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체성 밀란 쿤데라 전집 9
밀란 쿤데라 지음, 이재룡 옮김 / 민음사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쿤데라의 소설 <참을 수 없는 존재의 가벼움>을 읽으면서 난해하다고 생각했던 것 같습니다. 우연히 만난 남녀가 사고로 함께 죽는데, 그들이 내린 돌이킬 수 없는 결정 또 우연한 사건 등이 쌓여 생긴 결과라는 것이므로, 우연이면서도 필연적인 만남이었다는 느낌이 남습니다.

 

<정체성>에서도 샹탈과 장마르크의 관계 역시 우연(偶然)이 개입하여 상황을 전개시키게 되지만 상황이 발전하게 되는 것은 두 사람이 선택한 결정이 더해진 결과일 뿐이며, 자신이 결정한 내용을 상대방에게 알릴 기회를 놓치면서 결정적인 오해를 불러일으킨 것이 파국으로 치닫게 되는 것입니다. 마지막 순간에 극적인 반전이 일어날 것으로 기대할 수도 있겠습니다만, 아마도 저자는 완벽한 해피엔딩 역시 독자의 몫으로 남겨두는 것 같습니다.

 

사랑을 시험에 들게 하지 말라는 경구가 있습니다. 하지만 마(魔)가 끼어드는 것은 한 순간이니 경구를 잊고 사랑을 시험하는 연인들이 적지 않은 것 같습니다. 저의 첫사랑 역시 이 경구를 깜박한 대가로 끝났었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장마르크에 대한 샹탈의 사랑이 어느 정도인지 작가의 설명을 보면 잘 알 수 있습니다. “그녀는 이렇게 어느 날 장마르크를 잃는다는 상상을 했다. 오직 상상만 할 수 있을 뿐 아무것도 모르는 처지에 빠지는 것. 그녀는 아마 자살조차 할 수 없을 것이다. 자살은 배신일 것이며 기다림의 거부, 인내의 상실일 것이다. 그녀는 숨이 붙어 있는 마지막 순간까지 끊임없는 공포 속에서 살아야만 할 것이다.(9쪽)”

 

살아가면서 매사가 손목시계의 톱니바퀴처럼 한치의 오차없이 째깍째깍 맞물려 돌아가기만 하는 것은 아닙니다. 미세하게 일치하지 않는 상황도 일어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런 상황은 당사자들의 여유 속에 녹아들면 커다란 오차로 발전하지 않고 수습될 수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예상치 않은 상황에서 우연히 던진 한 마디가 상대의 마음에 새겨지면서 일어나는 반응이 사태를 키워나가는 동력이 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면, 주말을 같이 보내기 위해서 노르망디 해변가 작은 도시에 먼저 도착한 샹탈은 우연히 만나는 사람들로부터 묘한 압박감을 받게 됩니다. 장마르크 역시 어렸을 적 친구 F를 문병갔던 장마르크가 전혀 생각지 못한 과거의 기억으로부터 잊었던 상처가 되살아나게 되는데, 약속한 시간보다 일찍 숙소에 도착한 장마르크는 샹탈을 찾아 나서고 서로 엇갈리게 됩니다. 두 사람의 멀지 않은 미래를 예고라도 하듯이 말입니다.

 

그리고 결국은 만나게 된 연인에게 “무슨 일이 있었지? 무슨 일이야?”하고 묻게 되는데, 아무 일도 없었다는 그녀의 답변을 그냥 넘어가지 못하고 추궁하게 되고, 결국 그녀는 “남자들이 더 이상 나를 돌아보지 않더라.(29쪽)”고 답변을 하게 됩니다. 충성스러운 연하남 장마르크는 상처난 그녀의 마음을 달래주기 위하여 시라노가 되기로 작정을 하게 되고, 그녀에게 관심을 가지고 있는 미지의 남성이 있는 것처럼 편지를 보내기 시작하게 됩니다. 제목이 의미하는 정체성이란 바로 샹탈처럼 삶의 한 순간에 살펴보는 스스로의 위치를 말함일까요?

 

이번 시즌에 새로 시작하는 드라마들은 약속이나 한 듯이 타임슬립과 죽은 자를 빙자한 복수를 주제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령>은 자신의 모든 생활과 생각을 누군가 감시하고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착각을 불러일으킬 정도로 섬찟하게 전개되고 있습니다. 샹탈이 편지를 받고서 이런 느낌을 받았을 것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는데, 작가는 여기에 상황을 비틀어놓습니다. 그녀는 미지의 남성으로부터 받은 편지를 버리지 않을 뿐 아니라 장마르크에게도 비밀로 붙이고, 그 편지를 보낸 장마르크도 상탈이 편지를 보관하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도 그녀에게 운을 떼지 않는 탓에 결국 그녀도 장마르크가 편지가 왔다는 것을 알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상황은 파국으로 치달을 조짐을 보이게 되는 것입니다.

 

어떤 독자도 이해하기 어려운 등장인물, 샹탈의 전시누이의 등장이 읽는 이를 조마조마하게 만들던 긴장이 폭발을 향하여 치닫게 되는데, 솔직하게 말씀드리면 이런 상황이 실재할까하는 의구심을 버릴 수 없었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전남편의 여동생은 아들이 죽어 심리적 공황상태인 샹탈과 오빠에게 새로 아이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하는데 아무리 오빠네 일이라고 해도 한 다리 건너인 가정사에 감놓아라 배놓아라 하지 않는 것이 도리가 아닐까 합니다. 게다가 오빠와 이혼한 올케네 집에 찾아와서 가족모임에 참석하라고 청하는 장면에는 도대체 이 사람은 무슨 생각을 하면서 세상을 사는지 모를 지경이라 할까요? 아무리 소설이라고는 하지만 이해되지 않는 성격입니다.

 

죽어도 헤어지지 않을 것 같은 두 사람이 전혀 생각하지 못했던 일이 벌어지게 된 이유를 살펴보면 우리네 삶을 어떻게 살아야 할지 나름대로의 답을 구할 수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하지만 그 답 역시 독자마다 다를 수 있다고 보기 때문에 제가 얻은 답은 제 마음 속에 묻어두도록 하겠습니다. 다만 논의하지 않은 장마르크가 그의 친구 F와의 관계에서 토로하는 우정에 대한 정의입니다. “우정이란 기억력의 원활한 작동을 위해 인간에게 필요 불가결한 것. 과거를 기억하고 항상 지니고 다니는 것은 아마도 흔히 말하듯 자아의 총체성을 보존하기 위한 필요조건일거야.(54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