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메레르 1 - 왕의 용 판타 빌리지
나오미 노빅 지음, 공보경 옮김 / 노블마인 / 2007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인의 인식 속에 박혀있는 ‘용’의 이미지와 너무나 상반되는 용을 만났다. 비단 한국인뿐만 아니라 전 세계를 통틀어 보아도 ‘용’에 대한 이미지는 기껏해야 저주를 내리는 악의 화신이나, 신성시하면서 존경해야 할 수호신이라는 상반되는 두 가지 이미지가 존재할 것이다. 생긴 것도 어찌나 징그럽고 무섭게 생겼는지……. 세상에서 가장 큰 뱀이 막 허물을 벗은 모습으로 징그러운 비늘이 몸 전체를 뒤덮고서 불을 내뿜으며 하늘로 승천한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인식 속에 자리한 미개한 토템문화로 등장하던 ‘용’을 화끈하게 재해석한 작품이 등장했다. 이름 하여 ‘테메레르’!   

  용의 이름이 참 예쁘다. ‘테메레르’. 테메레르라는 이름을 가진 수컷용은 지혜롭고 감수성이 풍부하며 인정이 많은 따뜻한 용이다. 감정이라는 것을 느끼며, 옳고 그름을 사고하여 판단하고, 알에서 태어날 때부터 인간의 언어를 습득했다. 배움에 대한 욕구와 호기심이 왕성해서 책을 매우 좋아하며 자신의 조종사인 로렌스에게 신뢰와 믿음이란 무엇인가를 확실하게 가르쳐준다. 오히려 인간보다 더 인간미 넘치는 이웃집 친구 같은 테메레르.

  상상조차 할 수 있었겠는가? 마치 다정한 이웃 같은, 친절한 꽃미소를 달고 웃는 용의 이미지를……. 그러나 판타지는 불가능을 가능으로 만들고, 인간의 상상력이 어디까지 뻗어나갈 수 있는지를 여실히 보여주는 장르이므로, 판타지를 위한 판타지, 오직 판타지에서만 만날 수 있는 획기적인 기획력을 체험할 수 있다. 「테메레르」의 매력은 용을 신격과 하는 것이 아닌, 친근한 이미지로 변신시켜 준 것 뿐만이 아니라, 나폴레옹 시대라는 역사적 사건을 기반으로 하여 리얼한 과거를 완벽하게 재생시켜 보여주고 있다. 실제로 발생했던 트라팔가르 전투와 도버 전투까지.

  만약 이 작품이 소설이 아니었다면 실제로 용을 전투에 투입시켜 프랑스와 영국이 치열한 해전을 치렀다고 해도 믿을 정도이다. 용이 사람과 함께 전쟁에 참여하여 전투를 치르고, 최고의 파트너이자 인생의 동반자가 되어 일심동체로 움직인다는 설정이 매우 신선했다. 치열한 전쟁 소설은 아니지만 우선은 전쟁을 소재로 잡았기 때문에 그 당시의 실제상황이라는 리얼함이 부각 되는 듯하다. 동양을 바라보는 서양인의 시선도 그 정도면 양호하고, 중국과 일본의 혈통 좋은 용들이 많이 등장하는데 비해, 조선은 몇 번 나오지 않아 개인적으로 아쉬웠다.

  사실 피터 잭슨이 차기작으로 영화화 한다는 문구에 마음이 쏠렸지만 ‘용’이 나온다고 하기에 크게 기대는 하지 않았는데, (‘용’하면 우선 유치할 것 같다는 생각이 먼저 들기 때문;) 기대이상으로 재미있어서 푹 빠져들며 읽었다. 로렌스와 테메레르라는 두 파트너의 매력은 말할 것도 없고, 초반부에서 용의 알이 부화하기 시작하면서부터 뒷내용이 몹시 궁금하게 만드는 소설이다. 용에 대한 선입견을 지우고 새삼 용을 처음으로 집중탐구해보고 싶은 욕구가 든다. 정말 신화일까, 사실일까…. 사실이 아니래도 누구에게나 상상 할 수 있는 자유가 주어져 있기에 용의 존재여부는 사실일지도 모른다고 치부하고 싶다.

  「반지의 제왕」도 북유럽신화에서 모티브를 얻어 탄생시킨 만큼, 「테메레르」역시 역사적인 사건과 무대를 배경으로 하여 민담으로 전해 내려오는 ‘용’에 관한 전설을 보다 섬세하고 구체적으로 다듬었다. 빠른 전개와 인물들의 생동감 넘치는 언어나 행동들이 여느 문학작품 못지않게 사실적으로 다가왔기에, 그 스토리가 너무 허무맹랑하지 않고 오히려 설득력 있게 여겨진다. 「해리 포터」나 「반지의 제왕」에 열광하던 판타지 마니아들이 숨 좀 돌릴 틈도 주지 않고 이러한 대작이 쏟아져 나오다니! 이젠 타는 듯한 여름 밤 열기를 시원하게 식혀줄 ‘테메레르와’의 오붓한 데이트만 남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