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 그 후 - 10년간 1,300명의 죽음체험자를 연구한 최초의 死後生 보고서
제프리 롱 지음, 한상석 옮김 / 에이미팩토리 / 2010년 3월
평점 :
절판


많은 사람들이 죽음을 두려워하는 이유는 죽음 이후에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경험한 사람이 아무도 없기 때문일 것입니다. 종교에서 말하는 사후세계는 아마도 죽음 이후의 세계에 대한 사람들의 두려움이 만들어낸 상상의 세계일 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제가 종교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겠지요. 가끔 죽었다가 다시 살아났다는 사람들이 보았다는 죽음의 세계에 대한 이야기를 듣기도 합니다. 하지만 이 경우를 정확하게 죽음을 맞았었다고 정의하는 것이 옳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 분야를 연구하는 분들은 임사체험(near death experience; NED)이라고 하는 것 같습니다. 죽음의 문턱에까지 다녀왔다는 것이겠지요.

 

우리가 죽음에 대하여 알 수 없으니 죽음 근처에 가본 사람들의 경험이 도움이 될 것이라는 생각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임사체험에 관한 이야기가 얼마나 신뢰할 수 있는가, 혹은 과학적으로 입증할 수 있는 문제인가를 생각해보면 이야기가 달라질 수 있겠습니다. 흔히 과학적 연구를 통해서 입증된 이론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의 논리를 비판하기 위한 연구를 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회의론이라고도 합니다만, 회의론자들은 다양한 이론들을 연구하여 이를 과학, 비과학, 변경지대 과학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즉, 이론적 바탕이 충분히 과학이라 할 만한 경우 이를 과학의 영역으로, 전혀 과학이라 할 수 없으면 비과학, 이론은 충분히 과학적이라 할 만 하지만 아직 이를 뒷받침할 근거라 충분히 쌓이지 않은 경우를 변경지대과학이라고 분류하는 것입니다.

 

우리시대의 대표적 회의론자인 마이클 셔머가 쓴 <과학의 변경지대; http://blog.joinsmsn.com/yang412/12502415>에서는 회의론자들이 논하고 있는 대표적인 이론들을 들고 있습니다만, 임사체험은 아직 어디에 속하는지 분명하지 않습니다. 그런 점에서 본다면 방사선종양학을 전공한 제프리 롱박사가 임사체험자들의 사례를 수집하여 과학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담고 있다는 <죽음, 그 이후>는 좋은 참고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저자는 회의론자들이 임사체험에 대하여 비판적 시각을 가지고 있다는 점을 감추지 않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저자는 임사체험을 통하여 죽음 이후의 세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과학적으로 입증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임사체험을 했다는 사람들의 경험을 광범위하게 수집하여 통계적으로 분석하는 작업을 오랫동안 해왔는데, 지난 10년 동안 1300여 건의 통계적으로 검증된 사례가 수집되었고, 이를 분석한 결과를 이 책에 담고 있다는 것입니다. 임사체험을 한 사람들의 사례에서 추출한 공통점을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유체이탈 경험, 즉 의식이 몸에서 분리된다.

2. 모든 감각이 매우 예민하게 고조된다.

3. 감정이나 느낌이 매우 격렬하고 대체로 긍정적이다.

4. 터널로 들어가거나 터널을 통과한다.

5. 신비롭거나 눈부신 빛과 만난다

6. 신비로운 존재들, 죽은 친척이나 친구들 등과 재회한다.

7. 시공간의 개념이 달라진 느낌이 든다.

8. 주마등처럼 삶을 회고한다.

9. 비현실적인 영역을 접한다.

10. 특별한 지식을 접하거나 알게 된다.

11. 경계나 장벽을 만난다.

12. 자의 혹은 타의에 의해 몸으로 돌아온다.


저자는 임사체험에 관한 인터넷 사이트를 열고 임사체험을 한 사람들의 경험을 광범위하게 수집하고 있는데, 특히 설문조사방식을 적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통계학에서는 설문작성이 연구의 시작이기도 하면서 연구의 공정성과 중립성을 증거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이기도 합니다. <죽은, 그 후>에는 설문의 구성은 제시되고 있지 않습니다만 작성자들에게 연구의 긍정적 방향을 암시하는 내용이 담겨있을 가능성이 느낄 수 있습니다.

 

회의론자들은 임사체험연구자들의 주장에 대하여 다양한 반론을 제시하고 있다고 합니다. 저자가 임사체험의 증거로 제시하고 있는 경험사례에서 볼 수 있는 증언 가운데 설명이 불가능한 점도 없지 않습니다만, 과학적이라 할 수 없는 내용도 적지 않습니다. 임사체험 연구에서 결정적인 문제라고 할 수도 있는 점은, 사전에 디자인된 실험을 통하여 그들의 이론을 입증할 수 없다는 점일 것 같습니다. 누가 죽음을 시험하겠다고 자원하겠습니까? 그렇다면 시험대상군의 체험과 비교할 수 있는 비교대상군을 설정해야 하는데, 이 부분을 볼 수 없는 것 같습니다. 즉 이들이 정의하고 있는 임사의 경험을 한 사람들 가운데 임사체험을 한 사람들의 비율이 얼마나 되는지 제시하지 못하고 있고(경험자들의 자발적 참여에 의한 사례증언을 수집하는 방식의 연구라는 한계 때문일 것입니다.), 임사체험을 하지 못한 사람들은 왜 그런지 이유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하겠습니다.

 

유체이탈만해도 유체이탈의 경험은 독특한 점이 있다고 보입니다만, 임사사례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병원에 임사체험을 증언할 수 있는 특별한 장치를 배치해두었지만, 이 장치에 대하여 증언하는 사례는 아직까지 한건도 없다는 점에서 연구결과의 신뢰성을 입증하기 위하여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사항이 빠져 있는 것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죽음, 그 후>에서 제시하고 있는 사례를 하나하나 짚어서 반론을 제기하다보면 리뷰가 연구보고서의 분량에 이를 것 같습니다. 결론적으로 제 판단으로는 임사체험은 아직 개별사례의 수준에 머물고 있어 과학적으로 입증되었다고 주장할 단계가 아니라는 판단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