삶을 바꾸는 책 읽기 - 세상 모든 책을 삶의 재료로 쓰는 법
정혜윤 지음 / 민음사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혜윤PD를 처음 만났던게 언제던가.... 그동안 거의 편식에 가까운 책읽기를 해온 탓인지 그가 누군지, 무엇을 하는 분인지 전혀 몰랐습니다. 인사를 나누고서야 그 분의 정체를 찾아보게 되었습니다. 일단은 그 분의 방대한 독서량과 글솜씨가 주목을 받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삶을 바꾸는 책읽기>는 처음 읽게 되는 그분의 글입니다.

 

마침, 책읽기에 대한 의문이 고개를 들고 있어서인지, 공감의 고갯짓은 물론 때로는 정말 그럴까 하는 고갯짓까지 나름대로의 다양한 생각들이 꼬리를 물고 지나갑니다. 일단 그녀의 다양한 영역의 책읽기의 실체를 확인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칼 세이건의 <코스모스>, 장자크 루소의 <인간불평등 기원론>와 같이 난해할 수 있는 과학, 철학 부문의 책에서부터 고금을 넘나드는 문학서적은 익히 알려져 있는 작품도 있지만 생소해 보이는 작품까지도 망라하고 있습니다.

 

그녀의 글은 읽은 책을 바탕으로 한 사유만을 담고 있는 것이 아니라 직업적 특성(?)을 활용하여 취재과정에서 만나는 다양한 인물들의 생생한 증언을 마침맞게 엮어 넣어 감칠맛이 날뿐 아니라 인간냄새가 느껴지고 있습니다.

 

저자는 책읽기에 관하여 주변으로 흔히 받는 다음과 같은 질문에 대한 답으로 책을 구성하고 있습니다.

1. 먹고살기도 바쁜데 언제 책을 읽나요? 2. 책 읽는 능력이 없는데 어떡하나요? 3. 삶이 불안한데도 책을 읽어야 하나요? 4. 책이 정말 위로가 될까요? 5. 책이 쓸모가 있나요? 6. 책의 진짜 쓸모는 뭐죠? 7. 읽은 책을 오래 기억하는 법이 있나요? 8. 어떤 책부터 읽으면 좋을까요? 그리고 보니 저도 역시 비슷한 질문을 받았던 것 같습니다. 그리고 그런 의문이 들기도 한 것 같습니다.

 

서평에 관한 저자의 생각에 눈이 번쩍 떠지는 느낌이 있었기에 옮겨봅니다. “서평은 아마추어의 예술입니다. 서평은 자신의 생각을 써보는 것입니다. 그것이 아무리 혼란스러워 보여도 진실된 마음이 담겨 있으면 됩니다. 서평은 자기 자신입니다. 나의 서평이 누군가의 맘과 통한다면 너무나 좋습니다. 나와 그 누군가는 친구가 된 셈이니까요.(167쪽)” 아직 주관이 바로서지 못해서 서평을 쓸 때마다 오락가락하는 제 마음을 다잡을 수 있는 좋은 말씀이 될 것 같습니다.

 

‘다시 읽기’에 대한 저자의 제안은 마침 최근에 제가 경험했던 바가 있어 특별한 울림으로 남았습니다. 바로 대학 신입생때 읽었던 한스 카로사의 <아름다운 유혹의 시절; http://blog.joinsmsn.com/yang412/12832807>을 다시 읽으면서 대부분은 전혀 새로운 내용이지만 그래도 기억의 한 구석에 남아있던 부분에 대한 느낌이 다시 강렬해지는 경험을 할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가끔은 저자의 이념적 배경이 읽히는 생각들을 굳이 적었어야 할까 싶기도 합니다만, “더 나은 인간이 되고 싶어요. 필요한 사람이 되고 싶어요. 그래서 책 좀 읽으면서 세상을 배우고 싶습니다.(74쪽)”고 한 해고노동자의 절절한 이유가 가슴에 와 닿습니다. 평생 직장으로 믿었던 회사에서 거리로 내쳐진 그처럼 저 역시 큰 그림을 그려나가던 직장에서 쫓겨난 경험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계약직 공무원이었던 제게 인사권을 가진 기관장께서 부르시더니 “당신이 일을 참 열심히, 잘 한다는 것은 잘 안다. 하지만 당신의 상사가 당신과 같이 일할 수 없다고 하니 나로서도 어쩔 수 없다. 미안하다.”고 했습니다. 그 상사는 임용과정에서 저와 경쟁하던 분이었습니다.

 

정말 마음을 콕콕 지르는 이야기들이 넘쳐나는 글 가운데는 이런 말도 있습니다. “오랫동안 책은 이 사회의 논리 안에서 난 정말 잘 나가고 있어, 라도 생각한 사람들이 쓴 것이 아니었습니다. 그와는 반대로 이 사회가 이대로 가면 곤란하다고, 이 세상엔 바꿔야 할 점이 있다고 생각한 사람들이 문제 제기를 해 보려고 정력을 쏟아 부은 것에 가까웠습니다.(106쪽)” 그리고 보니 제가 세상에 내놓은 책들, <치매, 나도 고칠 수 있다>나 <눈초의 광우병 이야기>는 작가가 생각하는 바로 그런 논리로 쓰기 시작했던 글들이 세상에 빛을 본 셈입니다.

 

끝으로 저자의 말대로 책을 읽다가 새로운 읽을거리를 발견하는 일은 책읽기의 또 다른 즐거움이라는 생각을 하면서도 저와는 다른 해석을 읽게 되면 그 이유를 찾아들어가는 것 또한 책읽기의 즐거움이라 생각합니다. 작가는 밀란 쿤데라의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http://blog.joinsmsn.com/yang412/12849723>에서 존재의 가벼움, 무거움만큼이나 중요한 키워드로 삼은 것은 ‘키치’였다고 적었는데, 사실 이 책을 논한 북콘서트에서도 ‘키치’라는 단어의 의미를 두고 상당한 시간이 할애되었던 점을 고려한다면 저는 이 책을 읽으면서 갑작스럽게 튀어나온 ‘키치’라는 단어를 생경스럽게 느꼈었다는 고백을 드립니다.

 

쿤데라는 “존재에 대한 확고부동한 동의가 미학적 이상으로 삼는 세계는, 똥이 부정되고 마치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각자가 처신하는 세계라는 결론이 도출된다. 이러한 미학적 이상은 키치라고 불린다.(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399쪽)”라고 기치를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등장한 키치라는 개념은 “나의 적은 공산주의가 아니라 키치예요!(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 412쪽)”라는 사비나의 말에 더욱 헷갈리게 되는 것 같습니다. 테레사나 토마시와는 철학이 사뭇 달라 보이는 그녀의 삶의 궤적을 단적으로 정리한 것일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