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는 유령작가입니다
김연수 지음 / 창비 / 2005년 5월
평점 :
구판절판
불과 며칠 전 「사랑이라니, 선영아」로 나에게 한바탕 웃음을 선사했던 김연수 작가는, 「나는 유령작가 입니다.」로 끝없는 작품 탐구의 연속 길을 걷게 만들어 버리고 말았다. 작품의 성격에 따라 작가의 문체와 사고는 360도 회전을 한다지만, 어쩜 분위기가 이다지도 틀릴 수 있단 말인가! 아니, 내 판단이 짧았고, 내가 한 작가에 대해 지니고 있는 어떠한 관념 자체가 지나친 오만이자 만용이었다. 솔직히 가벼운 마음으로 읽고자 했던 한 권의 소설집을 저녁 내내 붙잡고 있으면서 절망의 나락으로 떨어지는 내면의 진지한 결과물을 맞닥뜨렸을 때의 낭패감이란….
첫 작품을 읽는 순간, 내 머리는 이미 아플 준비를 하고 있었고, 두 번째 작품을 읽는 순간, 예사롭지 않은 분위기에 사로잡히며, 마침내 ‘작가의 말’이 적혀 있는 마지막 장까지 읽은 후 책을 덮으면서 어벙벙해진 머릿속을 억지로 수습하기에 바빴다. 창백하고 고요한 문체는 지나치게 힘이 들어가는 법 없이 온통 겨울 빛으로 물들어 있다. ‘사랑’을 다루고 있으면서도, ‘역사’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 ‘인간’을 냉정하게 논하면서도, 지나간 ‘시대’를 발견할 수 있는 탁월한 재량을 흠뻑 만끽해 보았다.
바나나를 먹으며 우유를 마시면 바나나 맛이 나는 우유를 마실 수 있는데, 굳이 바나나 맛 우유가 탄생한 이유는 무엇일까? 더 달달해서? 더 편리해서? 은근한 매력이 있어서? 아니면 단순히 더 맛있으니까? 개인차는 있겠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은 그 모든 이유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가 소설에서 찾을 수 있는 일관된 감동이나 인생의 회환 따위도 그 비슷한 역할을 하지 않을까? 역사가 궁금하면 역사서를 찾아보면 되는 것이고, 사랑이 고프다면 연애론의 솔직담백한 해설서를 읽으면 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 모든 인간의 생이 집약되어 있는 소설책을 찾는 이유는 무엇인가.
소설에서 얻게 되는 부차적인 행복까지 더 합산하여, 반드시 찾게 되는 단 하나의 목적을 성취하기 위해서는 필시 작품 속에 녹아있는, 도저히 단어로 나열 할 수 없는 작가의 ‘만족스러운 힘’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나는 유령입니다.」를 읽는 내내, 그러한 김연수 작가의 만족스러운 힘과 섬세한 작업의 귀중함을 느낄 수 있었다. 장편소설로 오인하고 읽던 도중, 단편 분량의 연작 소설임을 알았을 때, 어느 작품 하나 깨알만큼도 부족하지 않을 수준 높은 완성도를 지니고 있음에 다시 한번 놀라움에 탄식할 수밖에 없었다.
지나친 한쪽의 기울임 없이 두루두루 여러 방면을 살펴보고 있는 작품들이다. 시집의 제목으로 손색이 없을 만큼 창의적이고, 사색적인 제목들에서부터, 그 제목 속에 녹아 있는 세계 곳곳에서 한국인으로 살아가는 ‘나’에 해당하는 많은 인물들의 행로가 슬프고도 아름답다. 특정 시대에 대한 지나친 반감을 품은 글은 아니지만, 어딘가 모르게 위험스럽게 느껴지는 세계관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인간상에 대한 제시 역시 획일 되지는 않았으나, 느껴지는 시선은 비슷한 듯 하다. 암울하고도, 허전한 겨울 같은 메마른 체온을 가진 사람들의 불완전한 사랑과 삶.
가벼운 마음으로 집어 들었던 책인데, 의외로 아주 강인한 인상으로, 하루 종일을 묵직하고도 짙은 먹 냄새를 맡은 기분이었다. 절대로 말을 할 수 없는 어느 유령작가가 내게 들려준 아홉 편의 이야기에서, 내가 살지 않는, 앞으로도 내가 살지 않을 시대의 다양한 사람들을 만나보았다. 오늘 역시 내일의 역사로 가는 발목 일 텐데, 암묵적으로 이루어질 어떤 행위에 대한 누군가의 설명이 덧붙여져 씌어질까? 삶은 살아가는 것이지, 이야기 하는 것이 아니라는 본문의 한 문장이 자꾸만 눈앞에서 맴을 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