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분만 더
하라다 마하 지음, 박승애 옮김 / 노블마인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애견을 키우다보면 행복하고 기쁜 반면, 아기나 나름 없는 애견들의 뒤치다꺼리에 참을 수 없을 만큼 귀찮거나 짜증이 나는 경우도 다반사이다. 이사 온 후로 개 두 마리를 마당에서 키우기 때문에 그런 경우는 사라졌지만, 일전에 살았던 아파트에서는 배변을 정해진 곳에 하지 않고 아무 곳에나 하거나, 눈에 보이는 온갖 물건들을 물어뜯는 경우엔 나도 모르게 절로 손이 올라간다. 한번은 퇴근하고 돌아온 이후 방에 있던 나의 모든 물건들을 다 꺼내서 물어뜯어 놓았기에 이성을 잃고 채벌을 가한 적이 있었다. 지금도 쓰다듬어 주려고 손을 올리면 그 때 심하게 맞았던 기억이 남아 있는지 본능적으로 먼저 몸을 움츠리는 모습에 참 가슴이 아프기도 했다.

현재 애견 두 마리를 기르고 있는데, 산책을 시킨 경우도 거의 없었다. 퇴근 후 집에 돌아오면 너무 피곤하고 시간도 없어서 물과 사료를 챙겨주고 머리를 쓰다듬어 준 후엔 잠자리에 돌아와 책을 읽다가 잠에 빠져들곤 했다. 주말에는 약속이다 뭐다 자꾸만 일이 생겨서 주말 역시 같이 놀아주거나 함께 있어준 경우가 거의 없다. 「일분만 더」의 주인공 ‘아이’를 보면서 가장 반성했던 점이 바로 이 점이다. ‘아이’는 여성 패션지 에디터로 일하는데, 그 살인적인 스케줄 속에서도 ‘리라’의 산책만은 하루 두 번씩 빠지지 않고 챙긴다. 그런데 나는 뭐지? 죽을 만큼 바쁜 것도 아니면서 귀찮다는 이유로 그렇게 좋아하는 산책 한 번 제대로 시켜 준 적이 없었다니……. 절로 고개가 숙여졌다.

원래 개를 좋아하고, 싱글인 입장에서 개를 두 마리나 기르고 있기에 「일분만 더」를 더욱 애착 있게 읽을 수 있었는지도 모르겠다. 책의 주인공의 경우와 내 경우가 기가 막히게 맞아 들어가는 것이 신기하기도 하고, 동시에 가슴 아프기도 했다. 책을 받고 하루 만에 뚝딱 읽고 난 후, 어제 밤 다짐 한 것이, ‘저녁에 퇴근 후 집에 돌아오면 무슨 일이 있어도 우리 강아지들 산책만은 반드시 시켜 주리라.’ 는 것이었다. 그래서 어제는 정말 오랜만에 우리 개를 데리고 강변으로 산책을 나갔다. 숨이 넘어 갈만큼 흥분하면서 뛰어다니는 모습에 다시 한 번 가슴 한 구석이 아파왔다.

원래 정말 소중했던 존재는 그 존재가 사라진 이후 느끼는 법이다. 부모님 돌아가시기 전에 꼭 호강시켜 드린 다는 말을 무덤 앞에서 통곡하며 떠올리는 것처럼, 무엇이든, 어떤 존재든 간에 극한의 상황에 치닫고 나서야 진정한 가치를 깨닫게 되는 것이 아닐까. ‘리라’가 암에 걸려 시한부 판정을 받고 난 후에 ‘아이’가 흘렸던 눈물처럼 추억과 함께 다가오는 나와 함께 했던 애견의 모든 것들은 일상에서는 너무 소소했기에 한참 후에나 그 가치를 깨닫는 것이다. 길 가의 작은 돌멩이, 개미, 흙, 풀, 꽃잎 같은 모든 사소한 것들의 냄새를 맡고 궁금해 하는 개들. 매일 밤 자신이 가장 사랑하는 주인이 오기만을 기다리며 우두커니 앉아 있을 그 모습이 오늘 따라 정말 눈에 많이 밟힌다.

현재 애견을 키우고 있거나, 키울 생각이 있는 분이라면 반드시 이 책을 읽어봤으면 하는 바람이다. 단지 자신의 외로움을 채우고 위해서나 오락을 위해서 키운다고 보기엔 애견을 입양하는 책임은 제법 막중하다. 애견은 우리에게 많은 것을 바라지 않는데, 우린 항상 그들에게 너무 많은 것을 바라는 것 같다. 애견에게 주인은 다만 함께 걸어주고, 함께 놀아주고, 함께 웃어준다면 바랄 것이 없는 반면, 우린 항상 그들에게 너무 많은 것을 요구하지 않았던가. 이제부터 하나씩, 하나씩, 내가 그들의 요구에 발맞추어 주기로 결심했다. 어제부터 매일 밤 애견과 산책을 하기로 한, 중대한 결심을 심어준「일분만 더」라는 소설에게 평생 고마워해야 할 것이다. 회사 일에 바쁘게 쫓기는 현대인들에게 일과 사랑, 애견이라는 딜레마는 너무도 힘들지만 달콤하고 행복한 삶을 이어갈 수 있는 엔돌핀이자, 삶의 이유인 것 같다. 아주 오랜만에 책을 읽으며 펑펑 울었고, 아주 오랜만에 책을 읽으며 중대한 결심을 할 수 있는 동기부여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