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의 서로돌봄 - 사랑과 섬김의 실천
성규탁 지음 / 이담북스 / 201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최근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경제적으로 곤경에 처한 자녀를 지원하던 노부모까지 함께 어려움이 처하거나 부모와 자녀가 불화를 겪고 심한 경우에는 패륜범죄로 이어지기도 한다고 합니다. 늙은 부모를 자녀가 모시던 옛 풍습이 대가족제도의 붕괴에 따른 사회구조의 변화에 따라 사라지고 있는 것이며, 특히 경제가 어려워지면서 자녀 세대가 누릴 수 있는 사회적 자원이 줄어든 것도 원인이라고 합니다(http://blog.joins.com/yang412/13242660). 결국 노인 부양에 대한 사회적 부담이 급증하고 있는 현실에서 세대간의 갈등이나 노인복지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시급하다고 하겠습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사회복지를 전공하신 성규탁박사의 제안을 담은 <서로 돌봄>을 통하여 나름대로의 길을 찾아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머리말에서 저자는 “우리 겨레는 일상생활에서 아랫사람은 윗사람을 공경하고 윗사람은 아랫사람에게 인자함을 베풀어 서로 돌보는 도리를 문화적 가치로 오랜 세대에 걸쳐 실행해왔다.”고 하고, 최근 변화된 우리 사회에서는 가족의 개념을 확대하여 “가족을 비롯한 이웃과 사회가 서로 돌보는 공동사회를 이루는 시대적 흐름이 현저해지고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결국은 우리가 추구하는 서로 돌봄과 국가가 개발하는 사회보장을 효율적으로 융합하여 한국적 사회복지가 구현될 수 있기를 희망하고 있습니다.

 

<서로 돌봄>은 3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부 ‘방향: 서로 돌봄-넓은 사랑의 실현’에서는 돌봄은 물질적인 면 뿐 아니라 정서적인 면까지도 실현되어야 할 요소라는 점을 설명하고, 2부 ‘실천: 변하는 돌봄 방식’에서는 가족 구성이 변하고 있는 현실을 고려하여 가족 바깥의 사회적 지원망과 사회복지 서비스를 활용하는 방안을 사례를 인용하여 논의하였습니다. 마지막 3부 ‘이념: 이어지는 전통’에서는 많은 변화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 사회는 여전히 가족 중심적 성향을 간직하고 있고, 서로 돌봄이 한국적 가치로 실행되고 있음을 확인하고 있습니다.

 

최근 들어 서구사회의 복지모델을 인용하여 사회복지가 국가적 책임으로 확대되어야 한다는 주장이 거세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사회보장제도가 발전된 서구 사회에서도 최근에는 복지제도만으로는 국민의 복지요구 수준을 만족시킬 수 없단즌 결론에 도달하고, 가족이 자체의 성원들을 돌보는 본래의 기능을 보다 더 충실히 수행해야 한다는 방향으로 정책을 선회하고 있다고 합니다.

 

저자는 우리 사회의 다양한 모습을 반영하여, 예를 들어 자녀가 부모를 모시는 경우, 부모와 가까이 사는 경우, 멀리 떨어져 사는 경우 등과 같이 다양한 상황에 따른 돌봄의 모형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떨어져 있는 거리만큼 관계가 소원해질 것이라는 일반적인 생각과는 달리, 저자는 부모와 자녀가 서로 노력하면 지리적 거리에 상관없이 바람직한 가족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고 했습니다. 서로 돌봄의 이론적 배경 뿐 아니라 현실적 실행방안도 제시하고 있는데, 예를 들면, 가족 중심의 돌봄의 유형에서도, 개인적 돌봄, 가족을 위한 돌봄 그리고 지역사회를 위한 돌봄에서 자주 제공하는 돌봄의 형식을 제시하고, 많은 자녀들이 고민하고 있는 위급할 때의 돌봄 형식도 제시하고 있어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사회복지 서비스를 이용해야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는데, 시설을 이용하는 것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를 개선해야 하는 이유를 제시하고 있고, 이용할 시설을 선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들, 몇 가지 예를 들면, 시설의 분위기가 안락하고 가정적인가, 면허를 소지한 간호사가 배치되어 있는가, 시설의 안전은 확보되어 있는가, 오락 등을 포함한 사회활동 프로그램은 얼마나 제공되는가 등, 쉽게 놓칠 수 있는 요소들을 정리하고 있어 참고가 될 것입니다.

 

봉양이라는 고답적인 의미를 돌봄이라는 현대적 표현으로 다시 해석하여 전통적 돌봄 방식이 현대에 어떻게 구현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점이라거나 동아시아 각국에서의 돌봄의 현황 등에 관한 논의도 더하고 있어 도움이 될 것이라 생각합니다. 격변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기에 안정될 수 있도록 구성원 모두가 적절한 대응방안을 모색해야 하는 현시점에서 실질적 도움이 될 내용을 담고 있다고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