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뇌는 착각에 빠질까 - 뇌과학이 들려주는 속임수의 원리
스티븐 매크닉 & 수사나 마르티네스 콘데 지음, 오혜경 옮김 / 21세기북스 / 2012년 3월
평점 :
절판


방금까지 여기 있던 사람이 ‘펑’하고 사라지거나, 사람이 들어가 있는 상자에 칼을 푹푹 찔러대도 갇혀 있는 사람은 웃고 있는, 그런 마술을 보면 참 신기하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언제가 그런 마술의 원리를 설명하는 TV프로그램을 보면서도 신기하다는 생각을 쉽게 버릴 수 없었던 기억이 있습니다. 손 안에 없던 동전이 갑자기 나타난다거나, 텅빈 모자 속에서 비둘기가 날아오르는 등, 그런 마술들은 기본적으로 인간의 착각을 이용한다고 합니다. 그만큼 인간의 뇌가 완벽하지 못하다는 이야기인데, 신경과학을 연구한다는 제가 마술과 사람의 뇌가 나타낼 수 있는 착각이 어떻게 연결되는지 궁금하다는 생각을 해본 적이 없다는 것이 오히려 놀랍기만 합니다. <왜 뇌는 착각에 빠질까>를 읽으면서 속상하다는 생각도 해보았습니다. ‘진즉 착안했더라면 나도 이런 책을 써낼 수 있었을까?’하는 생각이 들어서입니다.

 

‘뇌과학이 들려주는 속임수의 원리’라는 부제가 의미하는 것처럼 마술의 원리를 뇌과학적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이 책은 우리가 흔히 보는 카드 마술, 동전 마술, 배니싱 마술 등이 어떤 트릭으로 이루어지는지, 또 우리 뇌가 어떤 착각을 일으키기 때문에 그 트릭이 먹히는지를 설명하고 있습니다. 마술사들이 전문마술사 조직에 가입할 때 마술의 비밀을 일반인에게 폭로하지 않겠다고 선언한다고 합니다. 저자들은 폭로보다는 과학자들로 하여금 마술사의 테크닉을 배우고 그들의 능력을 활용할 수 있게 하자는 연구를 통해서 인간의 마음이 속임수에 그토록 취약한지 근본적인 수준에서 설명해보려 했다고 합니다. 우리의 뇌가 주의를 기울이는 고유한 방식이 속임수를 가능하게 하며, 뇌가 우리를 그렇게 속여야 인간이 뇌의 자원을 더 알뜰하게 이용하고 더 잘 생존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기에 이르렀다는 것입니다.

 

재미있는 것은 훌륭한 과학자일수록 속이기가 쉽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대부분의 과학자들이 정직하고, 마술사가 어디까지 치사해질 수 있는지 모르며, 고의적인 기만에 대비하는 훈련을 받지 못하였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마술사는 시각적, 청각적, 촉각적, 사회적 조종기술을 현란하게 구사해서 주의, 기억, 인과추론과 같은 매우 정교한 인지과정을 통제한다고 합니다. 요즈음 나온 책들은 동시에 여러 가지 일을 해치우는 멀티태스킹이 가능하다고 이야기합니다. 예를 들면 운전하면서 문자를 보내기, 편지를 쓰면서 트위터 하기처럼 말입니다. 이미 운전하면서 통화를 하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지는 과학적으로 증명되고 있는 것처럼 멀티태스킹이 가능하다는 생각은 잘못된 통념이라고 저자들은 잘라 말합니다.

 

흥미로운 것은 데이비드 맥레이니의 <착각의 심리학; http://blog.joins.com/yang412/12899785>에서 ‘인지적 편견’, ‘발견적 학습’ 그리고 ‘논리적 오류’의 주제에 속하는 모두 서른아홉 꼭지의 이야기를 읽은 적이 있는데, 이 책의 저자들 역시 카드 마술, 동전 마술, 배니싱 마술 등 다양한 마술 39가지가 성립하는데 필요한 뇌의 착각이 어떤 과정을 통하여 일어나는지 설명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단순한 숫자의 일치에 불과하였을까요? 저자들은 대부분의 심리학책에서 인용하고 있는 고릴라 인식게임과 같이 유명한 심리실험들의 결과를 통하여 우리 뇌가 작동하는 기전을 설명하고 그 틈새를 파고드는 것이 마술의 원리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또한 마술사들이 자신의 비법을 공개하는 것이 뇌과학분야에서 새로운 발견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실제로 최근 발견된 부주의맹이나 변화맹은 인지과학의 발전에 크게 기여한 바 있다고 하였는데, 마술사들이 설계하는 트릭을 바탕으로 판단해볼 때, 마술사들은 분명 이러한 현상을 수 세기 동안 암묵적으로 알고 있었을 것이라고 합니다. 그 이유는 현대마술에서 보는 대부분의 기술은 19세기 이전의 마술사들이 개발한 것으로 현대 마술사들은 그저 동일한 원리의 트릭을 보다 정교하게 다듬어 온 것에 불과하다기 때문입니다. 결국 마술사들이 발견한 것을 일찍 뇌과학자들이 알았더라면 시간을 낭비하지 않았을 것이라고 합니다.

 

저자들은 마술사가 어떻게 우리 뇌를 해킹하는지 이해함으로써 우리는 그와 동일한 인지트릭이 광고전략, 기업협상, 기타 다양한 대인관계 속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더 잘 이해하게 될 것이라고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