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이디푸스 왕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217
소포클레스 지음, 강대진 옮김 / 민음사 / 2009년 8월
평점 :
대학시절 연극반에서 활동할 적에 장아누이가 각색한 소포클레스 원작의 <안티고네> 공연에 참여한 적이 있습니다. 서슬이 퍼렇던 제3공화국 시절이라는 시대적 배경이 있어서였던지 권력의 표상인 크레온왕에 대한 안티고네의 저항을 응원하는 분위기였던 것 같습니다. 안티고네의 비극은 오이디푸스의 비극과 연결해야 제대로 이해할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해야 했는데 그때는 공연을 준비하는 일도 벅차서 따로 읽어보지 못한 것을 지금까지도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오랫동안 마음에 담아왔던 오이디푸스 일가의 비극을 새겨보기 위해서 소포클레스의 비극 모음을 읽게 되었습니다. 강대진교수의 번역으로 민음사에서 나온 <오이디푸스 왕>에는 소포클레스 원작의 비극, 오이디푸스, 안티고네, 아이아스 그리고 트라키스 여인들 등 4편의 비극을 담고 있습니다. 이 가운데 오이디푸스와 안티고네를 중심으로 생각해보려합니다. 테바이의 왕 라이오스는 아내 이오카스테가 낳은 아들 오이디푸스가 자신을 죽이고 아내와 결혼할 운명이라는 신탁을 받게 되자 죽이라는 밀명을 내리게 됩니다. 대체로 이와 같은 신탁이 내려지는 경우에는 지난날의 알게 모르게 저지른 과오에 대한 신의 업보로 내려지게 되는 경향이 있는데, 오이디푸스의 비극적 신탁은 특별한 이유가 없었던 것 같습니다.
아무리 신탁이 그렇다고 해도 자신의 피를 받은 자식을 버린 것 자체가 신에 대한 죄과를 짓는 일이고 그에 대한 벌을 받는 것이라고 한다면 과연 오이디푸스가 자신의 눈을 찌르고 방황하다가 죽음을 맞고, 이어서 두 아들과 딸 역시 비극적인 죽음을 맞게 된다는 신의 뜻이 과연 옳은 일이라고 해야 할 것인가 의문이 들지 않을 수 없습니다. 오이디푸스를 살해하라는 라이오스의 명을 받은 신하가 왕명을 어기고 오이디푸스를 살려준 것이라고 한다면 끝까지 입을 다물었어야 하지 않을까요? 또한 자신이 아버지를 살해하고 어머니와 결혼할 신탁을 받은 운명임을 알고 있던 오이디푸스라면 누군가 죽여야 할 상황이라면 제고에 제고를 거듭했어야 하지 않을까요? 정말 끊임없이 의문이 떠오르지 않을 수 없습니다.
<외디푸스>를 읽어가다 보면 스핑크스의 수수께끼를 풀어 테바이를 구한 외디푸스가 신탁을 받기 위하여 길을 떠났다가 살해된 라이오스를 대신하여 테바이의 왕위에 오르고 이오카스테와 결혼하여 4명의 자녀를 두어 장성한 다음에 역병이 돌아 위기에 처한 테바이를 구할 방안을 묻기 위하여 델포이의 아폴론신전에 신탁을 받기 위하여 처남인 크레온을 보내는 것도 이해되지 않는 점은 크레온이 자신의 왕위를 노리고 있다는 의심하는 정황이 읽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크레온이 받아왔다는 신탁을 어떻게 믿을 것이며, 크레온이 데려왔다는 예언자 테이레시아스를 들일 생각을 했는지도 이해되지 않는 부분입니다. 물론 라이오스의 명을 받았던 신하가 등장해서 오이디푸스가 라이오스의 아들이었음을 증명하는 등 꼬인 실타레를 풀어내는 증언이 결국 신탁이 틀리지 않았음을 입증하게 됩니다만, 전체적인 이야기의 흐름이 쉽게 이해되지 않는 점입니다.
마찬가지로 오이디푸스의 비극을 “아들이 아버지를 적대시하고, 어머니를 좋아하는 본능의 표현”으로 해석하여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는 이름을 붙인 지그문트 프로이트의 견해에도 동의할 수 없는 것 같습니다. 그 이유는 신화에서 오이디푸스는 아버지로부터 버림을 받았고, 입양된 코린토스의 왕 폴리보스를 아버지로 알고 자라다가 신탁을 두려워하여 외국으로 떠도는 것을 보면 프로이트가 무엇을 근거로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는 용어를 만들어냈는지 이해할 수 없는 것입니다.
오이디푸스로부터 자녀들을 돌보아주기를 부탁받은 클레온은 결국 오이디푸스의 두 아들, 에테오클레스와 폴뤼네이케스가 테바이의 왕권을 둘러싸고 대결하다가 모두 죽음을 맞은 다음에 테바이의 왕위에 오르게 되고, 결국은 오이디푸스의 두딸 안티고네와 이스메네까지도 죽음을 맞게 되는 비극을 꾸며내게 된다는 점도 이해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다음과 같은 오이디푸스의 부탁을 저버린 셈입니다. “오, 메노이케우스의 아들이여, 이들을 낳은 두 사람이 모두 파멸하여, 그대만이 이들의 아버지로 남았으니, 그대의 친족인 이들이 남편도 없이 거지로 유랑하도록 내버려두지 말고, 이들이 나와 같이 불행해지도록 만들지도 말아 주시오.(오이디푸스 왕 114쪽)
안티고네에서도 외세를 빌어 테바이의 왕위를 노렸던 폴뤼네이케스의 시신을 매장하지 못하도록 한 크레온의 포고에 대하여 인륜을 내세워 폴뤼네이케스의 시신을 매장한 안티고네의 고집스러운 대결양상 또한 새롭게 이해할 수 있는 부분이 있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인간의 운명을 틀어쥐고 있었다는 그리스 신들의 이해되지 않는 결정을 합리적으로 재해석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 소포클레스의 비극을 읽고 의문이 더 커지고 말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