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채화 쉽게 하기 - 투명 수채 기법
김충원 지음 / 진선아트북 / 2007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 생각해보면 학창시절 울며 겨자 먹기로 그렸던 수채화는 하나 같이 엉망이었다. 어떻게 된 게 중, 고등학교 미술 선생님은 수채화에 대한 기초조차 제대로 가르쳐주지 않아놓고 무턱대고 ‘그려라!’라는 명령만 내렸으니, 제대로 된 그림이 나올 리가 만무했다. 어렸을 적부터 미술 학원을 다녀 꾸준한 교육을 받은 친구들이 그린 수채화는 근사한 반면, 잘 기억도 나지 않는 어린 유아기 때 미술 학원을 잠깐 다녔던 나로서는 참으로 난감한 미술 시간이 아닐 수 없었다.

수업 시간에 풍경화를 그린답시고 야외로 나가 교정을 그릴 때 내심 잘 그리고 싶어서 이런 저런 색을 섞어 스케치북에 담아 봐도 붓은 왜 내 맘을 그리도 몰라주는지 언제나 좌절감만 맛보고 실망을 해야 했다. 혼자만의 취미로 간혹 그림을 그려보곤 했지만, 약간의 재능을 믿고 지나치게 오만했던 자존심에 차마 내 실력을 솔직하게 판단 내리기조차 두려웠었나 보다. 그래도 마음 한구석 언제나 그림에 대한 열망이 남아 있었는데, 이번 기회에 읽어보게 된 「수채화 쉽게 하기」는 수채화에 대한 나의 막연한 두려움을 씻어주었다.

기초. 그야말로 기초가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이 책을 읽어보고 처음으로 실감했다. 물감과 파레트, 스케치북, 붓, 물통 등을 선별하는 방법, 기본 색채를 옮기는 방법 등을 자세하게 읽어보면서 기본부터 잘 습득해야지 제대로 된 그림이 나올 수 있음을 깨달았다. 물로 색의 농도를 조절하는 어려운 수채화지만, 두 가지 색을 혼합하면 그만큼 다채롭고 풍부한 색감을 찾아낼 수 있다. 물과 물감, 그리고 붓. 이 삼중주의 하모니는 미술의 위대함에 새삼 고개를 끄덕일 수밖에 없게 되는 최상의 아름다움인 듯하다.

기초 드로잉부터 인물, 풍경, 동물을 그리는 고난위도로 넘어갈수록 뿌듯해 할 내 자신을 떠올리면서 지금부터 찬찬히 수채화 연습을 해봐야겠다. 새하얀 여백을 모든 색의 물감으로 빽빽하게 채워야 한다는 중압감을 떨쳐버리고, 여러 가지 기법을 활용한 나만의 붓 터치를 익힌다면 굳이 관습에 얽매인 큰 부담을 느낄 필요가 없을 것이다. 오늘 문득, 가까운 산으로 가서 모노톤으로 변해가는 가을 풍경을 담아보고 싶은 충동을 느낀다. 수채화를 그린다면 챙겨야 할 준비물이 제법 많지만, 아름다운 야외에서 직접 풍경화를 그려본다면 투명 물감이 이루어내는 색에 동화되어 그쯤의 수고로움은 금세 잊을 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