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원 민음사 모던 클래식 62
자크 스트라우스 지음, 서창렬 옮김 / 민음사 / 2013년 2월
평점 :
절판


열한 살 때 무슨 일이 있었는지, 무슨 생각을 했었는지 기억나십니까? 저는 열한 살에 초등학교 5학년이었는데, 아무리 생각해보아도 특별하게 기억나는 것이 없습니다. 일기로 적어 놓은 거라도 있으면 기억을 되살릴 수 있겠습니다만 아쉽게도 일기쓰기를 권장하지 않던 시절이라서... 그런 점에서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작가 자크 스트라우스가 <구원>을 통하여 풀어놓고 있는 열한살 소년의 이야기는 너무 생생해서 마치 영상으로 지켜보는 것 같은 느낌을 받습니다.

 

특히 프롤로그에서“내 나이 열한 살이었을 때...”로 정리하는 기억으로는 난 친구 들 앞에서 울 만큼 어리지는 않았다, 난 학생 교통 순찰대에 가입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컸다 등등 스무가지나 되는 일을 기억해내고 있습니다. 그 가운데는 공감이 가는 부분도 있었지만, ‘설마 열한살 짜리가?’하는 생각이 드는 것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나는 사형집행에 대한 악몽을 꾸곤 했다거나, 나는 사람들이 아기를 원할 때만 섹스를 하는 게 아니라 재미를 위해서도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는 등입니다. 그런 기억이 없는 저와는 달리 꽤나 조숙한 어린이였던 것 같습니다.

 

이 책을 옮긴 이는 “이 작품은 열한 살 아이인 잭 필제의 때로는 순진하고 때로는 영악하거나 치기 어린 생각과 행동, 그리고 여기에서 비롯된 내적 갈등과 정신적 성장 과정을 그린 성장소설이라 할 수 있다.(301쪽)”고 작품의 성격을 정리하였습니다. 성장 소설이라 하면 주인공의 시각으로 혹은 삼자적 시각으로 주인공이 변하는 모습을 그려내게 되는데, 이 작품은 남아프리카공화국이라고 하는 우리에게 생소한 나라에 살고 있는 소년을 주인공으로 다루고 있는 점이 독특하다 하겠습니다.

 

주인공 잭은 영국계(루이닉) 엄마와 네덜란드계 백인(보어인) 변호사 아빠 사이에서 누나와 여동생을 둔 사내아이입니다. 주인공을 둘러싸고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고 있는데, 집안일을 돌보는 많은 흑인들 가운데 수지와 그녀의 아들 퍼시는 잭의 생각이 성장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수지는 잭을 아들이라 부를 정도로 친밀하면서도 야단치는 일을 아끼지 않을 정도로 엄격한 면을 보이고 있습니다. 아이들을 과보호하고 있는 요즈음 부모들이 참고할 필요가 있는 것 같습니다. 잭의 부모와 수지와 같이 아이들을 둘러싸고 있는 어른들이 사랑과 함께 아이들의 행동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사회에서 아이들이 건강하게 자라게 되는 것 같습니다.

 

특히 주인공처럼 열한 살에 자위를 하고 어른들이 보는 성안내서를 읽고 이해할 정도로 조숙한 아이들은 위태로울 수 있겠다 싶습니다. 십대 중반에 동정을 잃은 이매뉴얼처럼 말입니다. 잭 역시 수영장에서 자위를 하는 모습을 수지의 아들 퍼시에게 들키면서 생긴 수치감과 수지의 관심을 나누어야 한다는 죄의식으로 갈등을 겪다가 퍼시에게 피해를 입었다는 식으로 거짓말을 하게 됩니다. 그 결과 퍼시가 집에서 쫓겨나 아버지가 사는 곳으로 옮겨가고 결국은 퍼시가 아버지를 살해하는 불행한 사건으로 이어지면서 잭은 심적 충격을 받게 되는데, 결국은 수지가 퍼시를 데리고 고향으로 내려가면서 주인공과 헤어지는 원치않는 결과를 낳게 되는 것입니다.

 

앞서도 수지가 잭의 잘못된 행동에 야단을 치기도 한다는 말씀을 드렸습니다만, 잭의 부모님의 역할에서도 주목할 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엄마가 가장 높은 수준으로 하는 비난의 행태이자 어떤 행동에 대한 가장 심한 질책은 그것을 ‘용서할 수 없는’ 짓이라고 표현하는 것이었다.(208쪽)”면서 다양한 사례에서 엄마가 야단치는 용어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그런가 하면 아버지는 교육면에서 바람직한 모습을 맡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철학’이라는 말을 맨 처음 가르쳐 준 사람도 아빠였다. 당시 나는 아주 어렸다. 여섯 살이나 일곱 살쯤이었을 것이다. 철학은 착한 것과 나쁜 것에 관한 것이고, 왜 우리가 살아 있는지에 관한 것이며, 하느님과 악마가 있는지의 여부에 관한 것이라고 아빠가 말했다.(216쪽)”

 

아무래도 성장소설의 독자는 같은 고민을 하고 있는 젊은이들일 것 같습니다만, <구원>은 성장기에 있는 아이들을 두고 있는 부모가 읽는 편이 더 어울리는 작품인 것 같습니다. 내 아이들이 어떤 고민을 하고 있고 그런 아이들을 도와줄 수 있는 방법을 깨우치는 기회가 될 것 같아서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