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메모랜덤 살림지식총서 10
최성일 지음 / 살림 / 2003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특정 분야를 공부하려는 사람에게 해당 분야에 관한 책들을 모아 요약한 다이제스트가 있다면 전략적 책읽기가 가능해진다는 점에서 좋은 것 같습니다. <미국 메모랜덤>이 바로 그런 목적에 잘 어울리는 책입니다. “미국을 이끌어온 책들뿐만 아니라 미국을 이해하기 위해 필수적인 책들의 핵심적인 내용을 주제별로 소개한 책. 낱알처럼 무수하게 흩어져 있는 조각들을 씨줄과 날줄로 엮어내 미국에 대한 하나의 지도책을 완성했다. 이 책은 바로 책들을 주제로 만들어낸 한 권의 책, 수많은 책들에 흩어져있는 유익하고 재미난 정보를 한 권에 담아놓은 책이다.”라고 정리한 출판사의 책소개가 아주 일품입니다.

 

제1부, ‘미국은 이런 나라’에 이어, 제2부, ‘미국을 읽는다’ 그리고 제3부에서는 ‘미국 깊이 읽기’라는 제목으로 주제에 맞는 책들, 특히 우리나라에 소개된 책들을 요약하고 있습니다. 그 첫 번째 책은 <이것이 미국이다>라는 일종의 미국에 관한 작은 백과사전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국토면적, 인구, 종교, 국조, 국화 등 다양한 정보가 요약되어 있다고 합니다. 이어서 “진정한 미국인이란 스스로 미국인이라고 의식하는 모든 시민들을 가리킨다.”고 적은 한스 디터 겔페르트의 <전형적인 미국인>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역시 정체성은 중요한 것 같습니다. 그리고 보면, 어떤 사람이 진정한 한국인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요?

 

‘한국인의 눈에 비친 미국’이라는 제목도 흥미롭습니다. 미국 인상기를 쓴 한국인들은 크게 세 부류로 나눌 수 있다고 하는데, 유학생과 이민자 그리고 언론사의 특파원이라고 보았습니다. 하지만 최근에 해외여행이 붐을 이루고 있고, 미국여행기도 만만치 않게 소개되고 있어서 여행객도 네 번째 부류로 새롭게 넣어야 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만일 제가 미국여행를 회고해본다면 유학생으로 분류되어야 할까요 아니면 여행객으로 분류되어야 할까요? 유학생 혹은 이민자들이 쓴 책들은 대체적으로 미국정착과정에서의 애환을 많이 담는 경향이 있고, 언론인들의 경우는 대체적으로 비판적 시각으로 미국을 뜯어보고 있는 경우가 많은 것 같다고 합니다.

 

제2부의 미국을 읽는다는 키워드, 인물, 문화라는 주제를 서술하고 있는 책들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미국’하면 떠오르는 키워드로, 아메리카, 뉴욕, 월스트리트, 퍼스트레이디, NASA, 맥도날드, 코카콜라, CNN, 아미쉬, 허리우드, 스타벅스를 꼽고 있습니다. 물론 공감이 가는 키워드도 있습니다만, 대통령이 빠지고 퍼스트레이디를 고른 것이 맞는지, 그리고 아미쉬라는 공동생활체가 우리들에게 얼마나 친숙한 단어인지는 모르겠습니다. 인물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벤저민 프랭클린, 링컨, 프레더릭 더글러스, 시팅불, 올리버 스톤, 촘스키, 마더 존스, 그리고 마이클 조던을 거론하고 있지만, 스티브 잡스와 같은 이들이 빠져 있는 이유도 모호한 것 같습니다.

 

‘미국 깊이 읽기’에서 다룬 ‘미국의 국가적 토대를 다진 책들’, ‘거꾸로 읽는 미국의 역사’, ‘보수적인 정치와 사회 - 오늘의 미국을 이끄는 이념과 사람들’, ‘미국과 전쟁 - 미국은 왜 자꾸 싸우는가’라는 주제들이 가볍다는 것은 아닙니다만, 딱히 고개가 끄덕여진다고 하기에는 아쉬운 대목이 있는 것 같습니다. 특히 ‘미국과 전쟁 - 미국은 왜 자꾸 싸우는가’라는 주제를 보면, 미국의 패권주의를 비판적 시각에서 바라보고 있다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예를 들면, “모든 국가는 자신의 운명을 스스로 결정할 권리가 있다”라고 주장한 미국 독립운동가들의 외침에서 전쟁중독을 읽었다는 안드레아스의 반전만화 <전쟁중독>을 인용하고 있는 것이라든가, 군사전문가 홍윤서의 <전쟁과 학살, 부끄러운 미국>에서 “신대륙의 원주민들을 모두 학살하여 원주민 종족을 거의 멸종시키는 잔학한 행위를 저지른 이후에도 항상 주변 국가를 탐내 1백 5십회에 걸친 전쟁을 일으켰다.”라는 대목을 인용하기도 합니다. 그런가 하면 프랑스를 중심으로 하여 유럽에 만연한 반미강박관렴을 비판했다는 프랑스 언론인 장 프랑수아 르벨의 <미국은 영원한 강자인가?>에 대하여 ‘미국의 전쟁논리를 쌍수로 편드는 것은 좀 너무한다 싶다’라고 평한 저자의 시각이 어디를 향하고 있는지 읽을 수 있게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