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식탁 위의 세상 - 나는 음식에서 삶을 배웠다, 환경부 선정 "2016 우수환경도서"
켈시 티머먼 지음, 문희경 옮김 / 부키 / 2016년 1월
평점 :
신토불이를 외치던 것이 불과 얼마되지 않은 것 같은데, 우리네 밥상을 채우고 있는 음식의 식재료는 벌써 글로벌화가 되었다는 것을 아는 사람들은 몇 안 되는 것 같습니다. ‘나는 음식에서 삶을 배웠다’라는 부제를 달고 있는 <식탁 위의 세상>은 먹는 것에 대하여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드는 책읽기였습니다. 미국인인 저자는 아무래도 우리네와는 즐겨 먹는 것이 다르기 때문인지, 커피, 초콜릿, 바나나, 바다가재, 사과주스 등의 원산지를 따지면서 미국산인 자신의 인생을 돌아보고 있습니다.
마침 커피는 이번에 다녀온 콜롬비아가 무대가 되고 있기도 하고, 최근에 관심을 가지게 된 공정무역의 뒷이야기도 들을 수 있었던 점에서 관심이 컸습니다. 콜롬비아를 떠나던 날 현지가이드는 공항에 있는 후안 발데스 커피숍에서 우리들에게 후안 발데스 커피를 한 잔씩 돌렸습니다. 이 후안 발데스 상표는 콜롬비아커피생산자협의회가 내세우고 있는데, “50만 명이 넘는 콜롬비아커피농부들이 뜻을 모아 전국커피기금을 조성하고 6천개가 넘는 학교를 지었습니다. 36만 명의 아이들이 산악지대에 살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집에서 가까운 초등학교에 다닐 수 있게 되었습니다.(25쪽)”라고 내세우는 것을 보면, 생산자의 수익을 보장하고 복지를 챙겨주는 공정무역의 대표적인 상표가 아닌가 싶습니다.
콜롬비아의 대표적인 커피생산지는 나리뇨인데, 나리뇨의 화산토에서 커피 농사를 지으면 커피나무에 특별한 성질이 더해져 품질이 향상되는 것으로 믿는다고 합니다. 콜롬비아의 경사가 급한 산비탈에 조성된 커피농장은 관리하는 것이 무서울 정도라고 합니다. 특히 반군들이 농장지역을 장악하고 있어 상당히 위태로운 면이 있다고 합니다.
그런데 코트디부아르, 부르키나파소, 가나 등 소위 아프리카의 황금해안 지역에서 생산하는 코코아의 경우는 콜롬비아 커피보다 생산 환경이 더 열악한 모양입니다. 특히 다국적 기업이 장악하고 있는 세계 식품 무역의 경우 다국적 기업의 횡포가 자심한 분야이기도 하며, 코코와를 생산하는 노동자들이 거의 노예수순이라고 폭로하고 있기도 합니다. 미국 시장에 공급되는 바나나는 주로 리카라콰에서 중앙아메리카의 코스타리카가 주요 생산국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바나나의 경우는 놀랍게도 1,200종이 넘는 품종이 있지만, 미국시장에 공급되는 품종은 캐번디시종인데, 비즈니스 모델로 굳어졌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바나나의 모든 유통체계가 캐번디시종을 기준으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에 맛도 다소 떨어지고, 병충해에 취약한 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 품종으로 가고 있다는 것입니다.
바다가재 역시 놀랍게도 니카라콰가 주 생산지라고 합니다. 문제는 잠수부들이 나서서 바다가재를 건져 올리는 체계로 되어 있어 잠수부들의 생명을 위협하고 있을 뿐 아니라, 남획이 문제가 되고 있다는 것입니다. 니카라콰산 바다가재를 포획하는 과정을 설명하다가 몬토레이 수족관에서 주관하는 ‘수산물 감시 추천 가이드’라는 것이 있다는 사실을 처음 알게 되었습니다. 책임감을 가지고 수산물을 먹는 방법을 안내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대체적으로 식품의 생산지를 직접 방문하여 확인을 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한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관련 업체에서도 적극적으로 나서는 것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사과주스는 생산하는 중국의 경우는 그리 어려운 일이 아니었던 모양입니다. 중국은 세계 제1위의 사과 생산국이라고 하는데, 맛에서도 우수한 품종이 재배되고 있는지는 모를 일입니다. 사과의 경우는 소비자의 성향에 따라 각기 다른 품종을 키우는 경향이 있는 대표적인 작물이라고 해야 할 것 같습니다.
먹는 일은 동양이나 서양이나 모두 중요한 일입니다. 그래서 저자는 어떤 일이 있어도 잘못된 식습관을 정당화해서는 안될 일이라고 잘라 말하였습니다. 바나나 한 개, 커피 한 잔이 삶을 바꿀 수 있다는 점을 잘 인식해야 하고, 특히 공정무역에 의한 생산물인지를 확인하는 성의를 보여야 할 것이라고 합니다. 공정무역의 핵심은 공급망의 투명성, 환경 및 사회 기준이 확립되어 있고, 모든 당사자들이 이익을 균등하게 가져가는 거래 관계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