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으로 그린 베이징
왕천 지음, 임화영 옮김 / 이담북스 / 2016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알랭 드 보통은 여행의 추억을 남기는 방법 가운데 가장 좋은 것은 글로 쓰기를 들었고, 이어서 그림으로 남기기도 좋은 방법이라고 하였던 것 같습니다. 보고 들은 것을 모두 정리하기에는 글로 쓰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만, 본 것을 남기는 방법으로는 그림이 더 나을 듯합니다. 요즈음에는 사진을 찍는 것이 최고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은 것 같은데, 막상 나중에 사진을 들여다보면 별로 남은 기억이 없다는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사실 본 것을 그림으로 나타내려면 사물을 잘 관찰해야 하고, 그런 가운데 느낌이 강하게 기억으로 남게 되는 것입니다.


그림도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스케치의 경우는 사물의 핵심 인상을 굵고 간략하게 표현하는데 반하여 세밀화의 경우는 미세한 부분까지도 표현하기 때문에 더욱 현장감을 살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펜으로 그린 베이징>의 경우가 바로 그런 경우입니다. 수년 전에 업무차 베이징을 방문했지만, 체류 기간이 짧았기 때문에 천안문 광장에 잠시 서 있었던 것 외에 별다른 구경을 할 여유가 없었가 때문에 베이징에 대한 기억이 별로 남아 있지 않습니다. 그래서인지 <펜으로 그린 베이징>에 담은 다양한 소재들이 생소하기만 한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가지 관점에서 대단하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첫 번째는 베이징이라는 도시의 역사성이 될 것 같고, 두 번째는 베이징의 모습을 기억에 담아두려는 저자의 놀라운 정성이 될 것 같습니다.


<펜으로 그린 베이징>의 그리고 쓴 작가는 베이징영화학원의 미술학과를 졸업하고 지금은 중국국가천문에서 미술 편집을 담당하고 있는 왕천입니다. 중국의 수도로 유구한 역사를 가진 베이징이 최근 들어 불어닥친 개발의 바람을 타고 예스러운 모습들이 사라지는 것을 안타까워했던 것 같습니다. 그래서 골목골목에 배어 있는 전통과 문화, 역사의 흔적들을 담아내기 위하여 누각, 고성, 후퉁(胡同)이라고 부르는 골목,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노포(老圃), 그리고 발전의 표상이 되는 신도시의 건축물에 이르기까지 베이징의 다양한 모습들을 펜으로 그려내고 간략한 설명을 붙여두었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풍경을 그림으로 표현하게 되면 사진을 찍을 때 어쩔 수 없이 끼어드는 불필요한 존재나 거치장스러운 것을 생략할 수 있는 것도 장점인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가는 생략만이 능사가 아니라는 듯, 골목에 세워둔 자동차나, 자전거를 타고 가는 사람을 슬쩍 그려 넣어 풍광을 자연스럽게 표현하기도 합니다. 그리고 건물에 가지만 앙상한 나무를 그려 넣거나, 풍성한 숲을 그려 넣음으로 해서 계절감을 담아내기도 합니다. 심지어는 2층의 창밖에 걸어둔 새장까지도 적절하게 배치함으로서 분위기를 달리하기도 합니다. 심지어는 돌다리를 그리면서 물 위로 뛰어오르는 잉어를 그려 넣어 역동감을 주기도 합니다.


작가의 노력이 빛을 발하는 대목은 그려낸 건물 가운데 적지 않은 것들이 붕괴의 위험이 있다던가, 개발붐을 타고 사라져 지금은 볼 수 없다는 점입니다. 뿐만 아니라 외세의 침략을 받는 가운데 훼손된 역사적 유적을 그려 침략자들의 반달리즘을 고발하기도 합니다. 그런가하면 베이징 원인(猿人)의 유적이라거나 1,200년이나 된 은행나무를 그려낸 것도 눈길을 끌었습니다. 그리고 우리와는 다른 풍물도 엿볼 수 있기도 합니다. 예를 들면 허녠탕(鶴年堂)이라는 약국은 명나라 가정(嘉靖) 4넌(1525년)에 문을 열었다고 하는데, 중국 역사상 최초로 문인(文人)이 개업한 가장 오래된 약국이라고 합니다. 그러니까 과거 중국에서는 약국을 개설하는데 특별한 자격이 필요했던 것은 아니었던 모양입니다.


중국신문만화연구회 쑨이쩡(孫以增)회장은 추천사에서 “이 책이 놓인 내 책상 위에서 마치 천 년 고도 베이징의 발자국 소리가 들리는 듯했다.”라고 했는데, 베이징 역사의 기록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라는 의미일 것입니다. 베이징을 갈 기회가 있으면 들고가서 현장을 확인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드는 섬세한 작품과 설명이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