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은 홀로 죽는다 - 무연사회를 살아가기 위하여
시마다 히로미 지음, 이소담 옮김 / 미래의창 / 2011년 7월
평점 :
품절


 

죽음에 관한 글을 읽으면서 김열규교수님의 <메멘토 모리, 죽음을 기억하라; http://blog.joinsmsn.com/yang412/4271393>의 리뷰에서 인용한 글을 다시 끄집어내봅니다. “예로부터 높게 쳐준 우리네의 ‘갖추어진 삶’의 조건으로, 나이로는 환갑․진갑을 넘겨 살아야 하고, 자식은 적어도 3남2녀는 두어야 하고, 가장이 부와 귀를 누려야하며, 그 많은 아들․딸들이 빠짐없이 성혼을 하여 손자를 주렁주렁 두어야 하고, 드디어 세상을 하직할 때 고통이 없이 잠시 앓는 듯 마는 듯하다가 안채 안방 혹은 안사랑에서 이른바 ‘와석종신’해야 한다고 합니다. 임종자리에는 자식이 빠짐없이 지키고 앉아 있어야 하며, 초상은 장중하게 치루어져야 하고 은성해야 하며, 무덤자리가 명당이라야 하고 삼대에 걸쳐 봉제사할 후손이 끊기지 말아야 하는 것이 ‘갖추어진 삶’의 맺음이라고 합니다.”

요즘 사회에서 이렇듯 호사스러운 죽음을 맞는 분들이 적지는 않을 것 같기도 합니다만, 간혹 언제 돌아가셨는지도 모르는 죽음에 관한 기사를 신문귀퉁이에서 만나게 되면 안타깝기 이를 데 없습니다. 시마다 히로미의 <사람은 홀로 죽는다>는 뉴스에 나오는 이런 죽음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2010년 1월 말경에 NHK에서 방영되었다는 <무연사회 : ‘무연사’ 3만2천명의 충격>이 집필동기가 되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일본사람들의 대단한 독서열에 관한 이야기는 흔히 듣습니다만, 이런 독서열에 편승하는 수요 때문인지 가벼운 내용의 책들을 자주 접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사람은 홀로 죽는다>도 그 범주를 벗어나지 못하는 것 같습니다.

저자는 연고없이 사망하는 사람이 늘고 있고 이에 대한 사회적 대책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을 담아내기 위하여 일본사회에서 도시화가 시작된 이후 농촌에서 도회지로 옮겨간 세대가 사라지면서 연고중심사회에서 개인중심사회로 넘어가면서 누군가와의 소통을 끊고 홀로 살다 죽음을 맞는 사람들이 늘게 된 시대적 변천과정을 추적해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무연사회에서 어떻게 살아가야 하는가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제목에 끌려 읽기 시작했습니다만, 책이 주는 무게는 다소 가볍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일본사회가 연고를 중시하던 풍조가 무연고 성향으로 변하게 된 원인분석도 다소 치밀하지 못한 것 아닌가 하는 아쉬움도 남습니다.

하지만 농업중심 사회에서는 땅을 매개로 한 협업과 재산이나 농업기술의 승계가 자연스럽게 이어지는데 반하여 기업사회에서는 회사원으로 지내면서 쌓은 노하우가 자식에게 넘어가는 길이 원천적으로 차단되는 사회구조가 무연사회를 먼 원인이 될 수도 있겠다 싶습니다. 어떻게 보면 유연사회 속에서의 촘촘하게 엮이는 관계에서 오는 스트레스를 이기지 못한 사람들이 주변과의 관계를 끊고 혼자만의 삶을 즐기다가 죽음을 맞이하는 것이 소위 무연사, 혹은 고독사라고 한다면 이 역시 죽은이의 선택이었음을 인정하는 것이 옳지 않은가 싶습니다. 즉 그런 죽음에 대한 사회가 책임져야 하는 한계가 어디까지 인지를 고민할 필요가 있겠는가 하는 문제입니다.

저자의 주장대로 사람은 혼자 태어나지는 않지만 누군가와 같이하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세상을 떠나는 일은 혼자의 일일 수밖에 없습니다. 물론 세상을 떠나는 이를 안타까워하는 사람들의 작별 속에서 죽음을 맞이하는 경우가 아직까지는 대세겠지만, 혼자서 세상을 떠나는 상황의 경우에 대한 정확한 표현이 되겠습니다.

효성이 지극한 후손이 선조를 기리는 일을 잘 이어간다면 모를까 세상을 떠난 사람들은 세월이 흐르면 대부분 잊혀지기 마련입니다. 저자는 독신자가 죽은 다음에 그를 떠올리며 공양해줄 사람이 없어 고독한 현실을 안타까워하고 있습니다만, 이 역시 오지랖이 보통 넓은 게 아니란 생각이 들었습니다. 홀로 살아왔다는 것이 속박없이 자유롭게 살아온 삶에 대한 반대급부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홀로 맞이 하는 죽음이 두렵고 쓸쓸할 것이라는 저자의 단정이 잘못된 것일 수도 있겠다 싶습니다. 죽은 사람에게 물어볼 수 없는 질문이기 때문입니다. 무연사회가 두려워할 대상이 아니라는 저자의 결론은 미리 정해진 것이라고 보이는 이유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