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경비원입니다 (20만 부 에디션, 양장) - 경이로운 세계 속으로 숨어버린 한 남자의 이야기
패트릭 브링리 지음, 김희정.조현주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2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내의 추천으로 읽은 책입니다. 원 제목이 <All the Beauty in the World>으로 <세상에서 아름다운 것들>이란 뜻일 듯한데 우리말로 옮기면 밋밋했을까요? 그래서인지 가장 경이로운 세계 속으로 숨어버린 한 남자의 이야기라는 설명을 달아놓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나의 형, 톰을 위해라는 헌사에 이어 작가가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입사하여 경비 일을 시작하던 날부터 이야기를 풀어갑니다. 그러다보니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1층과 2층 구조도 소개합니다. 이어서 열한 살이 되던 해에 어머니와 함께 메트로폴리탄을 찾았던 일이 이어집니다. 작가는 미술에 관하여 아는 모든 것들을 부모님으로부터 배웠다고 했습니다. 좋은 부모님이셨던 것 같습니다. 대학에서는 예술과 관련된 분야를 전공한 것으로 보입니다.


대학을 졸업하고는 뉴요커라는 잡지사에 입사하여 화려한 직장생활(?)을 시작했다고 했습니다만, 이야기가 전개되면서 조금씩 비치는 직장생활이 화려했는지도 의문입니다. 그리고는 형이 죽은 뒤에 자신이 아는 공간에서 가장 아름다운 장소에서, 떠올릴 수 있는 가장 단순한 일을 하는 일자리에 지원했다고 했습니다. 형의 죽음과 전직이 어떤 맥락으로 연결이 되는지에 대한 구체적 서술이 있었나 싶기도 합니다. 다만 2장의 제목을 완벽한 고요가 건네는 위로라고 잡은 것을 보면 형의 죽음이 작가에게는 웬만큼 큰 충격이었을 수도 있겠다 싶습니다.


본격적으로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에 관하여 쉽게 알 수 없는 고급 정보를 조금씩 내보입니다. 메트로폴리탄의 주민이 8496명이더라는 이야기는 메트로폴리탄에서 근무하는 사람들을 헤아린 것이 아니라 미술관에 전시된 작품에 등장하는 사람들의 숫자를 의미하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전시되는 미술품이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새로운 작품으로 바뀌는 것 아닌가하는 의문도 생깁니다. 어떻든 가장 나이가 많은 주민은 1230년대에 태어난, 즉 그려진 이탈리아 화가 베를린기에로(Berlinghiero)<성모자(Madonna and Child)>이며 가장 젊은 주민은 프란시스코 데 고야가 1820년에 그린 <티부르시오 페레즈(Tiburcio Pérez y Cuervo)>라고 한 것 같은데, 사실은 <보르도의 황소> 연작 가운데 1825년에 그린 <나뉜 투우장에서의 투우(Bullfight in a divided ring)>가 있다고 합니다.


작가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이 소장한 미술품들에 관한 미학적 관점에서의 서술보다는 미술관의 경비가 하는 업무, 경비들 사이의 인간관계에 대해서도 소상하게 설명합니다. 저도 미술은 잘 모르지만 유명하다는 몇 곳의 미술관에 가보기도 했고, 국내에서 열리는 유명한 전람회에도 가보려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해외의 미술관에 갔을 때는 관람할 수 있는 시간이 턱없이 짧기 때문에 작품들을 꼼꼼하게 드려다 보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런던에 있는 미술관에 갔을 때는 유명 작품을 사진으로 찍는 모습을 본 현지 사람이 미술작품은 그렇게 감상하는 것이 아니라는 지적을 받기도 했습니다.


미술관에 가보면 전시실에 서 있는 직원들을 보게 됩니다만, 그 분들에게 궁금한 점에 대하여 물어본 적은 없습니다. 그런데 이 책에서 보면 관람객들로부터 많은 질문을 받기고 했던 모양입니다.


미술작품을 어떻게 제대로 감상할 것인가는 늘 생각하는 문제인데, 작가의 생각도 고민해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시간이 흐르면서 예술 작품을 감상하는 나만의 방식을 갖추게 됐다. 우선 작품에서 교과서를 쓰는 사람들이 솔깃해할 만한 대단한 특이점을 곧바로 찾아내고 싶은 유혹을 떨쳐 낸다. 뚜렷한 특징을 찾는데 정신을 팔면 작품의 나머지 대부분을 무시하기 십상이다. () 어느 예술품과의 만남에서든 첫 단계에는 아무 것도 하지 않아야 한다. 그저 지켜봐야 한다. 자신의 눈에게 작품의 모든 것을 흡수할 기회를 주는 것이다.(114)”


그런데 작가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경비원으로 10년을 근무한 끝에 미술관을 그만 두고 지금은 뉴욕 도보 여행 가이드로 일하며 미술관에서 보낸 시간을 회고하고 있다고 합니다. 미술관에서 일하면서 만족도가 높았던 것 같은데, 전직을 한 이유나 사정이 분명치가 않은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