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은 시인의 사회
N.H 클라인바움 지음, 한은주 옮김 / 서교출판사 / 200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학창시절, 대학 진학에 대한 주위로부터의 지나친 기대에 비롯된 중압감이 사무치게 힘이 들어서 한번쯤 자살을 꿈꾸어 본 학생들이 많을 것이다. 우리 집이야 워낙 무관심 일색이었으니 내 개인적으로 공부에 대한 스트레스로 힘들어해 본 경험은 별로 없지만, 일부 부모님의 경우는 초등학교 때부터, 아니 요즘은 말도 배우지 못한 상태에서 영어다 뭐다 ‘공부’란 것을 주입시키고 있다. 이제 막 걸음마 뗀 아이에게 유학을 보내 공부를 시킨다. 징그러운 입시 전쟁, 불법 과외, 사교육비라는 명목의 천문학적 금액. 이쯤 되면 ‘도대체 요즘 애들은 숨 막혀서 어떻게 살지?’ 라는 생각부터 든다.
 
  그런 요즘 아이들에게 ‘당신에게는 청춘이 있었습니까? 있었다면 어떤 모습이었죠?’ 라고 물어본다면 과연 그 아이들은 뭐라고 대답할까. ‘죽도록 공부해서 좋은 대학 갔어요. 보세요. 그 덕분에 지금은 이렇게 잘 살고 있잖아요.’ 이렇게 대답하며 미소를 지을까. ‘하루하루가 죽고 싶은 날들이었어요.’라고 대답하며 울상을 지을까.
  ……그러지 말고 현재를 즐기세요. ‘카르페 디엠!’ 인생을 독특하게 사세요.

  내가 「죽은 시인의 사회」를 만난 건 지금으로부터 약 4년 전 쯤으로 기억된다. 영화를 보며 긴 감동의 여운에서 헤어 나오기가 힘들었다. 여전히 잘생긴 에단 호크의 풋풋함에 기분 좋고, 정말 좋아하는 배우 로빈 아저씨의 구수한 눈가의 주름이 편안하게 마음을 열어준다. 미국의 명문 사립 고등학교를 훔쳐보며 대리 만족도 느꼈고, 동시에 안타까움에 입술을  깨물기도 했었다. 영화를 보며 느꼈던 감동을 이어받고 싶어 책을 읽게 되었는데, 책은 영화의 원작이 아니라 영화의 각본을 새롭게 각색해서 발표한 소설이다. 그러기에 영화와 내용은 동일하고, 영화의 감동보다는 못했지만 지난날의 추억을 상기시키기에 충분하다.

  오직 아이비리그에 진학하기 위해 존재하는 명문 사립 고등학교 ‘웰튼 아카데미’. 밝고 활기찬 생명력 대신 엄숙하고 경건하다 못해 살풍경하기까지 한 새 학기와 함께 답답한 기숙사 생활이 시작된다. 명문대를 진학하기 위해 존재하는 명문고의 2학년생 토드, 닐, 낙스, 달튼, 믹스, 카메론, 피츠는 서로의 유대감을 쌓으며 살인적인 학업과 시험에 충실하려고 노력한다. 그런데, 새로 부임한 국어 선생님 ‘존 키팅’은 획일화된 교육에서 벗어나 창조적으로 자신을 계발할 수 있는 자긍심을 열어준다. ‘키팅’이라는 괴짜 선생님은 읽지 않아도 무방한 딱딱한 논문을 찢어버리라고 명령하는가 하면, 하라는 공부는 않고 학생들과 농담과 진담인지 모를 아리송한 대화들로 수업을 채워가기 시작하는데…….

  키팅 선생님은 왜 너의 미래를 타인에게 의탁하는지의 물음을 던져주고 있다. 스스로 꿈을 창조하여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이 무엇인지, 무엇을 할 때 가장 큰 환희를 느낄 수 있는지, 그리고 그 일을 지금 찾아 한다면 오늘을 마치 생의 마지막인 것처럼 열심히 하라고 충고하는 것이다. ‘메멘토 모리!’. 사람은 누구나 죽으니까, 죽고 나면 행복했던 기억만 안고 갈 수 있도록 말이다. 그리고 ‘카르페 디엠!’. 오늘을 즐기며, 또 현재를 사랑하며, 기쁨으로 충만 된 당신만의 세상을 설계하라는 멋진 가르침.

  어쩌면 우리는 죽기 위해 살아가고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죽은 시인의 사회’가 뜻하는 바가 그렇다. 죽어야만 정회원이 될 수 있다는 클럽 ‘죽은 시인의 사회’는 살아감을 최우선으로 여기 되, 죽은 후에야 진정한 나 자신이 완성된다고 보고 있다. ‘문학’, 그리고 ‘시’가 주는 평탄한 아름다움. 언어라는 유희가 가장 절정으로 빛나는 행위의 아름다움을 찬양하며 우리보다 똑똑했던, 그리고 우리보다 오래 살았지만 이미 죽은 시인들의 메시지를 읽어보기를 바라고 있다.

  키팅 선생님이 읊어준 ‘월트 휘트먼’의 시는 오늘도, 오늘을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에게 충고한다. 우리는 구더기의 밥이 되기 위해 이 땅에 태어났다. 그러니 섬광처럼 흘러가는 그 짧은 순간들을 결코 헛되이 여기지 말며, 하고자 하는 것을 모두 해보면서, 현재를 즐기며 살라고 가르친다. 그래서 나도 아름답게 살고 싶다. 오늘을, 그리고 내일의 오늘을 즐기며 행복하게 살아보자고. 「죽은 시인의 사회」는 지금도 학업에 분투하고 있을 전 세계의 아이들에게도 이렇게 소리치고 있는 것이다. 카르페 디엠! 어제도, 내일도 중요하지 않다. 중요한 건 오직 그대가 서 있는 지금의 현실. 현재가 행복하지 않다면, 그 어떤 미래도 행복을 보장할 수 없으며, 행복할지언정 진정한 가치를 부여하기 힘들다.

  장미꽃 봉오리를 따려면 지금
  시간은 언제나 말없이 흐르고
  오늘 이렇게 활짝 핀 꽃송이도
  내일이면 시들어 버릴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