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ook] 어제는 고흐가 당신 얘기를 하더라 - 마음이 그림과 만날 때 감상은 대화가 된다
이주헌 지음 / 쌤앤파커스 / 2024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끔 미술관에 가기도 합니다만, 미술이 어렵다는 생각을 버리기가 쉽지 않습니다. 미술 수필 분야를 개척해왔다는 이주헌님이 <어제는 고흐가 당신 얘기를>에서 역사적으로나 미학적으로 풍부한 배경지식이 있어야지만 작품의 진정한 아름다움을 음미할 수 있다는 편견을 가지고 있기 때문일 것 같습니다.


작가에 따르면 그와 같은 배경 지식이 없더라고 그림을 바라보고 있으면 이런 저런 생각들이 자유롭게 떠오르기 마련인데, 그처럼 내 안에서 떠도는 느낌이나 생각을 자유롭게 즐기는 것이 진정한 의미의 미술품 감상일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가는 인용한 다양한 작품들에 얽힌 다양한 배경지식을 들려주었습니다. 많은 그림들이 인용되고 있는데, 가끔은 저도 아는 그림들이 있기는 합니다만 새로이 만나는 그림들이 대부분입니다.


책을 읽으면서 처음 표식을 남긴 그림은 오귀스트 르누아르의 <독서하는 여인>입니다. 제가 책읽기를 좋아하기 때문일 것입니다. 그림에 대한 설명보다도 책을 읽는 일은 빛을 찾고 만나는 일입니다. 어떻게 사는 것이 바람직한 삶인지, 인생의 진정한 목표는 어떤 거이어야 하는지, 우리는 책을 읽으며 하나하나 알아갑니다. 등대가 뱃길을 알려주듯 책은 우리가 가야 할 길을 환하게 비춰줍니다.”라는 책읽기 예찬론이 더 쉽게 느껴졌기 때문입니다. 그림 속의 여인이 누구인지, 화가와 그녀의 관계는 물론 그녀의 삶에 대한 관심은 그리 크지 않았습니다.


두 번째로 표식을 남긴 부분은 여행에 관한 내용입니다. “지혜로운 여행자의 가방은 가벼운 법입니다. 뒤피는 예술을 한다며 쓸데없이 무거운 짐을 짊어지고 다니고 싶지 않았습니다. 적극적으로 세상을 긍정하고 밝게만 살고 싶었습니다.”라는 대목입니다. 야수파의 거장 라울 뒤피의 작품에 대한 설명입니다. 우리네 삶이 출생에서 죽음에 이르는 긴 여행이라고 한다면 무거운 짐을 지고 갈 이유는 없을 것 같습니다.


세 번째 표식은 유치환 시인의 시 행복에 남겨놓았습니다. 덴마크 화가 빌헬름 함멜쇠이의 책상 앞에 서 있는 이다를 설명하면서 인용한 시인데 가슴을 뻐근하게 만드는 대목이 아닐 수 없었습니다. 책상 앞에 서서 무언가를 쓰는 모습인데, 누군가에게 편지를 쓴다는 것은 곧 소통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하였습니다. “그리운 이여 그러면 안녕 / 설령 이것이 이 세상 마지막 인사가 될지라도 / 사랑하였으므로 나는 진정 행복하였네라라는 대목을 고독한자의 행복을 노래한 것으로 해석하여 그림의 설명으로 곁들인 것입니다.


네 번째 표식은 클로드 모네에 대한 풍경은 하룻밤 사이에 그 의미를 드러내지 않는다라는 글이었습니다. 표지를 해놓은 이유는 제가 준비하고 있던 <양기화의 BOOK소리-유럽여행>편에서 미셀 뷔시의 <검은 수련> 읽기와 모네가 작품활동을 하던 지베르니를 방문했을 때의 느낌을 보완하기 위해서였습니다. 결과적으로는 초고를 유지하는 것으로 만족했지만 말입니다.


마지막으로 표식을 남긴 부분은 자신을 세상의 중심에 세운 순진무구한 거짓말쟁이라는 제목으로 앙리 루소를 소개한 부분입니다. 작가는 앙리 루소를 못그린 그림으로 훌륭한 화가가 된 사람이라고 소개합니다. 작가는 여기에서 잘 그린 그림에 대한 나름의 기준을 소개합니다. “일단 시각적으로 매우 세련되고 조화로원 보기에 즐거울 때 사람들은 그것을 일반적으로 잘 그린 그림이라고 말합니다.”라고 했습니다. 하지만 눈에 보기 좋은 것이 전부는 아니라고 단서를 달았습니다. 그러면서 수정한 기준은 그 나름의 독특하고 의미 있는 조형적, 미학적 가치를 지닌 작품이야말로 진정한 의미의 잘 그린 그림이라고 한다는 것입니다. 그림을 모르는 제가 보기에는 앙리 루소의 그림은 잘 그린 그림 같아보지는 않았던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