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물을 마시는 새 3 (양장) - 불을 다루는 도깨비
이영도 지음 / 황금가지 / 200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눈물을 마시는 새> 3부의 부제는 ‘불을 다루는 도깨비’입니다. ‘숙원을 추구하는 레콘’이라는 부제를 달았던 2부에서는 레콘족의 특성을 소개하는 정도였던 것보다는 도깨비족에 대하여 조금 상세하게 설명되고 있고, 특히 도깨비를 가호하는 ‘자신을 죽이는 신’의 화신 <시우쇠>가 등장해서 나가족과 싸우는 3종족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1부와 2부에 등장해서 나가세계에서 륜 페이를 하인샤대사원으로 인도했던 3인의 구출대가 인간, 레콘 그리고 도깨비를 수호하는 신의 화신을 찾아나서는 수탐자의 역할을 맡아서 처음 찾아낸 도깨비 종족의 화신인 것입니다. 3부에서는 레콘의 수호신을 찾아 북쪽에 있는 레콘족의 최후의 대장간을 찾은 수탐자들은 인내의 시간을 보낸 끝에 막 세상에 태어난 ‘모든 이보다 낮은 신’의 화신 <아가>를 찾게 됩니다. 시우쇠가 세상의 열을 자유자재로 움직이는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처럼 <아가>는 무엇보다도 빠르게 움직일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2부에서 예고했던 것처럼 ‘발자국 없는 여신’을 그 화신인 카린돌 마케로우를 냉동장치에 감금함으로써 물을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는 여신의 힘을 사용할 수 있게 된 심장탑 수호자들은 나가족들로 하여금 800년전의 대확장전쟁의 기억을 되살리는데 성공하고 한계선 북쪽으로 진격하여 전쟁이 발발하게 됩니다. 800년전 전쟁과는 달리 레콘까지 참전하는 인간-레콘-도깨비 연합군이 구성되어 나가족과의 전쟁에 나섰지만 수세에 몰리는 듯합니다. 이는 전략적 수세로 엔거평원으로 나가 군단을 끌어들여 대대적인 반격에 성공합니다. 용을 부리는 륜페이의 발전된 기량과 도깨비족의 화신 시우쇠와 도깨비족이 발전시킨 감투가 결정적으로 기여하게 됩니다. 엔케평원의 대첩 이후 연합군은 나가족의 심장부 하텐그라쥬로 진격하여 감금된 ‘발자국 없는 여신’을 구출하는 것이 최선의 전략이라는 판단을 하게 됩니다.

한편 이 사건의 출발지인 나가족의 하텐그라쥬에서는 수호자들의 음모의 가면이 하나씩 벗겨지고 있지만, 나가족집단을 이끄는 여성들은 자신의 심장을 보관하고 있는 심장탑을 장악하고 있는 수호자들과 대결할 수 없는 상황입니다. 전장은 북쪽에서 나가족의 하텐그라쥬 방향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하텐그라쥬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페로그라쥬, 악타그라쥬 그리고 시모그라쥬의 3대 나가도시를 통과해야 합니다. 독자들은 북쪽 연합군이 페로그라쥬와 악타그라쥬를 지키기 위해서 나가족 수호장군들이 저지선을 무너뜨리는 전략에 감탄하실 것입니다.

나가족과 북쪽 연합군이 벌이고 있는 전쟁과는 무관한 것으로 보이는 나가족의 하늘치탐험(하늘치는 하늘을 아무런 목적지 없이 그저 유유히 날고 있는 거대한 생물체로, 수천 개의 눈을 가지고 있고, 그 등에는 정체가 알려져 있지 않은 신비한 유적이 있습니다.)이 드디어 성공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하늘치 유적에 담겨 있는 비밀은 4권에 밝혀질 것 같습니다.

생물에 대한 저자의 독특한 생각을 읽게 하는 부분입니다. 시우쇠가 륜 페이에게 건네는 말입니다. “우리는 너희를 먹어야 하는 존재로 만들었지 … 그게 생명이야.. 모든 동물들이. 식물들이. 생명이란 생명은 모두 먹는다. 먹지 않으면 생명이 아니지. 우리가 만든 것은 그런 것이다. … ‘일단. 먹고 나서.’(211쪽)” 그렇습니다. 생물과 무생물의 구분은 생명활동을 한다는 것인데 그 기본은 먹는 것으로부터 시작되는 것이 옳습니다.

<눈물을 마시는 새>에서 제가 알고 싶은, 눈물에 관한 내용을 정리해봅니다. 나가족은 변온족입니다. 즉 따듯한 기온에서는 활동에 문제가 없지만 기온이 지나치게 낮거나 높으면 활동이 제약을 받게 되는 것이지요. 변온동물의 특징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전편에서 은루(銀淚)를 흘린다는 점을 인용했습니다만, 나가들이 눈물을 흘리는 상황은 다른 인간과는 다른 점이 있는 것 같습니다. “나가들은 거의 울지 않는다. 패배에 서러워하며 우는 나가의 모습이란 비현실적이다. 그러나 공포는 전혀 다른 문제다.(66쪽)” 나가족이 눈물을 잘 흘리지 않는다고 하면서도 나가의 눈물이 자주 인용되는 것 같습니다. 비아스에게 붙잡힌 수호자 보트린이 혈루를 흘리는 장면을 묘사하고 있습니다. 비아스가 보트린의 눈에 말뚝을 꽂아 피눈물이 흘러내리는 모습입니다.(470쪽) 아마도 상처를 입은 눈에서 흐르는 피가 눈물처럼 흘러내리는 모습을 피눈물로 묘사한 것 같습니다. 레콘이 눈물을 흘리는 장면도 있습니다. 하늘치에 올라 유적을 살펴보던 레콘족 주키가 신체적 고통으로 눈물을 흘리는 장면입니다.(434쪽)

색다른 표현도 있습니다. “내가 저 눈물처럼 흐르는 죽음을 태우는 것은 어떤 자를 구출하기 위해서다. 갇혀 있기에 그 힘을 타인에게 빼앗기고 있는 자를.(217쪽)” 이 장면은 시우쇠가 죽은 두억시니의 몸이 흘러내리면서 다시 삶을 얻는 유해의 폭포를 태우면서  륜 페이에게 이르는 대목입니다. 사실 이 부분에 대한 해석은 쉽지가 않습니다. 유해의 폭포가 사모 페이에게 전하는 시우쇠와의 대화를 통해서 깨닫게 된 점인데 “~그 죽음에 대해 슬퍼할 필요는 없겠지.  … 나는 만족해 더 이상 만족할 수 없을 만큼 만족해!(449쪽)” 두억시니족이 신을 잃게 된 이유를 시우쇠로부터 듣고 유해의 폭포가 얻은 결론이니 아직 밝혀지지 않은 무엇이 남아 있는 것일 것 같습니다. 또한 유해의 폭포는 사모 페이에게 ‘제발 살아가’라고 당부하면서 자기 완성을 위해 살아간다는 자를 조심하라 경고를 하고 있습니다. 그는 누굴까요?

3권까지 정리하면서 저자가 <눈물을 마시는 새>를 모두 4권으로 구성한 것은 각권에 부제를 단 것처럼 사람 4종족에 대한 헌정이라기보다는 이야기 전체의 흐름을 기승전결에 맞추려는 의도가 있었던 것으로 추측해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