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신화전설 1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16
위앤커 지음, 전인초.김선자 옮김 / 민음사 / 199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신화(myth, 神話)라 하면 주로 우주의 시원이나 고대 국가의 시원에 관하여 전승되어 온 이야기를 말 합니다. 신화에서는 인간과 연관이 있는 신이나 초인들의 특정한 사건·조건·행위 들을 설명하지만 인간의 일상적인 생활과는 거리가 있습니다. 반면 전설(legend, 傳說)은 특정한 장소나 인물에 관한 역사적 사실을 담고 있는데, 때로는 초자연적 혹은 신화적 요소를 담고 있기도 합니다.

 

그리스․로마 신화에 관심을 가지면서 동양사회의 신화도 궁금해집니다. 고조선, 고구려, 백제, 신라와 가락국의 건국과 관련된 신화들이 전해 내려오지만 개벽에 관한 신화를 들어본 것 같지는 않습니다. 중국의 사서에 우리나라의 고대 역사가 기록되어 있음을 보면, 중국의 신화와 전설을 담은 위앤커의 <중국신화전설>은 어쩌면 우리의 조상에 관한 이야기도 있음직합니다. 구전으로 전해오던 그리스 신화가 기원 8세기 초 처음 문자로 기록된 이래 연극과 문학 등을 통하여 다양하게 해석되어 온 것과는 달리 동양의 신화는 근대에 이르기까지 그렇지 못했던 것 같습니다. <중국신화전설>을 우리말로 옮긴이 들이 작품해설에 정리한 내용을 보면, 뤼쉰은 중국에서 신화가 발달하지 못한 이유로 중국인들의 주된 활동무대였던 황허유역이 자주 범람하는 바람에 자연재해를 피하여 생존하는 일이 급선무가 될 수밖에 없었고, 따라서 환상보다는 실제 삶을 더 중시하는 경향이 있었다는 것입니다. 여기에 더하여 공자 이래 중국인들의 삶에 깊숙하게 자리 잡은 유가사상은 괴력난신을 인정하지 않는 분위기를 조성하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최근에 우리나라에서 인기리에 방송된 <별에서 온 그대> 역시 중국당국이 정해놓은 괴력난신의 범주에 해당되기 때문에 정규채널을 통하여 방송될 수 없었다는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위앤커는 1950년대 시작부터 중국의 신화를 수집하여 체계적으로 정리하였고, 특히 문화대혁명의 시기를 지나 1980년대 들어 신화연구가 붐을 이루는데 많은 기여를 한 작가라고 합니다. <중국의 신화전설>에서는 지구 상의 타지역의 신화와 흡사한 세계의 시작과 홍수에 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으며, 복희와 여와, 신농과 후직, 황제․요․순․우․곤․예 은나라에 이르기까지의 삼황오제(三皇五帝)에 관한 신화와 주나라 이후의 역사시대의 영웅들에 관한 이야기를 비롯하여 각 지방에서 전해오는 전설을 담고 있습니다. 삼황오제는 인간을 위해 불을 발견했고 그물을 엮어 고기 잡는 법을 가르쳤으며, 오곡의 씨앗을 가져다가 농사짓는 법을 알려주었다는 것입니다. 또한 문자를 만들었고 다양한 기술의 발전시킨 백성의 삶의 수준을 끌어올린 영웅들이었던 것입니다. 재미있는 것은 고대 중국 신화에서 황제와 오랜 전쟁을 치룬 못된 신으로 치부되는 치우(蚩尤)를 우리는 국가대표 서포터스 붉은 악마의 상징으로 삼을 만큼 동이족의 영웅으로 이해하고 있다는 점입니다. 또한 고구려의 상징으로 알고 있는 삼족오(三足烏)에 대한 기록이 중국에 남아 있는 것을 보면, 우리 선조들이 중국의 본토와 아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었음을 시사한다고 하겠습니다.

 

중국은 땅덩이가 크고 다양한 민족들로 구성된 다민족 국가이므로, 지역과 민족마다의 전설들을 작가가 수집하여 소개하고 있기 때문에 오늘날의 시각에서는 이해할 수 없는 부분도 많은 것 같습니다. 예를 들면 우임금이 다녔던 이상한 나라들에 등장하는 소인국이나 대인국의 경우는 그럴 수도 있다 쳐도 사람의 얼굴에 뱀의 몸을 한 생물이나, 팔이 긴 장비국 사람, 성성이 닮은 사람 등을 비롯하여 제 9장 산천의 기이한 동식물들편에 나오는 진기한 모습의 동물이나 식물들은 행여 존재했을까 싶으면서도 어디인게 화석으로 남아 있다면 대박이겠다 싶기도 합니다.

 

앞서도 그리스 신화가 서양문화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고 말씀드렸습니다만, 중국의 신화나 전설은 이제 새롭게 해석하려는 움직임이 있는 것 같습니다. 제20장에 담은 ‘만리장성과 맹강녀’는 중국의 4대 민간설화(‘견우직녀’ ‘백사전’ ‘맹강녀’ ‘양산박과 축영대’) 가운데 하나로 꼽히는 맹강녀에 관한 이야기인데, 중국 작가 쑤퉁이 이를 바탕으로 <눈물; http://blog.joins.com/yang412/12350751>이라는 이름의 장편소설을 구성하였습니다. 여인의 통곡이 바위성을 무너뜨린다는 발상이 참신하다 싶었는데, 위앤커는 진시황까지 등장시켜 맹강녀의 곧은 절개까지를 언급하고 있습니다.

 

땅이 넓으니 기기묘묘한 이야기들도 많은 것 같습니다. 역시 우리나라에도 지역별로 구전되어 오는 다양한 전설들을 토대로 다양한 문학적 해석이 나왔으면 좋겠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