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찰, 평범에서 비범으로
게리 클라인 지음, 김창준 옮김 / 알키 / 2015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번은 우연이고, 두 번은 인연이며. 세 번은 운명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그런데 몇 번째인지를 기억하지 못하는 것이 문제인 것이지요. 의학을 전공하는 분들은 이미 알려져 있는 질환의 양상과는 다른 사례가 반복되는 것에 비교적 민감한 편입니다. 새로운 질환을 만날 가능성을 최대한 열어놓고 있는 것입니다. 물론 기존의 질환의 범주에서 설명하려고 최대한 노력을 하지만, 차이점은 분명하게 정리를 하는 것이 몸에 배어 있는 셈입니다.

 

그런데 첫눈에도 기왕의 경우와 다르다는 것을 꿰뚫는 비범한 분들, 즉 통찰력이 뛰어난 분들이 있다고 합니다. 이렇게 남들이 보지 못하는 것들을 꿰뚫어 보는 통찰력을 갖추는 것은 복잡다단한 세상을 잘 살아내는데 큰 도움이 된다고 합니다. 바로 40년 이상 인지과학 분야를 연구한 자연주의적 의사결정이론을 창시한 게리 클라인박사가 <통찰, 평범에서 비범으로>에서 자세하게 설명하고 있습니다.

 

저자는 ‘더 나은 이야기로의 예상치 못한 이동’이라고 통찰을 정의하였습니다. 그리하여 통찰은 우리가 이해하고, 행동하고, 보고, 느끼고, 욕구하는 것을 바꾼다고 설명합니다. 무엇이 깨달음이 번뜩이도록 만드는지를 뒤쫓기 위하여 저자는 다양한 자료에서 120건의 통찰의 사례들을 수집하여 분류를 해보니, 연결, 우연의 일치, 호기심, 모순, 창의적 절망이라는 서로 다른 다섯 종류의 전략을 통하여 통찰이 일어나는 경향이 있음을 알아냈습니다. <통찰, 평범에서 비범으로>에서는 통찰의 미스터리를 풀기 위한 저자의 연구과정을 요약하고 있습니다.

 

1부, ‘통찰의 문으로 들어가다’에서는 이미 알고 있는 것과는 다른 무엇에 눈을 뜨게 하는 통찰의 힘이 어디에서 오는지를 찾는 과정입니다. 살아있는 벌레에 초록색 형광 단백질을 집어넣어 이 단백질이 어떻게 퍼져가는지를 눈으로 볼 수 있도록 함으로써 노벨생리의학상을 받은 마틴 챌피의 사례, 역사상 최대의 폰지사기를 저지른 나스닥회장 버니 메이도프를 10년여 추적하여 결국은 자수하도록 만든 무명의 금융분석가 해리 마르코폴로스의 사례, 에이즈의 유행을 처음 알아차린 UCLA의 마이클 고톨리프박사의 사례 등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책을 읽는 분들의 분야가 아닌 경우에는 다소 이해가 어려울 수도 있겠다 싶었습니다. 제 경우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을 발견하고 이 세균이 위궤양 및 위암과 연관이 있음을 증명하여 노벨상을 받은 배리 마셜박사의 사례나 황열병이 모기에 의하여 매개된다는 사실을 밝혀낸 월터 리드박사의 사례처럼 질병과 관련하여 통찰력을 발휘한 사례들이 있어 조금 이해가 쉬웠습니다.

 

사례분석을 통하여 저자는 다섯 가지의 통찰에 이르는 전략들 가운데 연결, 우연의 일치 그리고 호기심이 ‘함의의 발견’이라는 공통점으로 묶을 수 있겠다는 결론에 도달하였습니다. 그리하여 비일관성을 찾아내는 ‘모순경로’, 함의를 발견하는 ‘연결경로’ 그리고 막다른 골목을 탈출하는 ‘창의적 절망 경로’의 세 가지 경로로 압축해냈습니다. 이들 경로에서는 이야기를 재구성하기 위해 약한 닻을 사용하거나, 새로운 닻을 추가하거나, 약한 닻을 버리는 활동을 통하여, 행동, 보기, 느끼기, 원하기 등 우리의 이해를 바꾸기에 이른다는 결론을 맺게 되었습니다.

 

2부, ‘문을 닫다’에서는 통찰을 방해하는 요소들을 짚고 있습니다. 행동에서의 어리석음이라거나, 결함이 있는 믿음, 통찰을 가로막는 조직 등의 요소들입니다. 재미있는 것은 과학자들이나 의사들 역시 자기 믿음과 모순되는 이례적인 일을 대충 얼버무리는 경향이 있다고 합니다, 이를 ‘지식 방패’라고 부른다고 하는데, 실수를 저지르지 않기 위하여 자신을 돌아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저자는 문제를 지적하는데 그치지 않고, 통찰을 촉진시킬 수 있는 구체적 방법을 3부, ‘문을 열다’에서 설명하였습니다. 나 자신을 돕고, 다른 사람과 조직을 돕는 것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도움을 얻게 되는데, 이는 결함이 있는 믿음을 바로 잡으려는 노력하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입니다. 저자는 자신이 제시한 통찰에 이르는 세 가지 경로 모형아 대체적으로 잘 맞아 들어간다고 하면서도 반드시 올바른 해법이나 만족스러운 결말만 있는 것은 아니라고도 했습니다. 특히 사람들에 대한 통찰의 경우가 그렇다고 합니다. 이러한 한계를 인식하고 마술과 같은 통찰력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개인적인 노력이 효과를 볼 수도 있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