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명 양기화의 Book 소리 - 유럽 여행
지은이 양기화
분야 사회과학 > 인문학 / 사회과학 > 문학
발행일 2024.12.20.
판형 152*225
페이지 359쪽
정가 18,000원
ISBN 979-11-7318-131-3 03800
브랜드 한국학술정보
검색어 사회과학 인문학 책읽기
<책소개>
아내와 함께 가는 해외여행은 회갑이 되던 2014년 베트남과 캄보디아를 연결하는 여행으로 시작했다. 2024년 봄에 발칸반도의 9개 나라를 연결하는 여행까지 20번 다녀왔다. 모두 59개국에 196개 도시 혹은 마을에서 머물렀다. 방문한 장소는 그보다도 훨씬 많아 헤아려보지 못했다. 그러다 보니 여행지와 연관이 있는 책들의 목록도 늘어나서 유럽 여행 편과 세계 여행 편으로 나누어 보려 한다. 여행과 책을 함께 이야기하려다 보니 이야기 가 길어지게 되어 52권으로 묶었던 『양기화의 BOOK 소리』와는 달리 26편으로 줄였다.
여행과 책 읽기를 결합한 이야기를 담은 책들은 대부분 여행보다는 책 읽기에 무게를 두는 것과는 달리 필자는 『양기화의 BOOK 소리-유럽 여행』 편에서 여행에 관한 이야기에 무게를 두었다.
- 들어가는 말 중에서
<저자소개>
양 기 화
의학박사, 전문의(병리학 및 진단검사의학)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을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동 대학 조교수를 거쳐 을지의과대학교에서 교수를 역임했다. 미국 미네소타 대학교 의과대학 신경병리실험실에서 방문교수로 치매병리를 공부했다.
식품의약품안전청 국립독성연구원 일반독성부장, 대한의사협회 의료정책연구소 연구조정실장, 건강보험심사평가원 평가수석 위원을 거쳐 현재는 군포 지샘병원에서 병리과장으로 재직하고 있다.
어려서부터 책읽기를 좋아했고, 2015년부터는 본격적으로 책을 읽고 독후감쓰기를 시작하여 최근까지 2,500권의 책을 읽고 2,300편의 독후감을 썼다.
저서로는 『치매 바로 알면 잡는다(1996년, 동아일보)』를 낸 뒤에 『치매 고칠 수 있다(2022, 중앙생활사)』까지 세 차례 개정판을 냈다. 『우리 일상에 숨어있는 유해물질(2018, 지식서재)』에 이어, 인문학적 책읽기 연작으로 『양기화의 BOOK소리(2020, 이담북스)』와 『아내가 고른 양기화의 BOOK소리(2021, 이담북스)』 등 12권을 세상에 내놓았다.
<목차>
들어가는 글
1. 바르셀로나(스페인)
『카탈루냐 찬가』(조지 오웰 지음)
2. 그라나다(스페인)
『알람브라』(워싱턴 어빙 지음)
3. 론다(스페인)
『태양은 다시 떠오른다』(어니스트 헤밍웨이 지음)
4. 톨레도(스페인)
『톨레도의 유대 여인』(리온 포이히트방거 지음)
5. 리스본 (포르투갈)
『리스본행 야간열차』(파스칼 메르시어 지음)
6. 이스탄불(튀르키예)
『이스탄불』(오르한 파묵 지음)
7. 모스타르(보스니아)
『드리나 강의 다리』(이보 안드리치 지음)
8. 두브로브니크(크로아티아)
『십이야』(윌리엄 셰익스피어 지음)
9. 베네치아 (이탈리아)
『바다의 도시 이야기』(시오노 나나미 지음)
10. 오시비엥침(폴란드)
『이것이 인간인가?』, 『휴전』(프리모 레비 지음)
11. 크라쿠프(폴란드)
『크라쿠프의 나팔수』(에릭 P. 켈리 지음)
12. 프라하(체코)
『골렘』(구스타프 마이링크 지음)
13. 윈더미어(영국)
『서곡』 (윌리엄 워즈워스 지음)
14. 에든버러(영국)
『희귀본 살인사건』 (페이지 셀턴 지음)
15. 더블린(아일랜드)
『율리시스』(제임스 조이스 지음)
16. 웨일스(영국)
『파묻힌 거인』(가즈오 이시구로 지음)
17. 드레스덴(독일)
『제5 도살장』(커트 보니것 지음)
18. 베를린(독일)
『잃어버린 기억의 박물관』(랄프 이자우 지음)
19. 산토리니(그리스)
『그리스인 조르바』(니코스 카잔차키스 지음)
20. 지베르니(프랑스)
『검은 수련』(미셸 뷔시 지음)
21. 루아르(프랑스)
『골짜기의 백합』(오노레 드 발자크 지음)
22. 프로방스(프랑스)
『향수』(파트리크 쥐스킨트 지음)
23. 빌뉴스(리투아니아)
『우주피스공화국』(하일지 지음)
24. 사라예보(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사라예보의 첼리스트』(스티븐 갤러웨이 지음)
25. 티라나(알바니아)
『누가 후계자를 죽였는가』(이스마일 카다레 지음)
26. 티미쇼아라(루마니아)
『그때 이미 여우는 사냥꾼이었다』(헤르타 뮈러 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