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휴가지에서 읽는 철학책 - 떠남과 휴休, 그리고 나의 시간
장 루이 시아니 지음, 양영란 옮김 / 쌤앤파커스 / 2017년 7월
평점 :
절판
전통적으로 철학이란 ‘세계와 인간과 사물과 현상의 가치와 궁극적인 뜻을 본질적이고 총체적으로 천착하는 학문이라고 정의합니다. 대상에 따라서 그 깊이가 다양할 수 있겠습니다만, 우리의 일상적인 삶이 철학적 사유의 대상이 될 수도 있겠습니다. 그런 점에서 휴가지에서 철학적 사유를 하는 것이 특별한 일이 아닐 수도 있습니다. 저 역시 여행을 떠나면서 그리 무겁지 않은 철학적 주제를 다룬 책을 가져가는 경우가 많습니다만, <휴가지에서 읽는 철학책>은 ’떠남과 휴(休), 그리고 나의 시간‘이라는 부제가 달린 것처럼 휴가지에서 건진 철학적 사유를 정리하고 있습니다.
서문에서 저자는 특정하지는 않았습니다만, 오랫동안 꿈꾸고 그리던 바닷가로 떠나서 ‘잉ㄴ간을 궁극적으로 좀 더 명철하고 자유롭고 행복한 존재로 만들겠다는 목적을 지난 삶의 기술을 펼쳐’보는 기회를 만들었다고 했습니다. 그 이유로, ‘철학은 경이로움을 품을 줄 알고, 사랑하고 읽고 쓰고 대화하고 걷는 일 따위에 몰두했다. 철학을 한다는 것은 이론적 체계를 구축하는 일이 아니라, 자기 자신을 돌아보고 불행의 가능성을 예견하며, 거리감을 유지하고 친구를 위로하는 등의 개별적 사유활동’이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름철을 위한 이 작은 철학책은 ‘휴가를 사유 안’에, 또는 ‘사유를 휴가 안’에 슬쩍 밀어넣을 것이다. 벼르고 별러서 마침내 찾아온 이 해변에서 사색뿐 아니라 실천의 장이 열리게 될 것이고, 그럼으로써 급진적인 독창성을 가진 철학이 펼쳐지게 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물론 휴가를 거처하는 장소에서 보낼 수도 있습니다만, 저자는 뜨거운 태양이 작열하는 어느 바닷가로 향합니다. 즉 여행을 전제로 하고 있습니다. 여행은 떠남과 돌아옴을 수반합니다. 다른 곳으로 이동하기는 바로 우리의 삶과 욕망, 사유의 움직임 그 자체라고 정의합니다. 즉 미지의 장소로 들어간다는 것은 사유를 수반하는 것이므로 철학하는 일의 시작이라고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철학을 위한 여행지가 바닷가 인만큼, 여행지에 도착하여 그곳의 풍광으로부터 무언가를 느끼고, 머물 자리를 찾아 정리를 하고 걷고, 놀고, 모래 위에 몸을 눕히는 등의 행위 등은 물론 명상과 관조를 통하여 느끼는 바를 정리합니다. 뿐만 아니라 그곳에서 만나는 사람과 소통하고 사랑하고, 기뻐하고 웃는 등 다양한 감정들을 얻을 수 있을 것이며, 이런 것들 또한 사유거리가 되는 셈입니다.
다람쥐 쳇바퀴 돌 듯한 일상에서 벗어나면 어디로 향하든지 우리를 옥죄던 시간의 속박이 느슨해집니다. 저자의 말대로 ‘우리는 현재의 시간에 닻을 내리는’ 셈입니다. 그리하면 우리의 일상에 점철되어 있던 수많은 걱정거리들이 팽팽하던 풍선에서 바람이 빠져나가듯 하나씩 시나브로 사라져갑니다. 저자는 이 대목에서 ‘철학은 우리가 자신의 약점과 무력감에 대처하는 경험을 통해서 태어났다’라는 스토아 철학자 에픽테토스의 화두를 인용하여 휴가를 철학에 연결합니다. 저자는 휴가지로 향한 출발에서 돌아오기까지의 전 과정에 수많은 철학적 사유의 결과물들을 인용하여 휴가를 철학적으로 즐기는 방법을 소개합니다.
특히 휴가지에서 일상으로 돌아가는 길에는 휴가에서 얻은 철학적 결과물을 되새김하기까지 합니다. 그 과정을 꽤나 현학적으로 표현합니다. ‘우리의 기억은 숭숭 뚫린 공간 사이에서의 체류를 재구성한다. 여름 한철의 휴식 총결산’ 저자가 여름의 바닷가를 철학적 사유의 화두로 삼은 이유는 ‘겨울의 한가운데서, 나는 마침내 내 안에 꺽이지 않는 여름이 깃들어 있음을 알게 되었다.(98쪽)’라고 한 알베르 카뮈의 말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여름 바닷가는 사람들의 마음을 풀어놓는 마력을 품고 있는 것이다.
‘드디어 떠나왔다. 한가로움을 얻어낸 이 해변에서 무엇을 할까?’라고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져놓고 보면, ‘딱히 할 일이 없다. (아니)전혀 없다.’는 것을 깨닫게 됩니다. 하지만 아무 것도 하지 않는다는 것이 결코 쉽지 않다는 것도 깨닫게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