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다른 사람들 - 인간의 차이를 만드는 정서 유형의 6가지 차원
리처드 J. 데이비드슨 & 샤론 베글리 지음, 곽윤정 옮김 / 알키 / 2012년 9월
평점 :
품절


흥미로운 책을 읽었습니다. “왜 너는 울고, 나는 웃었을까?”라는 알쏭달쏭한 광고카피에 무슨 의미를 담았을까? 결론을 미리 공개하면 사람들마다 가지고 있는 뇌의 기능적 구조적 차이 때문에 다른 정서반응을 보일 수 있다는 사실을 뇌과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게 되었다는 이야기입니다. 그러니까 같은 시츄에이션에서 누군가는 대성통곡을 하는 반면 누군가는 가가대소를 터뜨릴 수 있다는 것입니다.

 

<너무 다른 사람들>이라는 우리말 제목을 달았지만 원저의 제목은 <The Emotional Life of Your Brain>입니다. 직역을 하면 ‘당신 뇌의 정서적 삶’이 되겠지만, ‘당신의 정서적 유형은 뇌에 달려있다’고 해야 할 것 같습니다.

 

저자들이 서문의 모두에 “이 책은 사람들이 일상생활에서 특정한 문제에 직면하게 될 때 각각 어떠한 정서반응을 보이는지, 또 그렇게 다양한 반응을 보이는 이유가 무엇인지 알려주는 전문적이고 개인적인 기록이다.(5쪽)”라고 적은 것처럼 뇌과학에 근거하여 정서유형을 연구해온 발자취를 정리하고 있는 개인적인 기록이면서도 또한 정서반응에 대한 근거가 되는 어려운 뇌과학적 설명을 나름대로 쉽게 풀어내고 있습니다.

 

저자들은 인간의 정서유형을 여섯 가지 차원으로 구성하고 각각을 두 유형으로 나누어 모두 열두 가지 정서유형으로 나누었습니다. 회복탄력성에 따라서 빠른 회복자형과 느린 회복자형, 관점에 따라서 긍정적 관점형과 부정적 관점형, 사회적 진관에 따라서 사회적 민감형과 사회적 혼돈형, 자기 인식에 따라서 명확한 자기인식형과 불명확한 자기인식형, 맥락 민감성에 따라서 맥락 눈치백단형과 맥락 불협화음형, 주의 집중에 따라서 주의 집중형과 주의 산만형입니다. 저자는 여섯 가지 차원 마다 모두 10개의 질문을 바탕으로 자신의 유형을 알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정서유형이 꼭 여섯 가지 차원여야만 하는지 그리고 각각의 차원에서는 어떤 기준으로 두 가지 유형으로 나누게 되는지 애매하다는 느낌이 남습니다.

 

과학적 근거가 없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만, 혈액형에 따라 성격에서 차이가 나타난다는 말을 듣곤 합니다. 이런 말을 들으면서 속으로 나는 혈액형이 나빠서 성격이 나쁜가 보다 하는 자격지심 같은 것을 느끼는 분들도 계실 것입니다. 그런 점을 우려한 듯 저자들은 “이상적인 정서유형이란 없다. 또 여섯 가지 정서유형의 스펙트럼 중 최상의 위치라는 것도 없다.(36쪽)”라고 단속을 하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정서적 유형은 서로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 뿐 아니라 유전적 요인이 20~60퍼센트 정도의 영향을 미친다는 전제를 깔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그 유전적 특성이 변화될 수 있다는 사실도 얹어두고 있습니다. 후천적으로 변할 수 있는 유형이라고 한다면 자신의 정서적 유형이 마음에 들지 않는 사람은 별도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바꿀 수 있다는 제안을 두고 있는 것입니다.

 

그런가하면 ‘정서가 신체를 지배한다’라는 작은 제목의 글에서는 심신의학의 연구사례들을 인용하여 정서반응이 건강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흥미로운 실험도 있습니다. ‘보톡스가 감정을 방해한다.’는 제목의 글입니다(207쪽) 잘 아시는 것처럼 보톡스는 근육을 마비시키는 독작용을 이용하여 얼굴 주름을 펴는 미용효과를 얻게 되는데, 근육이 마비되기 때문에 외부자극에 대한 감정이 얼굴에 나타나는 것을 방해한다는 것입니다. 외부 자극에 대응한 뇌부위를 확인할 수 있는 기능성 자기공명장치가 개발된 것이 이런 종류의 연구에 크게 기여한 것도 사실입니다. 저자들은 자신이 분류한 유형의 사람들의 뇌부위가 어떻게 활성되는지 조사하여 그들의 정서유형분류의 근거로 삼고 있습니다.

 

책의 후반부를 구성하고 있는 명상에 대한 설명은 언젠가 읽었던 구글의 ‘마음챙김(mindfulness)에 기초한 감성지능 교육과정’이 생각나게 합니다. (너의 내면을 검색하라; http://blog.joinsmsn.com/yang412/12807728) 앞서 정서유형의 최상의 위치란 없다고 적었으면서도 정서유형이 일상적인 기능이 불가능할 정도로 극단을 넘어 병적 상태로 접어들게 되는 상황을 상정하고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병적 정서상태는 ‘마음챙김’이라는 명상을 통하여 바로 잡을 수 있다는 이야기로 이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명상이 심리적 안정을 가져온다는 사실은 라마승려를 대상으로 한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으로 입증하였다고 합니다(339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