떠나는 이유 - 가슴 뛰는 여행을 위한 아홉 단어
밥장 글.그림.사진 / 앨리스 / 2014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슴 뛰는 여행을 위한 아홉 단어’라는 부제를 보지 않더라고 뭉게구름을 막 벗어나는 비행기를 배경으로 한 ‘떠나는 이유’라는 제목이 벌써 ‘해외여행을 떠나는 이유’가 무엇일까 궁금해집니다. 목차를 보면, 출발과 도착 사이에, 행운, 기념품, 공항+비행, 자연, 사람, 음식, 방송, 나눔, 기록 등 10개의 주제를 늘어놓은 것을 보면 비행기를 타고 떠난 여행에서 만나는 여러 가지 상황들이 머릿속에 그려지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블랙홀을 끌어다가 시작한 머리말은 무엇을 말하고자 함인지 헷갈립니다. 블랙홀을 죽음과 연결하고 죽음을 마주하는 순간 살아온 나날들이 주마등처럼 흘러간다는 둥, 살면서 실컷 놀았으니 됐다는 둥, 사는 동안 할 수 있는 일이라고는 축제뿐이라는 둥, 그 축제는 길 위에서 벌어지기 때문에 떠나는 것이라는 마무리가 도대체 연결이 되지는 않습니다.

여행의 출발, 아니 책읽기의 출발에는 작가의 역마살을 자랑하는 것 같습니다. 저도 자주 시청하는 <세계테마기행>이라는 여행 프로그램에 출연하게 되었다고 합니다. 그것도 인도네시아의 순다열도라는 오지였던가 봅니다. 아르헨티나에 이어 두 번째 출연하는 것이라 합니다. 사실 그 프로그램을 보면서 어떤 분이 출연의 행운을 얻는지 궁금했는데, 제작진과 인연이 닿는 분이 출연하는 듯합니다. 사실 작가가 써주는 내용을 자연스럽게 소화해낼 수 있는가가 중요할 것 같습니다.

읽다보면 여행경험도 많고, 책도 많이 읽었구나하는 느낌을 얻습니다. 읽는 호흡도 좋은 것을 보면 본업인 그림그리기에 더하여 필력도 대단한 것 같습니다. 첫 번째 주제인 ‘행운’을 이야기하면서 작가는 패키지여행이 싫어서 자유여행을 떠난다고 했지만, 결국은 론리플래닛과 같은 여행관련 서적에 매달려야 하는 한계가 있다고 토로합니다. 결국 여행가이드북이 안내하는 길을 벗어나야만 ‘초행자의 행운’을 얻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런 경우에는 의외의 위험한 상황을 만날 가능성이 높다는 점도 반드시 고려해야 할 것입니다.

자연이라는 주제를 두고 여행지의 빛과 색을 이야기하면서 유적을 감상하는 법에 관하여 다치바나 다카시의 <에게, 영원회귀의 바다>의 한 구절을 인용합니다. “유적을 즐기는데 꼭 지식이 필요하지는 않다. 그 자리에 잠자코 앉아 있기만 하면 된다. 중요한 것은 ‘잠자코’와 ‘잠시’이다. 가능하다면 두 시간쯤 잠자코 앉아 있는 것이 좋다. 그러면 2천 년, 혹은 3천 년, 4천 년이라는 까마득한 시간이 눈앞에 굴러다는 것이 보인다. 추상적인 시간이 아니라 구체적인 시간으로 보이게 될 것이다.”

사실 이 말이 틀린 말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만, 공감하기 어렵겠다는 생각입니다. 일단 유적의 이력에 대한 기본적인 사항을 파악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생각입니다. 유적이란 현대미술작품을 이해하는 것과 같을 수 있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현대미술작품도 아는 만큼 보인다고 하지 않습니까? 화가에 대하여 작품의 제작과정에 대한 다양한 정보는 그 작품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생각입니다.

또한 피에르 바야르의 <여행하지 않은 곳에 대해 말하는 법>에서 인용한 “우리가 가보지 않은 장소들은 꿈이나 백일몽처럼 기능하며, 무의식적 환상들을 펼치고 억압을 제거하기에 더없이 적당한 공간을 제공한다(155쪽)”라는 구절도 그렇습니다. 저자가 말한 것처럼 <세계테마여행> 같은 여행프로그램을 보는 것과 직접 현장에 가서 보는 것은 분명 엄청난 차이가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텔레비전에서 본 것하고 똑 같네’라고 하시는 분들이 과연 얼마나 되는지 궁금합니다. 여행에 관하여 기록하는 것에 대한 저자의 생각은 공감할 점이 분명 있습니다. 사진을 찍는 것보다는 기록으로 남기는 것이 좋다거나 저자처럼 그림을 그려 남기는 것도 좋겠습니다.

어떻든 저에게는 여행이란 배움의 기회가 되고 있습니다. 여행지에서 보고 들은 것은 물론 다녀와서 수집한 다양한 정보를 담아 여행기를 정리하고 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