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에 대하여 - 진화론과 동물 행동학으로 풀어 본 개의 진실 자연과 인간 7
스티븐 부디안스키 지음, 이상원 옮김 / 사이언스북스 / 2005년 8월
평점 :
절판


 

어렸을 적에는 집에서 개를 키웠던 적이 있는 것 같습니다만, 언젠가부터 개는 물론 다른 애완동물을 집에 들이지 않게 된 이유는 잘 모르겠습니다. 결혼하서도 애완동물을 집에 들이지 않았는데, 그 이유는 아내가 별로 좋아하지 않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그리고 보니 처가에서도 애완동물을 키우는 것을 보지 못한 것 같습니다. 아내는 산책길에 만나는 강아지도 피해가는 상황입니다. 혹여 개줄을 매지 않고 풀어둔 채 산책하시는 분이라도 만나면 불평을 하곤합니다. 이런 경우에는 처벌을 받게 되는 법이 통과되었다는 소문은 들은 것도 같은데 실행되는 것 같지 않습니다.

가끔은 개주인이 개한테 끌려 다니는 것 같은 느낌이 드는 상황을 만나기도 합니다만, 그런 경우 속으로 왜 저럴까 하는 생각을 하기도 합니다. 스티븐 부디안스키의 <개에 대하여>를 읽게 된 것은, 최근에 지인이 개에 대하여 글을 쓰고 있다고 해서 참고할만한 자료가 될까 해서 관심을 가지게 되어서입니다.

저자가 독서하는 모습을 지켜보는 귀여운 강아지와 함께 찍은 사진을 소개하고 있어 분명 개를 엄청 사랑하는 저자가 개에 관한 사랑스러운 시각에서 글을 썼을 것이라 생각했습니다만, 목차에서 보는 것처럼 1장_도무시 알 수 없는 동물, 6장_똑똑한 걸까, 멍청한 걸까?, 8장_문제 개, 문제 주인, 9장_ 개는 개일 뿐 이라고 적은 제목처럼 우리가 친숙하게 느끼고 있는 개라는 동물이 가지고 있는 수많은 수수께끼에 대하여 진화론, 분자생물학, 유전학, 동물 심리학 등 과학적 자료들을 총망라하여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고 있습니다. 부디안스키의 설명을 듣다보면 우리는 개에 대하여 참 바보였구나 싶다는 생각이 절로 들 것입니다.

우리가 잘 못 알고 있는 첫 번째, “개는 인간의 필요에 의하여 야생 늑대를 훈련시켜 가축화한 것이다.”라는 말이 사실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인간이 개를 필요로 한 것이 아니라 야생 늑대가 필요에 의하여 인간주변을 기웃거리다가 어느 사이에 인간들의 삶에 스며든 것이라는 것을 자료를 통하여 증명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 폭풍우나 화재와 같은 위기 상황에서 주인을 구하는 개에 대한 감동실화도 전해지고 있지만, “늘 우리 주위를 맴돌고 있는 개들은 아주 충성스러운 동물이다”라는 명제 역시 잘못된 인식이라는 것입니다. 개가 주인을 지키는 것은 개의 입장에서는 극히 일상적인 일에 불과한 것일 뿐 아니라 경우에 따라서는 ‘자신의 것’을 지키려는 본능에서 나온 행동으로 해석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우리는 어린이가 개에 물려 크게 다치거나 심지어는 죽었다는 기사를 보기도 합니다. 어렸을 적에 심부름을 시키면 모두 가지 않겠다고 버티는 친척집이 있었습니다. (꼭 하루 예외는 세배를 가는 설날은 예외입니다. 세뱃돈을 푸짐하게 받을 수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 이유는 그 집을 지키는 사냥개가 엄청나게 사나워서 문앞에 서기만 하면 벌써 난리법석을 치기 때문입니다. 미국에서는 매년 500만명이 개에 물리는 사고를 당하는데 100만명 정도는 병원에서 치료를 받아야 할 정도 심각한 상처를 입을 뿐 아니라 10명 정도는 현장에서 사망한다고 하니 개라는 동물에 대하여 경각심을 가져야 할 이유가 분명하다고 보겠습니다.

