때는 이 세상에서 내가 가장 힘들고, 또 초라하고 가엽게 느껴지다가도 돌이켜보면 나보다 더 힘들고 고통을 겪었던 또 다른 사람을 볼 수 있게 된다. 무조건적인 사랑을 베풀기 위해 더 많은 것을 버리고 포기해야 했던 엄마라는 큰 이름이 있었다. 한 걸음씩 가까워져 보면 서로를 이해하게 되고, 세상을 조금 더 밝은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다. <엄마의 집>을 통해, '나'란 아이의 의미, 엄마의 의미, 그리고 가정이라는 의미를 곱씹어 보았다.

평범한 듯 보이지만 결코 평범하지 않는 누군가의 집을 엿본 소감은? 당연히 진부한 듯 보이지만, 소소한 희망과 감동을 느낀다. 가족이라는 완전체가 지리멸렬하게도 내 삶을 잡아끄는 이상, 촌스러운 자존심과 멍에 따위는 깨끗이 잊어야 할 것이다. 다만 이해와 타협으로 혹은 존중으로 나와 익숙한 타자들에게 관심을 가져야 한다. '이해하는 한 아픔은 폭력이 아니다. 그것은 우리가 받아들여 성숙해야 하는 순리인 것이다.' 나는 지금 독자의 입장에서가 아닌, 어느 불안정한 가정의 딸로서 이 글을 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