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켄슈타인
마르그레테 라몬 지음, 드라호스 자크 그림 최인자 옮김, 메리 셸리 원작 / 웅진주니어 / 2006년 6월
평점 :
절판


현재까지도 가장 많이 회자되는 클래식 호러 소설은 단연, ‘프랑켄슈타인’과 ‘드라큘라’ 두 작품을 꼽을 수 있을 것이다. 헤아릴 수 없을 만큼 많은 공포 소설과 영화들의 모티브가 된 시발점인 ‘프랑켄슈타인’이 세기가 넘도록 사랑 받아온 이유는 무엇일까.

「프랑켄슈타인」은 19세기 영국 런던에서 태어난 ‘메리 셀리’에 의해 탄생되었다. 이토록 수준 높은 공포 소설이, 겨우 19살의 여성이 썼다는 사실에 놀라움을 감출 수 없었다. 지금이야 인간복제라는 말이 놀라울 것도 없지만, 당시로써는 거의 전무하다시피 했을 인간의 복제에 대한 문제점을 섬뜩하게 비판하며, 노골적으로 다루었다는 점 또한 매우 놀랍다.

너무 유명한 작품이지만 소설로 접하기는 처음이다. 소설을 읽기 전까지 나는 무지하게도, ‘프랑켄슈타인’이란 이름이, 박사가 만든 괴물의 이름인 줄 알았는데, 그것이 아니라, 바로 괴물을 탄생시킨 박사의 이름이 ‘빅터 프랑켄슈타인’이었다. 이름부터 착각하고 있었으니, 그 줄거리와 감동까지 전혀 예상을 못하고 있었다. 대략의 중심 틀만 알고 있었기에, 나도 모르는 사이, 한 가지의 이미지라는 편견 속에 자리해 있던 작품,「프랑켄슈타인」을 읽으면서 여러 가지 복잡한 감정을 느낄 수 있었다.

우선, 영화나 입담을 통해 알고 있던 줄거리와 다소 차이가 있었다. 가장 놀라웠던 점이 바로, 시체보관소에 있던 사체들의 장기와 신체를 잘라 붙여 만든 ‘괴물’의 설정에 대한 부분이다. 「프랑켄슈타인」에서 ‘괴물’의 일반적인 인식이라 한다면, 우락부락하고 끔찍한 모습을 한, 멍청한 짐승 같은 이미지가 강했다. 관자놀이에 커다란 못을 꽂고 좀비처럼 돌아다니며 이유 없이 사람들을 죽이고, 말도 못 하는 어리석은 악마쯤으로 여겼었는데, 원작에 나온 괴물의 이미지는 지금까지 알고 있는 괴물의 이미지와 판이하게 달랐다.

끔찍한 악취를 풍기는 걸어 다니는 시체의 몰골을 한 괴물은, 지독한 외로움과 소외감 속에서 고뇌하는 지성을 갖추고 있었다. 스스로 인간의 말과 언어까지 습득하는 끈기와 높은 지능, 행복하게 살고 싶다는 원초적인 욕구까지 지니고 있는 틀림없는 연민의 대상이다. 그리고 결국은 자신을 창조했으면서도, 두려워하며 멸시하던 조물주 프랑켄슈타인에게 복수를 하게 된다. 공포 소설이지만, 실제로 읽은 「프랑켄슈타인」은 묘한 슬픔과 우울함이 범벅이 되어, 서글픈 느낌을 자아내는 작품이었다.

지금까지 알고 있던 작품 프랑켄슈타인에 대한 이미지가 180도 다르게 보인다. 인간에 의해 탄생되기도 하고, 파괴되기도 하는 인간문명에 대한 비판과, 위험천만한 인간의 복제를 작가는 미리부터 경고하고 있었다. 그리고 태초의 본성이 절망스러운 상황에 따라 어떻게 변해가는 것인지도 섬세하게 표현되어 있다. 인간의 허황된 욕망에 의해서, 기하학적으로 발전해 나가는 과학을 걱정하는 작가의 모습까지 투영되어 있는 듯 하다.

지금까지 본 공포 소설 중 가장 안타깝고 애잔한 소설인 것 같다. 의미 없이 사람을 죽이는 살인귀도 없을 뿐더러, 여러 가지 강렬한 메시지가 깃든「프랑켄슈타인」은 매우 감동적인 고전 명작이다. 청소년의 눈높이에서 읽어 볼만한 책이지만, 다양한 연령의 분들이 꼭 읽어보셨으면 하는 바람이 들었다. 또한 책이 어찌나 예쁘게 제본되었는지, 보고만 있어도 뿌듯한 기분이 들었다. 올 컬러의 내지에 화려하고도 점잖은 그림들이 다양하게 그려져 있다. 책 크기는 다소 큰 편이지만, 굉장히 예쁜 양장본으로 만들어져 있어서 소장의 기쁨 또한 크게 누릴 수 있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