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오래 벼르던 <눈먼 자들의 도시>를 읽었습니다. 언젠가 시각장애우의 어려움을 직접 체험하기 위하여 눈을 가리고 길에 나서는 체험을 해보았는데, 막상 해보니 생각한 것과는 정말 다르게 어렵더라고 했던 것 같습니다. 그런데 세상의 모든 사람들이 갑자기 실명을 하게 되면 무슨 일이 벌어질까 생각해본 사람은 있을까요?
주제 사마라구는 누구도 생각지 못한 세상을 그려냈습니다. 어느 날 한 남자가 실명을 하고, 그 남자와 접촉한 모든 사람들이 연쇄적으로 실명을 하는 상황입니다. 마치 들불보다 빠르게 전파되는 전염병처럼 그저 같은 공간에 있었기 때문에 실명을 한다는 설정은 분명 의학적으로 설명이 되지 않는 것입니다. 아무리 급성 전염병이라고 해도 잠복기도 없이 발병하거나, 모든 사람이 발병하는 경우는 있을 수 없는 것입니다. 물론 한 여자만은 무슨 이유에서인지 발병이 아주 늦추어지는 특별한 경우입니다.
이 도시를 다스리는 책임자는 급성 전염병의 원인을 규명하기보다는 일단 발병한 사람을 모두 붙들어다 격리시키는 강력한 질병통제 체계를 수립하고, 심지어는 환자와 접촉한 사람까지도 발 빠르게 격리하는 조치를 취하지만, 이 병의 전파력은 발병하는 순간 통제력을 마비시키는 독특한 양상으로 전개됩니다. 어떻든 눈먼 사람들을 모아놓은 곳에서는 예기치 못한 상황이 벌어집니다. 지키는 사람들의 지나친 경계태세로 인하여 환자가 죽어가고, 격리는 했지만, 간병은커녕 그들이 기본적으로 필요로 하는 음식과 생필품의 제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필연적으로 악의 무리가 등장하게 된 것입니다. 처음에는 선의를 가진 사람들에 의하여 주도되던 격리생활이 폭력적인 인물이 등장하면서 왜곡되면서 인간을 비참한 지경으로 몰아갑니다. 쥐꼬리만큼 배급되는 식품을 힘으로 장악하고 금품을 요구하거나, 심지어는 성폭행을 일삼으면서 인간임을 회의케 만드는 상황에 이르게 됩니다.
힘은 묘하게 균형을 맞춘다는 자연계의 변치 않는 원리가 있습니다. 어느 한 편이 상황을 장악했다고 생각하는 순간 반전이 일어난다는 것입니다. 격리시설 안에서도 힘을 휘두르던 집단이 분명 나약해 보이는 한 여성에 의하여 무너지는 상황이 벌어지고,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역시 희생을 강요당하던 여성에 의하여 불타 죽고 맙니다. 희생을 강요당하던 사람들은 그 사이에 탈출에 성공하지만, 이미 시설을 감시하던 군인들 모두가 눈이 멀어 철수한 상황입니다. 결국 도시의 기능이 마비되고 말았던 것입니다. 무정부상태에서 각자 알아서 살아야 하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격리시설에서 같은 병실을 사용하던 일곱 사람들이 서로 도와가면 생존을 모색하면서 상황은 조금씩 나아집니다. 결국은 처음 실명이 급성전염병처럼 번지는 상황에서는 인간의 본성이 정말 이럴까 싶을 정도로 바닥까지 추락하지만, 그 가운데서 유일하게 병에 걸리지 않은 한 여성을 중심으로 새로운 희망을 보이기 시작하는 것입니다. 저자는 그래서 인간세상이 살맛나는 점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자 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필연적으로 눈먼 사람들의 시력이 발병했던 것처럼 갑자기 돌아옵니다. 그 구원의 공간은 안과의사의 집입니다. 이런 상황은 의학적으로도 설명이 가능할 것 같습니다만, 증상이 갑자기 나빠지는 전염병에서는 고비를 넘기는 순간 빠르게 회복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 말입니다.
저자는 익명 속에 악이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내려했음인지 등장인물에게 이름을 부여하지 않습니다. 끝까지...
도시에 급성 전염병이 시작할 즈음에는 상상했던 것 이상의 통제능력을 보여주었던 정부가 후속조치에는 전혀 이성적이지 못한 점이 이해되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전문가 집단은 무엇을 하는지 그저 군을 동원하여 격리하는데만 최선을 다하는 모습을 보면서, 지난해 우리 사회를 뒤흔들었던 메르스의 확산사태를 떠올린 것은 공연한 일이었을까요? 읽어가면서 점점 심란해지는 자신을 느끼던 힘든 책읽기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