사람들은 애완견이 덜 공격적일 것이라고 믿는다고 하는데, 오히려 떠돌이개가 사람을 더 무서워한다는 것입니다. 가구를 못쓰게 만드는 일부터 손님은 물론 주인까지 공격하는 개가 늘어나고 있는 추세라고 합니다. 그것은 개라는 동물이 가지고 있는 본성이 그렇다는 것입니다.

앞서 인용했습니다만 개는 스스로 선택하여 인간의 영역으로 침입한 종입니다. 그 이유는 야생에서 먹이를 얻는 것보다 인간에 기대는 편이 훨씬 수월하다는 점을 일찍 깨달은 영악한 동물이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집에서 개를 키울 때 일입니다. 어머니께서는 개가 아프면 개밥에 고깃국물이라도 얹어주시곤 했던 것 같습니다. 그러면서도 버릇을 잘 못 들이면 귀찮다는 말씀을 하셨던 것으로 보아서, 특히 강아지 때 이런 경우가 생기면 아픈 것이 나아도 개가 밥을 먹지 않는 일이 자주 일어난다는 사실을 알고 계셨던 것 같습니다.

개가 꾀병을 앓기도 한다는 이야기를 읽고 놀랐습니다. 주인의 관심을 끌어보려는 욕구가 강한 개일수록 그렇다고 하는데요. 꾀병의 정도는 토할 듯이 꺽꺽거리거나, 다리를 절룩이기, 마비된 듯이 꼼짝 않고 누워있기 뿐이 아니라 심지어는 근육경련 콧물까지 흘린다니 학교가기 싫어서 꾀병핑계를 대는 아이들과는 비교도 되지 않는 연기력이 아닐 수 없습니다. 개가 이런 증상을 보이면 개주인은 어쩔 줄 모르고 개에 끌려 다니는 경우도 적지 않은데, 개들은 이런 과정을 통하여 주인을 마음대로 가지고 노는 것입니다. 이 경우에 외출하는 척하고 나와서 개를 혼자 있게 하면 아픈 척하던 개가 아무렇지도 않게 일어나 돌아다니는 모습을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다름 사례를 어떻게 이해하시겠습니까? “자녀가 없는 젊은 부부가 18개월 된 수컷 아이리시 세터를 키우고 있었다. 개는 걸핏하면 으르렁거리며 남편을 위협했고, 몇 차례 물어뜩기까지 했다. 특히 아내와 함께 방안에 있을 때 남편이 들어오는 상황이 벌어지면 개는 반드시 화를 냈다.(11쪽)” 왜 이럴까요 개는 아내가 자신의 것이라는 소유의식을 강하게 표현한 것으로 해석해도 될까요?

개에 관하여 “어떤 개는 마치 자기가 사람인 듯 착각하는 것 같다”는 농담을 한 적이 있습니다. 그런데 이 책에서 “오로지 인간하고만 어울리며 성장한 개는 인간을 개와 똑같은 존재로 보게 되기도 한다. 심지어 인간과 교미를 시도하는 난처한 상황도 벌어진다. 다리 위에 올라타 성기를 비벼 대는 것이다.(217쪽)”는 구절을 읽고 그런 경험이 기억나기도 합니다. 심지어는 어떤 개는 주인가족들을 상대로 위계질서를 세우려 드는 경우도 있다는 것입니다.

제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치매환자를 치료하는 방법 가운데 동물요법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환자들이 훈련된 동물과 같이 생활함으로써 증상을 개선시켜 삶의 질을 높일 뿐 아니라 환자의 안전을 지킬 수 있는 효과를 볼 있다는 것입니다. 이렇듯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애완동물로서 개는 이 책의 결론부분의 제목처럼 “개는 개일 뿐”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옳겠다는 생각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즉 사람을 사람을 배신하지만 개는 절대 그렇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가족보다도 더 귀한 존재로 대하는 분들은 개라는 동물의 정체를 파악하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읽어보실 필요가 있겠다는 생각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