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너의 진리다 - 바그너에 대한 니체의 진심
이동용 지음 / 이담북스 / 2018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에 읽은 <사람이 아름답다; https://blog.naver.com/neuro412/221200052374>을 쓴 이동용님의 신작 니체연구서입니다. 저자가 니체에 천착하는 이유는 머리말 처음에 ‘반복의 미학’이라고 저자가 규정한 니체철학의 속성에 빠져든 탓이 아닐까 생각해보았습니다. <나는 너의 진리다>에서 저자는 ‘바그너에 대한 니체의 진심’이라는 부제처럼 한때 바그너에게 애정을 바쳤던 니체가 바그너와 결별하게 된 이유를 따지고 있습니다.

니체가 바그너를 만났던 것은 23살 때였고 38살이 되던 1882년 바그너가 그리스도교적 모티프를 많이 인용한 <파르지팔>을 발표하고 국수주의적이고 반유대적 성향으로 기울면서 결별했습니다. 저자에 따르면 두 사람의 결별에 관하여 니체가 발표한 글을 통해서만 알려지고 있을 뿐, 니체와의 관계에 관하여 바그너가 발표한 글은 별로 없다고 합니다. 두 사람이 교유를 맺는 동안 주고받은 편지도 많았음에도 바그너의 편지는 아직도 공개되지 않고 있는 듯합니다.

프랑스 여류화가이자 시인 마리 로랑생은 세상에서 가장 가여운 여자는 ‘잊혀진 여자’라고 했습니다. 사랑하던 남자의 관심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이 죽는 것보다 더 힘든 일이라는 것입니다. 그렇다고 보면 바그너가 죽은 뒤에까지도 할 말이 많이 남았던 니체는 정말 바그너를 사랑했던 것은 아닐까요?

저자 역시 그런 무엇을 느꼈던 것 같습니다. “사랑하지만 마음을 정리해야 한다. 사랑하지만 인연의 끈을 끊어야 한다. 사랑하지만 멀어져야 한다. 사랑하지만 등을 돌리고 가야 한다. 돌아보면 안 된다. 다시 사랑할까 두려워서다.” 그래서 저자는 니체와 바그너의 관계를 다시 조명해보기로 한 것 같습니다. 비록 알려진 바그너의 심중은 없지만, 니체가 남겨놓은 글의 행간을 읽다보면 니체의 본심이 읽히지 않을까 싶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반시대적 고찰>의 네 번째 「바이로이트의 리하르트 바그너」, <바그너의 경우>, <니체 대 바그너> 등 니체의 저술가운데 바그너에 관한 것들을 분석하게 된 것입니다.

제1장 ‘음악의 정신으로부터 철학적 글쓰기’부터 제8장 ‘사랑해야 할 때’까지 여덟 개의 소제목으로 분석을 펼치고 있지만, 니체가 바그너를 만나 빠져들게 된 이유와 결별과 만남을 반복하게 된 이유, 결국 관계를 정리하게 된 이유에 이르기까지를 다양한 자료를 인용하여 정리하였습니다.

니체가 바그너를 경외하게 된 것은 다른 음악가들과는 달리 신화를 주제로 선택하였고, 신들의 세계에서 흔히 말하는 신의 섭리에 따르지 않는 영웅을 그리고 있었기 때문이었다고 합니다. “천재에게는 신의 섭리란 준재하지 않는다. 단지 일반 대중들과 그들의 곤경을 위해서만 섭리라는 것이 있을 뿐이다. 그들이 발견하는 것은 자기만족이고, 후에는 자기변명이다(47쪽)” 즉 당시까지 유럽을 지배했던 ‘하나님의 뜻’을 넘어서고 있다고 보았던 것입니다. 기존의 이성에 반대하여 새로운 이성을 구축하고, 기존의 도덕 너머에 있는 새로운 도덕을 추구한 니체의 생각과 잘 맞았던 것입니다. 뿐만 아니라 니체는 바그너에게서 혁명을 읽었던 것입니다.

그랬던 바그너였지만, 니체의 마음에 의혹의 그림자가 드리웠던 것은 바그너가 변화무쌍했다는 것입니다. 언제나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천재에게서 볼 수 있는 특징일 수도 있습니다. 바그너에 빠져 있을 때는 보이지 않던 무엇이 콩깍지가 떨어지면서부터는 미심쩍은 부분이 조금씩 커져갔을 수도 있습니다. 특히 바그너가 추종자들에 둘러싸이면서 변화하는 모습을 보면서 실망에 빠지기 시작했을 수도 있습니다. 맹신자들에 떠받들어지면서 바그너는 추종자들을 지배하기 시작합니다. 특히 바그너 후기의 독일의 사회적 분위기가 바뀌게 된 것도 한 몫을 했다고 합니다. 철혈재상 비스마르크의 보좌로 빌헬름1세는 독일을 통일하여 제국으로 발돋움하고 나폴레옹에게 당한 패배를 되갚아주었던 것입니다. 이 시기의 바그너는 앞서 말씀드린 대로 국수주의적이고 반유대적 성향으로 변하였던 것이 니체가 결별을 결심하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고 합니다. 결국 니체는 바그너에 대한 사랑을 접는 과정에서 진리에 대한 사랑을 발견하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이 책의 제목이기도 한 ‘나는 너의 진리다’라는 경지에 이르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