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죽음이란 무엇인가 - 예일대 17년 연속 최고의 명강의 ㅣ 삶을 위한 인문학 시리즈 1
셸리 케이건 지음, 박세연 옮김 / 엘도라도 / 201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품위있게 죽기’는 제가 오랫동안 쥐고 있는 화두이지만 아직까지도 손에 잡히는 무엇이 없는 것 같아 허전하기만 합니다. 오래된 화두인 만큼 지칠 법도 한데, 아직도 죽음을 논한 읽을거리라고 하면 그냥 지나치지를 못합니다.
<죽음이란 무엇인가>는 기대가 컸던 책입니다. 저자가 예일대학 철학과 교수이고, 예일대학교에서도 명강의로 손꼽히는 내용이라는 카피는 그렇다고 쳐도 ‘죽음’의 본질과 ‘삶’의 의미 그리고 ‘생명’으ㅟ 존엄성을 고찰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고 해서 더욱 그랬던 것 같습니다. 책을 읽고 난 느낌을 먼저 정리하자면 제가 아직도 철학을 공부할 수 있는 준비가 덜 되어 있는 탓인지 저자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가 제대로 정리되지 않는 것 같습니다. 아니면 강의내용을 바탕으로 구성한 탓에 책읽기에 익숙한 문어체가 아니라 구어체에 가까운 문장이 집중을 어렵게 만든 것은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프롤로그에서 저자가 요약하고 있는 것처럼 이 책의 전반부에서는 영혼, 죽음의 본질, 영생의 가능성을 논하고, 이어서 가치문제로 넘어가서 죽음이 정말로 나쁜 것인지를 철학적 차원에서 들여다보고 끝으로 자살에 관한 문제를 다루고 있습니다. 저자는 철학개론서의 저자들이 취하는 일반적인 접근방식, 즉 다양한 주장과 찬반론을 소개하면서 저자 자신은 중립적 위치를 고수하거나, 저자의 입장을 밝히고 옹호하는 두 가지 방식 가운데 후자의 방식을 선택하였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만, 읽어가다 보면 저자가 단호하게 자신의 입장을 내세우거나 옹호하는 것으로 보이는 장면이 별로 기억에 남지 않습니다. 그래서인지 정작 읽고 있는 저는 영혼의 존재나 영생의 가능성은 과학적으로 이미 입증이 불가능하다는 생각을 하고 있기 때문인지, 저자의 논리전개 자체에 대하여 부정적일 수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즉, 영혼의 존재나 영생을 주장하는 사람들의 입장을 중립적으로 논하기 위하여 무리한 가정을 세우고 논지를 전개하는 것 같다는 느낌이 들었다는 것입니다.
‘삶이 끝난 후에도 삶은 계속되는가’라는 1장의 제목이 시사하는 바는 이미 죽음이 선언된 마당에 어떤 삶이 존재할 수 있다고 할 것인가 하는 문제는 단순무식한 제가 보기에는 무리한 주제가 아닐까 싶습니다. 저자는 “영혼의 존재를 받아들일 만큼 충분히 설득력 있는 주장을 발견할 수 없었다.”고 잘라 말하면서도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영혼의 존재를 믿고 있으며, 그렇기 때문에 여기서도 영혼의 불멸성에 대해 살펴볼 가치는 충분하다고 생각한다.(105쪽)”고 적고 있습니다. 자신은 영혼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믿고 있지만 남들이 존재한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도 현실이라고 하는 것일까요?
그는 “내가 ‘이원론’과 ‘물리주의’라는 두 가지 관점에 양다리를 걸치고 있다고 비난하는 사람이 있다면 그건 잘못된 생각이다.(145쪽)”고 강변하기도 합니다. 그러면서도 “강조하지만 나는 영혼이 절대로 존재할 수 없는 것이라고 주장하지 않는다. 사실 영혼의 존재를 완벽하게 부정할 수 있다고도 생각하지 않는다. 어쨌든 영혼이라고 하는 존재 자체가 완전히 불가능한 것은 아니다.(148쪽)”라고 적고 있으니 읽는 사람이 헷갈릴 수밖에 없습니다.
앞서서 저자가 자신의 논지를 전개하기 위하여 무리한 가정을 세운다고 했는데, 그 예를 들어보면, 미친 과학자가 내 인격을 린다의 몸에 이식한 상황에서 영혼과 육체의 동질성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고 있습니다만, 현실적으로 가능하지 않은 상황을 가정하고 전개하는 논의가 쉽게 이해되지 않을 수밖에 없겠습니다. 비슷하게 이미 죽은 나폴레옹의 인격을 현재 미국의 미시건에 살고 있는 남성이 물려받았다고 주장하는 상황을 두고 이 남성이 진짜 나폴레옹인지 아닌지를 논하는 것도 받아들여지지 않습니다. 한 걸은 더 나아가 뇌를 이식하는 상황, 특히 좌우 뇌를 각각 다른 사람에게 이식하고 두 사람이 동등한 존재인지를 논하려는 시도는 참신하다고 해야하나 이런 억지가 어디 있느냐고 해야 하나 헷갈립니다.
저자는 완전히 동의하는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만, 저자가 인용하고 있는 미국의 SF작가 올슨 스캇 카드의 단편소설에서 인간은 우주의 모든 생명체 중 유일하게 죽는 종이라는 이유로 다른 생명체들이 부러워하는데, 그 이유는 ‘제한된 시간 동안만 가질 수 있는 소중한 가치를 오로지 인간만이 누리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이라는 대목에 완전히 꽂혔습니다.
시작부터 흔들리기 시작한 책읽는 호흡은 결국 저자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붙들지 못하고 끝에 이르렀습니다. 그래도 “정말로 중요한 것은 이것이다. 우리는 죽는다. 때문에 잘 살아야 한다. 죽음을 제대로 인식한다면 인생을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에 대한 행복한 고민을 할 수 있다.(507쪽)”는 마무리만큼은 건진 것 같습니다. 물론 저자가 어떻게 이런 결론에 도달할 수 있었는지 기억에 남아있지 않아도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