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대한 설계
스티븐 호킹.레오나르드 믈로디노프 지음, 전대호 옮김 / 까치 / 2010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티븐 호킹박사와 레오나르드 믈로디노프박사의 <위대한 설계>는 스티븐 호킹의 <나, 스티븐 호킹; >을 읽으면서 찾아 읽게 되었습니다. 제목이 주는 느낌은 지적설계자 개념에서 출발한 것 아닌가 하는 느낌을 줍니다만, ‘존재의 수수께기’라는 제목의 첫 번째 장을 읽어가다 보면, ‘우리가 속한 세계를 어떻게 이해할 수 있을까? 우주는 어떻게 작동할까? 실재(實在)의 본질은 무엇일까? 이 모든 것은 어디에서 왔을까? 우주는 창조자가 필요했을까?’라는 철학적 질문에 대한 과학적 답변을 담은 책이라고 하겠습니다. 저자들은 현대과학의 발전, 특히 물리학의 발전을 따라잡지 못했기 때문에 ‘철학은 이제 죽었다.’라고 선언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과학 역시 그 뿌리를 철학에 두고 있다고 본다면 여전히 과학으로 진화한 철학적 답변이라고 할 수도 있지 않을까요?

 

존재의 근원은 우주의 시원으로까지 거슬러 올라가기 때문에 우주의 시원을 설명하려는 과학자들의 끊임없는 노력이 이어져오고 있습니다. 플라톤의 모형으로부터 뉴턴의 중력에 관한 고전이론을 거쳐 현대의 양자이론, 그리고 우주의 시원에 관한 끈이론과 M이론 등에 이르기까지 고급 물리학에 관한 이론들이 전개되어 온 과정 등, 저자들은 그러한 과학의 역사를 쉽게 요약해서 과학의 개념이 정리되지 않은 일반인이라도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고 있습니다. 한 마디로, 현대과학은 법칙들이 자연을 지배한다는 사실을 밝혀가고 있다고 하겠습니다. 이와 같은 전제에 대하여 1. 법칙들의 기원은 무엇일까? 2. 법칙의 예외, 이를테면 기적은 존재할까? 3. 가능한 법칙들의 집합은 오직 하나뿐일까? 라는 질문이 제기되어 왔는데, 제목에서 풍기는 것처럼 법칙들이 신의 작품이라는 이제까지의 인식이 잘못되었다고 단정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 예로서 여호수아서에는 여호수아가 가나안에서 아모리 족과 싸우는 중에 전투를 마무리하기 위하여 해와 달을 멈추어달라는 기도를 한 결과 대략 하루 동안 해와 달의 운행이 멈추었다는 기록이 나온다고 합니다(110쪽). 세상에 해와 달이 움직임을 멈춘다는 발상에 동의할 수 있는 사람이 과연 있을까 싶습니다.

 

현대 물리학에 이르기 전까지 우주의 시원에 관한 문제는 그저 영원한 과거부터 존재했다고 하거나, 신이 창조하였다고 믿어왔습니다. 모든 사물은 시작이 있어야 하기 때문에 그 시작을 명쾌하게 설명할 수 없었기 때문에 신의 존재를 창조하게 된 것입니다. 저자들은 현재 우주의 다양한 가능 상태들에 대응하는 다양한 역사들도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지구 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집단들이 나름대로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것처럼 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저자들은 “우리는 우주론과 인과관계에 대한 생각을 근본적으로 바꿔야 한다. 파인만 합에 기여하는 역사들은 독립적으로 존해하지 않고, 오히려 무엇이 측정되느냐에 의존해서 존재한다. 역사가 우리를 창조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관찰을 통해서 역사를 창조한다.(177쪽)”라는 것입니다.

 

우주가 관찰자에 대하여 독립적이고 유일한 역사를 가지지 않았다는 생각은 가능한 우주로 이루어진 광활한 풍경이 존재한다는 다중우주의 개념을 설명하고 있는 <우주의 풍경; >에서 설명하고 있습니다만, 막상 저자는 우리와 유사한 생명이 존재할 수 있는 우주는 드물다고 합니다. 뿐만 아니라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우주 역시 조금만이라도 조건이 달라졌더라면 우리와 같은 존재들은 있을 수 없었을 것이라고 합니다. 이처럼 우주가 초정밀하게 조정되어 있다는 사실이 밝혀져 가는 중에도 창조자가 우주를 설계한 것이라고 믿는 사람들이 여전히 존재한다는 것도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습니다.

 

저자들이 위대한 설계라고 부르는 우주의 정밀한 조정현상은 창조자의 지적설계에 의한 것은 결코 아니라는 주장입니다. 제5장 ‘만물의 이론’에서 저자들은 다섯 가지 끈이론들과 초중력이론을 근사이론들로 거느렸다고 생각되는 더 근본적인 M이론이 우주의 시원을 설명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M이론은 이름만큼이나 기적적이거나 미스테리한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