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호로 역 다다 심부름집 - 제135회 나오키 상 수상작
미우라 시온 지음, 권남희 옮김 / 들녘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한창 일본 현대 소설에 열광 할 무렵 지금까지 느껴보지 못했던 소재의 참신함이나 독특한 설정 덕택에 한껏 매료될 수 있었다. 그러나 최근 몇 년부터 지금까지 출간되고 있는 책들을 보면 비슷하게 결합된 소재들이 결국 비슷한 패턴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느낌을 떨쳐내기 힘들다. 밝으면서 유쾌하고 그러면서 지나치게 가볍고 쉽기만 한 문장들. 쉬운 문장들을 한번 읽어나가기는 좋으나 읽고 나면 결국 아무것도 남는 것이 없는 허무한 줄거리가 대부분이다.

  마치 만화책을 읽듯이, 읽는 순간만큼은 대단히 즐겁고 푹 빠져들어 읽게 되지만, 읽고 난 후에 이어지는 감동의 깊이는 확연히 줄어들거나 아예 감동이 없는 경우도 많다. 순간의 즐거움을 위주로 한 책들을 굳이 헤아려 본다면 전 세계 모든 출판사에서 통용되고 있겠지만, 유독 일본 현대 소설들은 그런 경향이 두드러져 보인다. 개연성 없는 줄거리도 비슷하고 주인공도 비슷하고, 문체라든가 발걸음의 템포가 어찌나 닮아있는지…. 그럼에도 가끔 그런 소설들이 생각나는 이유는 무엇인지.

  국내에 처음 소개되는 작가 ‘미우라 시온’의 「마호로역 다다 심부름 집」은 고등학교 동창생인 두 남자의 이야기다. 마호로시에서 심부름센터도 아닌, 심부름 집을 운영하는 주인공 ‘다다’와 ‘교텐’은 전혀 친하지 않은 동창생이지만 우연히 만나 함께 심부름 집을 이끌어가게 된다. 사려 깊고 꼼꼼한 성격의 ‘다다’와 어쩐지 4차원 세계를 노니는 듯한 독특한 정신세계의 소유자 ‘교텐’…. 이 두 남자로 인해 심부름 집에 부탁을 하러 왔던 많은 사람들이 작은 행복을 느끼게 된다. 작고 사소하지만 언제나 재생되는 행복의 방문.

  개인적으로 ‘교텐’이라는 캐릭터가 참 매력적으로 느껴졌다. 과묵하고 엉뚱하고. 매사에 의욕적이지 못하고 대충대충 이런 식이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은 따뜻한 본심. 읽다보면 교텐의 성격이 요약된 문장이 다다의 독백을 통해서 등장한다. ‘이런 녀석이었구나. 제멋대로 말하고, 남이고 자신이고 아무래도 좋다는 듯 행동하지만, 사실은 누구보다 따뜻한 마음을 가슴속 깊이 감춰 두고 있었어. -302p’ …현실에서 이런 사람을 찾기가 너무 힘들다는 사실이 중요하지만, 매력적인 캐릭터임에 분명하다. ^^ (아니, 현실에 정말 이런 사람이 옆에 있으면 피곤하려나?)

  단순하고 자질구레한 일들을 도맡아하는 다다네 심부름 집이지만, 그 속에 사람 사는 냄새가 난다. 무뚝뚝하지만 의리 있는 두 남자 주인공 덕택에 흐뭇한 미소가 그려지기도 하고……. 둘 다 이혼남에 애가 있었다는 공통적인 사실 또한 두 사람을 끈으로 묶어 둔 것 같지만, 여자와 한 번도 잠을 잔적이 없다는 교텐의 말에 ‘혹시 게이 아냐?’ 라는 의심을 하던 다다의 모습에 실웃음도 나왔다. 과거의 아픔을 잊지 못해 계속 기억하고 현재까지도 그 아픔이 이어지고 있는 ‘다다’. 그리고 다다와는 반대로 과거에는 과거일 뿐, 자신이 살아온 흔적에 그 어떤 미련도 후회도 없는 ‘교텐’. 이렇게 다른 성격의 두 남자에게서 상처를 치유하는 방법에 대한 자극을 받게 된다.

  여하튼 한번 쓰윽 훑어 내리기엔 무리 없이 즐거운 소설. 하지만 나오키상을 탈 만큼 높은 문학성을 지니고 있다는 사실에는 동조를 할 수 없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