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러브
토니 모리슨 지음, 김선형 옮김 / 들녘 / 2006년 10월
평점 :
품절
사랑의 형태는 여러 갈래로 나뉠 수 있다. LOVE처럼 쉽게 정의내리기 힘든 감정도 없을 것이다. 사랑은 항상 질투를 동반하고, 증오와 배신으로부터 파생된다. 그렇다면, 어렵고도 복잡하기 때문에 쉽게 정의내리기 힘든 감정 ‘love’를 토니 모리슨이 바라보는 시각은 어떠할까. 그녀 역시 사랑의 해석이 결코 숭고하다거나, 아름답지만은 않은 모순 되는 절박한 감정들을 담고 있었다.
「LOVE」는 두 여자의 쓸쓸하고도, 복잡한 인생을 조심스럽게 얘기하고 있다. 어렸을 적 절친한 친구 ‘히드’와 ‘크리스틴’ 너무도 서로를 사랑했던 두 친구는 원하지 않는 상황에 지배되어 서로를 증오하게끔 변모하게 된다. 크리스틴의 할아버지 ‘빌 코지’의 재혼 상대로 11살의 어린 ‘히드’가 시집와서 가족이 되면서부터 어긋나기 시작하는 오묘한 관계가 이어지게 된다. 분노의 폭발이라고 까진 할 수 없겠지만, 아슬아슬하게 빙판 위를 걷는 듯한 불안정한 시선이 느껴진다.
일기장 같이 예쁜 빨간 양장의 책 속에서 두 여자를 둘러싼 삶이 비밀 이야기처럼 조심스럽게 쏟아져 나오기 시작한다. 미국에서 흑인으로 살아가면서 느끼는 애환들과 함께 성공한 부르주아 흑인 ‘코지’의 흥망성쇠. 한 편 한 편 모든 이야기 속에 숨겨진 코지 일가의 복잡하고 겹겹이 쌓인 서사의 흐름은 굉장히 숨죽이게 만드는 힘이 있다. 난해한 구도는 아니지만, 처음부터 중반쯤까지 밝혀지지 않는 과거의 비밀에 신경을 곤두세우다 보면, 약간의 피곤함이 느껴질 수도 있는 글이다.
왜 히드와 크리스틴은 서로를 증오하게 되었을까? 그것은 누구의 배신도 아닌, 자신들 스스로가 만든 방어심리와 사랑의 표현이 어긋나서 발생한 일종의 자격지심이 아니었을까 싶다. 친구를 할아버지에게 빼앗기고 말았다는 강박관념이 크리스틴의 작은 머릿속을 지배하는 사이, 히드의 머릿속에는 또 다른 두려움과 늙었지만 멋있는 남편에 대한 신비함이 자리 잡게 된다. 어린 꼬마 둘이서 감당하기에 분명히 벅찼을 그 감정의 소용돌이들. 그녀들을 중심으로 코지의 가족들과 이웃들의 얘기가 덧입혀져서 한편의 슬픈 드라마가 완성 된다.
지나치게 미국적이면서도 전혀 미국적이지 않은 독특한 스타일의 소설이다. 색깔로 친다면 진한 초콜릿 색깔 하늘과 먹색 구름. 그리고 히드와 크리스틴의 어린 시절 투명한 파스텔 톤 해변 가의 조화. 조금은 어둡게 느껴지지만, 그 안에서 슬픔과 감동을 동시에 느낄 수 있었던 멋진 소설이다. ‘토니 모리슨’의 화려하면서도 서정적인 서사의 흐름에 푹 빠져들었던 ‘러브’를 보며 다시 사랑하고 싶다. 가족이든, 친구든, 연인이든, 누가 되었든지 간에 사랑이란 그 자체로 충만한 기쁨이라는 것을 생각해 보게 되었다.
[인상깊은구절]
사람들은 내가 언제나 사랑에 대해 글을 쓴다고 말한다. 항상, 늘 사랑 타령이라고. 나는 그렇다고, 고개를 끄덕인다. 하지만 그건 사실이 아니다. 꼭 그런 건 아니다. 사실을 말하자면, 나는 언제나 배신에 대해서 쓰고 있다. 사랑은 날씨다. 배신은 날씨를 찢어놓고 폭로하는 번갯불이다. - 7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