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프리카에는 아프리카가 없다 - 우리가 알고 있던 만들어진 아프리카를 넘어서
윤상욱 지음 / 시공사 / 201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프리카’하면 ‘동물의 왕국’을 통해서 보는 다양한 동물들이 사는 아직 개발되지 않은 땅 혹은 영화 ‘아웃 오브 아프리카’를 통해서 본 아름다운 풍광이 가득한 낭만적인 땅으로 기억되는 부분과 반면 미국 흑인들의 선조들이 노예로 붙잡혀 끌려온 땅 혹은 슈바이처박사가 인술을 베풀었던 곳, 그래서 개발되어 있지 않고 주민들이 기아에 고통받는 저주의 땅으로 기억되는 부분이 단편적으로 교차하곤 합니다. 특히 언론을 통하여 지루하게 전해지는 내란에 관한 뉴스에다가 천재지변으로 인하여 고통받는 주민들의 모습에 이어 최근 들어 늘고 있는 봉사단체들의 활동모습은 이런 곳에서 어떻게 현생인류가 나타날 수 있었을까 싶은 생각이 듭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곳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어 아직 가볼 기회도 없었을 뿐 아니라 얻어들을 수 있는 정보도 신문기사나 간혹 대하는 여행기 등 단편적인 것이라서 더욱 그러한 것 같습니다. 어쩌면 우리는 우물 안의 개구리처럼 올려다보이는 동전잎만한 하늘이 세상의 전부로 생각하는 버릇이 굳어져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우물밖 세상에 관심이 없는 탓인지 우물밖 세상을 소개하려는 노력도 별로 하지 않고 있는 것 같습니다. 아프리카가 우리 사회와 얽힌 이해가 별로 없다는 생각에서인지 아프리카의 진면목을 소개하는 텍스트는 별로 볼 수 없었던 것 같습니다. 다행스러운 것은 최근 들어 북위 10에 걸쳐있는 지역에서의 기독교와 이슬람교의 갈등을 분석하고 있는 <위도 10도; http://blog.joinsmsn.com/yang412/12464128>와 같이 아프리카 문제를 깊이 파헤치는 책들이 소개되고 있는 것은 고무적인 일이라 하겠습니다.

 

<아프리카에는 아프리카가 없다>는 주 세네갈 한국대사관에서 근무하고 계시는 윤상욱 참사관님께서 아프리카의 진면목을 다루는 책이 별로 없음을 안타까워하다가 시작하게 되셨다고 합니다. 주재국 관련 외교업무에만 머물지 않고 주재국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신데 감사드립니다. 아마도 저자가 서양사를 전공한 배경도 크게 작용한 것 같습니다. 그런 까닭에 흔히 생각하기 쉬운 아프리카의 자원과 시장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책이 아니라 “누가 언제 어떻게 아프리카와 아프리카인들에게 고통을 주었으며, 왜 아직도 아프리카는 그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는지, 또 미래는 어떻게 변해갈 것이며, 거기에는 어떤 도전이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9쪽)”이 저자의 주 관심사가 된 것 같습니다.

 

저자는 먼저 아프리카인의 정체성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루시(Lucy)의 발견으로 현생인류 호모 사피엔스가 시작한 땅으로 믿어지고 있는 곳 아프리카는 세계사가 시작되는 땅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저자가 “세계사에서 아프리카는 용두사미 그 자체다.(35쪽5)”이라고 규정하고 있는 것처럼 아프리카가 세계사의 무대에 다시 등장하는 것은 15세기 대항해시대에 이르러서라는 것입니다. 인류의 4대문명지 가운데 하나인 이집트 문명도 아프리카땅을 흐르는 나일강변에서 꽃피웠던 것인데, 그저 나일강변만 단장하고서 스러진 것인지 의문이 아닐 수 없습니다.

 

세계사에 다시 등장한 아프리카는 그 땅이 품고 있는 풍부한 자원들 때문에 열강의 침략을 불러들이고 이들이 입맛대로 찢기고 나뉘는 바람에 오늘날까지도 갈등이 이어지는 결과를 낳았다는 것입니다. 돌이켜 생각해보면 2차 세계대전으로 이어지는 근세 무렵부터 아시아대륙의 동쪽 끝에 매달린 조그만 반도땅 역시 대륙세력과 해양세력의 이해가 첨예하게 충돌하는 장소가 되었던 것이니 해방 후 혼란했던 사회분위기가 정리되지 않았더라면 우리의 운명이 아프리카의 그것도 다를 게 없었을 것이라는 쓸데없는 걱정도 해봅니다.

 

2차 세계대전이 끝나고 유럽의 제국주의 국가들의 식민통치로부터 독립하게 된 아프리카 국가들은 흩어져 있는 수많은 부족사회들을 인위적으로 갈라 국경을 긋게 된 것이 아프리카 국가들이 오늘날까지 내전으로 고통받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는 유럽책임론이 여전히 힘을 얻고 있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아프리카 사회가 배태하고 있는 구조적 문제들이 기여한 바는 없는지 꼼꼼하게 따져볼 필요도 있을 것 같습니다. 그렇다면 강대국의 이해에 따라서 분단의 아픔과 갈등을 겪고 있는 우리 사회도 아프리카 국가의 현실에서 배워야 할 점이 적지 않겠다는 생각을 하게 됩니다.

 

저자는 아프리카를 조망하는데 있어 그들의 불행한 과거 그리고 그들 사회가 안고 있는 구조적 문제점을 짚는데서 그치지 않고 최근 재조명되고 있는 아프리카 사회의 미래에 대하여 관심을 가질 것을 촉구하고 있습니다. 저개발국가와 접촉할 때 시혜를 주는 입장이라는 우월감 같은 생각을 가지거나 무언가 얻어낼 필요 때문에 전략적 접근을 하고 있지는 않은가 스스로를 경계할 필요가 있다는 점도 빠트리지 않고 있습니다. 아프리카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조망하는데 필요한 생각들이 잘 정리되어 있다는 느낌을 얻었다는 말씀을 드립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