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 속의 서울 - 한국문학이 스케치한 서울로의 산책 서울문화예술총서 2
김재관.장두식 지음 / 생각의나무 / 2007년 2월
평점 :
품절


 

  ‘나’는 서울에 살지 않는다는 이유로 「문학 속의 서울」이란 제목의 책을 별로 달갑게 여기지 않았다. 하지만 서울 근처에도 살아본 적이 없는 경상도 토박이임에도, ‘서울’이란 도시는 전혀 낯설지가 않다. 달갑지는 않지만, 낯설지는 않은 존재. 대한민국의 수도 서울…. 어렸을 적 즐겨보던 한국 만화영화나 책을 보면 모든 주인공들이 서울에 살았다. 어린 마음에 ‘우리나라는 서울에만 사람들이 사나봐.’라는 생각을 하며 그 질문을 진심으로 궁금해 했었다. ‘정말 우리나라는 서울이라는 도시에 사는 사람들밖에 없을까? 그럼 나는 뭐지? 엄마. 우리도 서울로 이사 가자….’


  서울, 서울, 서울…. 끊임없이 등장하는 서울이라는 곳. 같은 대한민국에 살면서도 이토록 이질감이 느껴지는 도시는 서울이 유일하다. 서울에 가야 성공한다, 서울에 가면 다들 잘 먹고 잘 산다. 서울만이 희망이다. 서울 사람들은 모조리 교양 있고, 사투리 쓰는 사람들은 천박하다. 이런 저런 말들로 인해 서울에 대한 노이로제에 걸렸지만, 거부감 느껴지는 서울은 다만 나의 열등감이 표출된 감정일지도 모른다. 지방에 산다는 이유만으로 무시당하는 설움을 서울 시민들은 알고 있을까? 정작 서울에는 서울 토박이보다 이주민들이 더 많이 살고 있기는 하지만.


  여하튼 서울에 대한 나의 강한 거부감이 ‘문학 속의 서울’이라는 책에 대한 선입관에 물들게 만들었다. 그러나 실상 이 책은 서울을 찬양하는 책도 아니며, 내가 알지 못하는 서울에 대한 정보들을 한가득 수록한 책도 아닌, 그저 한국 근대 문학들 속에 등장하는 서울의 풍경들을 요약한 ‘근대 서울의 역사책’이었다. 600년 전통을 자랑하는 대한민국 수도 서울. 그 격동적인 도시의 한 자락에 오늘을 살아가는 애처로운 사람들이 있고, 소시민들의 애환이 있었다.


  60년대부터 변화하기 시작하는 대한민국 신경제체제에 발맞추어 서울 역시 무던히도 많은 변화를 추구했다. 각종 이념과 수많은 슬로건을 내세우며, 자본주의에 흡수된 재력을 지닌 속물들이 있는가 하면, 자본에 휘둘리며 전전긍긍 내일을 걱정하는 민중의 고통도 있었다. 무조건 서울에 상경하여 큰 돈을 벌겠다 다짐한 이주민들이 가장 큰 고통들의 전담을 맡았던 것 같다. 한국 소설의 특징이라고 한다면, 그러한 소시민의 삶이 뼈에 사무치도록 철저하게 표현되고 있다는 점이다. 거의 모든 소설에서 볼 수 있는 비극적인 주인공들의 모습에서 나의 또 다른 자아를 엿보고 있다.


  ‘개발’에 파괴되어 가는 것은 도시 뿐만이 아니다. 사람들은 간혹 지나치게 깨끗해서 아무런 감정을 느낄 수 없는 건물이나 도로들을 보면서 ‘아름답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는 듯 하다. 콘크리트로 덮인 토지와 초고층 아파트들을 보면서 아름답다는 생각을 할 수 있는 현재의 모든 사람들이 치명적인 바이러스에 전염이 되기라도 한 걸까. 그러나 나 역시 이 문제에 대해서 통쾌한 부정을 내릴 수 없다. 나도 이미 자본주의라는 현대 사회에 너무 깊이 물들어 버렸기 때문이다. 더 좋은 아파트, 더 좋은 차, 그리고 더 많은 부를 축적시키기 위해 고군분투까지는 아니더라도, 가능한 노력하고 있다. 애석하게도….


  아무런 감정이 느껴지지 않는 콘크리트 더미를 보면서 위안을 찾는 단절된 현대인들은 문학 작품 속에서 가장 잘 찾아볼 수 있을 듯 하다. 「문학 속의 서울」에서 참고한 수많은 문학 작품들 속에서, 낡은 도시의 개발과 함께 파괴된 우울한 문명을 발견할 수 있었다. 서울 곳곳에서 볼 수 있는 수많은 ‘영자씨’처럼 (영자의 전성시대 -조선작) 살풍경한 도시 속에서 소외당한 불행한 영혼이 존재하고 있다.


  이 세상에 변하지 않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 모든 것이 변하기에, 모든 존재는 어느 하나 안타깝지 않은 것이 없는 것 같다. 서구에 물들어 변화하고자 몸부림쳤던 서울 또한 마찬가지다. 그리고 그 속에 포함된 사람들 역시 마찬가지다. 하지만, 보석 같은 한국 문학 속에서 발견 한 서울의 변화는 안타까움을 동반한 희망을 느끼게 만들어 준다. 너무 낡아 새로운 교체가 필요하다면 어쩔 수 없지만, 애써서 너무 많은 변화를 주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다. 너무 빨라서 변화의 속도조차 느껴지지 않는다면 그리워 할 것이 너무 많지 않은가.


  한번쯤 들어봤고, 한번쯤 읽어봤던 한국 문학들을 만나면서 괜스레 아련한 기분에 물들어 보았다. 문학 작품 속에 그려졌던 서울이 비록 아름답지만은 않은 풍자의 대상이나, 서러움의 대상일지언정, 동경과 분노의 울타리 속에서 자기만의 색을 갖추고 있다는 사실만은 분명한 것 같다. 한국인이기에 사랑할 수밖에 없는 서울이라는 도시를 진지하게 느껴보면서, 영원히 지속될 것 같은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을 꿈꾸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