셰익스피어 배케이션
김경 지음 / 웅진지식하우스 / 2009년 9월
평점 :
품절


 

 

지난 여름, 영국을 돌아본 여행상품의 이름이 ‘셰익스피어에게 여행을 묻다’였습니다. 여행지 가운데 셰익스피어와 관련이 있는 곳이라고는 그의 생가뿐, 오히려 해리포터와 관련된 곳이 훨씬 많았습니다. 어떻든 여름휴가를 이용해서 셰익스피어와 관련이 있는 곳을 다녀왔으니 ‘셰익스피어 배케이션’이란 이런 여행을 말하나 싶었습니다. 그래서 읽어보게 된 것인데, <셰익스피어 배케이션>은 전혀 다른 이야기였습니다. 저자의 설명에 따르면 영국의 빅토리아 여왕은 공직자들에게 3년에 한 번 꼴로 한 달 남짓의 유급휴가를 주었다고 합니다. 구글 검색에서 찾아보았지만, 사실 확인은 되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저자는 세종대왕께서 젊은 선비에게 휴가를 통해 집에서 책을 읽도록 하는 사가독서(賜暇讀書)를 처음 시행한 것을 빅토리아 여왕의 셰익스피어 배케이션과 같은 맥락으로 엮었지만, 궤를 달리하는 것 같습니다. 그러니까 셰익스피어 배케이션은 독서휴가는 아니었던 것입니다. 이름이야 어떻든 저자는 휴가를 받으면 집에서 책을 읽는 쪽을 선택한다고 했습니다. 그런 저자가 대실 헤밋의 <몰타의 매>를 읽게 된 것을 계기로 지금까지의 삶을 정리하는 시간을 갖게 되었다는 것이고, 그 과정을 정리한 것이 <셰익스피어 배케이션>이라는 것입니다. 즉 1년의 무급휴가를 받았는데, 영국에서 휴가를 시작하여 몰타, 파리, 베르셀로나, 세비야, 리스본, 로마, 취리히, 부다페스트, 베를린, 하이델베르크, 뮌헨, 프랑크푸르트에서 마무리를 했다는 것입니다.

 

 

이렇듯 하던 일을 훌훌 털고 떠날 수 있는 사람이 과연 몇이나 될까 싶어 부럽기도 하면서 그동안 어떻게 먹고 살았는지도 궁금합니다. 역시 먹고 사는 일은 중요하니까 말입니다. 아마도 결혼 전이었지 싶습니다. 이야기의 시작은 책이 있는 휴가일 듯합니다. 물론 책에 관한 이야기도 적지 않게 등장합니다만, 딱히 책만이 아닌 일탈에 가까운 모습도 볼 수 있어서 책 읽는 이들이 선뜻 따라하려면 상당한 용기를 내야 할 것 같기도 합니다. ‘원 나잇 스탠드’에서 변태적인 관계에 이르기까지 책읽기와는 거리가 먼 이야기를 천연덕스럽게 담아낼 수 있을까하는 의문이 들기도 합니다. 잠시 머문 곳도 있지만, 한 달 이상 살면서 그 곳의 속살까지 들여다보는 진정한 의미에서의 여행이라면 책은 그저 핑계가 되었을 수도 있겠습니다.

 

 

읽다보니 저자가 소개한 책들 가운데 버트런드 러셀이 <행복의 정복>, 존 버거의 <여기 우리가 만나는 곳>, 파스칼 메르시어의 <리스본행 야간열차>,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 등은 마침 읽은 바가 있습니다만, 읽는 이 나름의 관점에서 책을 읽는구나 하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저자 덕분에 여행과 책을 엮어서 쓰고 있는 글에 많은 도움을 얻는 책읽기였습니다. 저자의 관점에 대해서도 쓸 기회가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앞에 나온 도시에서는 오랫동안 머물면서 사연이 많았던 모양으로 쪽수가 꽤나 되는 반면 뒤로 갈수록 쪽수가 얇아지는 듯한 느낌입니다. 잠깐 머물렀기 때문에 그만큼 느낀 무엇이 많지 않았기 때문일까요? 사실 모로코의 탕헤르나, 나미비아, 케이프타운, 안나푸르나 등이 서운해 할 것 같습니다. 어쩌면 3부에 등장하는 도시들은 저자가 보낸 1년의 휴가기간에 포함된 것이 아니라 다른 이유로 다녀온 여행지였을지도 모르겠습니다.

 

1년이라는 긴 여행을 마치고, “여행의 매력은 휴식이나 도피, 혹은 기분전환이 아니라 그러한 사소한 체험에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여기서 사소한 체험이란 ‘숙취에 시달리던 어느 일요일 오후 바르셀로나의 한 신호등 앞에서 만난 한 중년 남자와의 잡담을 나눈 일’을 의미하는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