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흐를 만나다
빈센트 반 고흐 그림, 메릴린 챈들러 맥엔타이어 시, 문지혁 옮김, 노경실 글 / 가치창조 / 2007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고흐의 눈은 참 슬프다. 회색 모자도, 가난한 농부들도, 태양의 희망을 상징하는 해바라기의 노란색도 나에겐 슬프다. 처절하게 고독했던 옐로우 하우스도, 고갱과 함께 마셨던 압생트도, 말라비틀어진 빵조각도 모두 모두 슬플 따름이다.

  왜 이렇게 슬픈 걸까? 고흐의 그림들을 보면 가뜩이나 슬픈데, 맥엔타이어의 시와 함께 그림을 보니, 슬프다 못해 처절하기까지 하다. 고흐의 그림을 보며, 그 그림을 그리고 있는 고흐를 상상하고, 그를 둘러싼 주변의 풍경과 사람들을 떠 올려본다. 그의 고독이 바로 내 코앞에 다가왔다는 착각을 일깨우고서야 묘한 환상에서 깨어난다.


  ※ 고흐의 그림과 멕엔타이어의 시

  이런 저런 이유를 대며 고흐의 그림을 사랑하는 사람을 많이 보아왔지만, 이상하게도 고흐의 그림을 싫어하는 사람은  한 번도 보지 못했다. 고흐의 그림에는 사람의 마음을 요동치게 만드는 힘이 있고, 난 그의 파워를 믿는다. 신봉한다는 말이 더 알맞을지도 모르겠다. 하지만 고흐의 물감을 사랑할 수밖에 없음을, 사람들은 너무 늦게 깨달았다. 사후 100년이 지나서야 천재로 인정받은 허탈함을 그는 지금은 알고 있을까? ‘에드거 앨런 포’와 마찬가지로 그의 생전이 그러했듯 철저한 가난과 고독, 소외 속에서도 오로지 묵묵히 자신의 길을 걸어갔던 고흐의 우직함이 나는 참 좋다.

  내가 정말 좋아하는 그림, ‘밤의 카페 테라스’가 이 책의 표지로 당당하게 금빛 불을 밝히고 있다. 「고흐를 만나다」라는 제목도 너무 마음에 들고, 고흐의 흐릿한 생명이 이어져 있는 그림 옆에, 고흐에게 바치는 사랑과 존경의 찬가를 노래하고 있는 ‘시(詩)’들이 너무 아름답다. 아마도 작가는 많은 사람들이 그러하듯 고흐의 그림을 바라보며 당시 그가 거닐던 거리의 풍경과 그의 옐로우 하우스, 그리고 그림을 그리고 있는 그의 내면을 살짝 들여다보고 있었으리라. 때론 황폐하기도 하고, 때론 환각으로 어지러움을 호소하면서도 끝까지 붓을 놓을 수 없었던 인간 고흐를.

  고흐의 심장은 태양의 벗이다. 고흐가 방을 그린 이유는, 그가 강제로 휴식을 취할 수밖에 없었던 데에 대한 일종의 복수의 마음에서였다. 고흐는 그림을 그리지 않았을 때도 그림을 위해 거리를, 아를 공원을 걸었다. 오늘도 그에 대해서 몰랐던 사실을 많이 알게 되었다. 아마도 앞으로 잠들기 전, 몇 번이나 이 책을 들었다, 놓았다, 하게 될 것 같다.


  모든 게 다 잘될 것이다.
우리 손으로 바꿀 수 있는 것은 별로 없다.
세상은 사랑 안에서 돌아가는 것,
우리는 대지에 알맞고 적당한 것을 주고,
몸이 우리를 쉬라고 부를 때 순종하면 되는 것이다.
- 92p (낮잠)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