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은 미래를 향한다 - 뇌과학과 철학으로 보는 기억에 대한 새로운 이야기
한나 모니어.마르틴 게스만 지음, 전대호 옮김 / 문예출판사 / 2017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외부로부터 받아들인 정보와 생각들을 저장했다가 되살리는 기전을 기억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그 기억이 만들어지고 이용하는 절차는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많은 부분이 여전히 신비 속에 싸여 있는 형편입니다. 그래서인지 문학, 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기억을 다루고 있습니다. 기억은 저 개인으로서도 중요한 관심사이기도 합니다.

뇌과학자 한나 모이어와 철학자 마르틴 게스만이 같이 쓴 <기억은 미래를 향한다>는 뇌과학과 철학이 손을 잡고 기억에 대한 새로운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고 해서 읽어보게 되었습니다. 두 사람의 계획을 듣고 ‘물고기와 새가 서로 좋아할 수도 있겠지. 하지만 같이 살 보금자리를 어디에 마련하지?’라고 이야기한 동료가 있었다고 합니다. 그만큼 이질적으로 보인다는 것이겠지요.

하지만 뇌과학은 인간의 정신활동의 본질을 과학적으로 탐구하는 학문이며, 철학은 인간의 정신이 무엇이고 어떻게 작동하는지 사고하는 학문이라는 점에서 본다면 이 두 학문은 어디에서든지 다시 만나야 할 운명을 가지고 있다는 것이 두 저자의 생각이었던 것 같습니다. 바로 그 ‘어디’는 미래가 되어야 했던가 봅니다. 그 미래에서 만나기 위하여 두 저자는 기억에 관한 여덟 가지 주제를 정하였습니다. 기억이 만들어지는 기전을 1장 기억 혁명에 담았습니다. 기억이란 외부로부터의 받은 정보를 머릿속 어디엔가 있는 방에서 집어넣었다가 필요할 때 끄집어내는 것이 아니라 어떤 신경생물학적 기전으로 만들어지고 되살려내는가를 설명합니다.

2장 꿈과 수면중의 학습에서는 외부로부터 받아들인 정보, 즉 일과성 기억이 어떤 과정을 거쳐 영구적인 기억으로 자리잡게 되는가를 설명합니다. 그리고 그 과정에는 수면이라는 요소가 꼭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심지어는 수면 중에 꾸는 꿈을 통하여 기억이 강화된다는 내용을 3장 꿈을 통한 능력 향상에서 다루었습니다. 4장에서는 기억이 오작동되는 경우 즉 상상과 거짓 기억이 만들어지는 이유를 설명합니다. 5장에서는 우리가 얻은 정보만 기억하는 것이 아니라 감정도 기억된다는 내용을 담았습니다. 6장에서는 기억도 시간이 흘러갈수록 퇴화되는데, 특히 치매와 같은 퇴행성질환에서는 그 정도가 심각할 수 있다는 점을 일깨웁니다. 7장에서는 기억의 미래에 관한 이야기로 집단기억이라는 개념에 대하여 설명합니다. 9장은 그리 머지 않은 미래가 될 것입니다만, 기억을 내려받거나 올려받는 세상이 과연 올 것인가를 논합니다.

개인적으로는 기억이 만들어지는 과정이나 끄집어내는 과정에 대한 신경생물학적 설명은 비교적 쉽게 이해가 되는 반면 기억에 대한 지금까지의 철학적 논의나 기억의 미래에 관한 철학적 해석은 금세 손에 잡히지 않는 점이 있었습니다.

특히 집단기억이라는 주제는 사실 리처드 도킨스가 <이기적 유전자>에서 이야기한 문화유전자(ala) 만큼이나 생경한 느낌을 받았습니다. 특정집단에 공유하는 기억은 구성원들이 직접 겪어보지는 못했더라도 집단 안에서 구전이나 다양한 방식을 통하여 전파되어 알고 있는 기억이라 할 것입니다. 기억의 저장이라는 것이 개인의 경우 뇌 안에 저장하는 무형의 것도 있지만, 글이나 동영상과 같은 다양한 보조매체를 활용할 수 있는 세상이 되었기 때문에 기억의 경계가 확장되고 있으며, 그것을 집단으로까지 넓혀본다면 기억의 한계는 거의 무한대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개인의 기억을 누군가에게 직접 전이시킬 수 있는 기술이 과연 가능할 것인가는 여전히 불확실한 영역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