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홀리 가든
에쿠니 가오리 지음, 김난주 옮김 / (주)태일소담출판사 / 2007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여분의 것들로 가득 채워보고 싶었다는「홀리 가든」은 ‘에쿠니 가오리’ 그녀 특유의 서늘하면서도 달콤한, 오묘한 초콜릿 무스 같은 냄새들로 가득하다. 실패할지도 모를 사랑 앞에서 두려워하지 않고 당당하게 사랑을 해 나가는 주인공들을 그려보고 싶었던 것 같다. 간혹 세상에서 이방인 내지는 부적응아로 낙인찍힐지도 모를 위험을 무릅쓰고도 어쩔 수 없다는 표현으로밖에는 설명 되지 않는 그 복잡한 감정의 굴레. ‘가호’와 ‘시즈에’라는 동갑내기 절친한 친구로부터 서정적으로 보여주고 있다. 정확하게 흘러가는 줄거리의 핵심을 찌르기 보다는, 그녀의 말마따나 일상의 여분으로 가득 채워져 있는 「홀리 가든」. 오늘도 에쿠니 가오리 소설 속 주인공들은 후회할지도 모르지만 다시 사랑하라고 외쳐대는 듯하다.
‘가호’와 ‘시즈에’는 그 흔하디흔한 베스트 프렌드이다. 언제부터였는지 기억도 안 날만큼 까마득한 오랜 세월동안 늘 함께 했다. 단짝 여자 친구들이 의례 그렇듯 그녀들은 비밀이 없었고, 서로에 관한 거라면 부모나 형제보다도 더욱 자세히, 면밀히 알고 있다. 그런데 세월이 흘러가 서른 줄에 접어든 그녀들 사이엔 조금의 틈이 보이기 시작한다. 결코 균열이라고 표현할 수는 없지만, 보이지 않는 미묘한 틈이……. 그렇다. 그건 미묘한 ‘틈’이라고 할 수밖에 없다.
왜 그렇게 되었을까? 간혹 두 사람이 단둘이 만나면 껄끄럽다고 여겨질 정도의 완벽한 틈이 존재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그것은 서로를 누구보다 너무 잘 알고 있기에 가능한 일이다. 상대방의 아픔도, 상대방이 현재 무엇 때문에 힘겨워 하는지, 자신의 아픔보다 더 정확하게 느껴지기 때문에, 점점 다가갈수록 조심스럽고 어려울 수밖에 없는 거다. 여자들 사이에선 그런 확신이 존재한다. 남자친구와 여자 친구의 틀린 점이 바로 그런 것이 아닐까? 마냥 편하기만 해야 할 ‘친구’ 라는 관계 속에서도 금기시해야 하는 무언의 침묵. 그리고 침묵의 이유를 상대방이 알고 있는 것. 그것도 소름끼치도록 정확히 말이다.
“남자들이 믿을 수 없는 족속이라는 건 알아. 게다가 가족이란 애당초 거짓에서 시작되었고, 두 인간이 서로를 믿고 살아간다는 어리석음이 그 바탕에 깔려 있는 거니까. 하지만 말이야, 친구가 아니면 이 세상에서 누구를 믿을 수 있다는 거야? 내 사전에는 그렇게 쓰여 있다고.” - 168
「홀리 가든」은 단짝 여자 친구 두 명이 그들 나름대로 독특한 방식으로 살아가는 평범한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5년 전, 어느 유부남을 죽을 정도로 사랑했던 ‘가호’는 현재까지도 그 사람을 잊지 못하고 있다. 가호에게 그는 과거의 추억이 아닌, 자꾸만 시간을 거슬러 올라와 목덜미를 잡아채는 현재진행형의 사랑이다. 그런 가호를 ‘이해 못하는 척’ 하지만, 사실 시즈에는 너무도 잘 알고 있다. 현재 그녀 역시 유부남을 사랑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그녀와 비슷하게 아파하면서도 냉엄하게 꾸짖을 수 있다. 본인 역시 현재의 사랑에게 눈알이 뱅글뱅글 돌 만큼 깊이 빠져있으니까. 어차피 누군가와의 사랑은 모두 부질없고 한심하기는 마찬가지만, 세상에서 가장 행복한 그 감정을 도저히 스스로의 힘으로 깰 수가 없으니까 말이다.
「홀리 가든」에서 에쿠니 가오리는 이런 말을 하고 싶었던 것 같다. 두 여자의 과거와 현재를 보여주면서, 누구나 할 수 있는 그 ‘사랑’이란 귀중한 경험을 결코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라고. 상대방이 누가 되었든, 가령 현재 사회에서 범죄로 인식 되는 불륜이나 동성애조차도 어느 누구에게는 전부가 되기도 하며, 누군가의 눈에는 한심하게 비춰지기도 하는 것이다. 바보 같다고 욕할 지라도, 후회할 것을 뻔히 알면서도, 부득이하게 이끌려 가는 삶의 끝자락처럼, 사랑 역시 우리의 도처에 우리가 모르게 도사리고 있다.
“아무 조건 없이 그 사람을 좋아해. 내가 모르는 고장에서 태어나서, 내가 모르는 사람들과 살고, 내가 모르는 사람들을 사랑하는 세리자와를 좋아해. 난 지금의 그 사람이 아닌 그 사람을 상상할 수 없고, 지금의 내가 아닌 나를 상상할 수 없으니까. 연애라는 거, 뭐랄까 유일무이한 우연, 천문학적인 우연으로 성립되는 거라고 생각해. 그러니까 뭐가 하나라도 어긋나면, 예를 들어 좀 더 일찍 만났다든가 세리자와가 독신이라든가, 그랬으면 모든 게 달라졌을 거 아냐?” - 267
아무 조건 없이 내가 사랑하는 사람. 그 사람이 어디서 태어나 어떻게 살아왔든, 그 사람이 현재 누구와 살고 있든, 중요한 건 지금. 함께 살아가며 사랑하고 있는 바로 이 순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