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마트에서 울다
미셸 자우너 지음, 정혜윤 옮김 / 문학동네 / 2022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아내의 추천으로 읽게 된 책입니다. 이 책을 쓴 한국계 미국인인 미셸 자우너는 인디 팝 밴드 재패니즈 브렉퍼스트의 가수입니다. 이 책은 미셸이 H마트라는 한인 잡화점에서 장을 보면서 어머니에 대한 추억과 그리움을 되살린다는 내용의 수필을 <뉴요커>에 기고하여 수많은 독자들의 반향을 불러일으키면서 시작됐다고 합니다. H마트는 한아름 마트를 줄인 것으로 미국 14개 주에 걸쳐 70여개의 가게가 영업중이라고 합니다. 이 가게예서는 만두피, , 뻥튀기, 조리퐁을 비롯하여 갖가지 밑반찬 등 한국 먹거리를 팔 뿐만 아니라 식당가에서는 뚝배기에 담은 찌개는 물론 떡볶이까지 파는 한국 음식 전문점과 탕수육, 짬뽕, 볶음밥과 짜장면 등 한국식 중식당이 있어서 그야말로 미국에 살고 있는 한국 사람들에게는 고향의 맛을 즐길 수 있는 보물창고와 같다고 합니다.


한국에서 근무하던 미국 남자와 결혼한 엄마는 작가가 한 살 때 한국 사람이 별로 살지 않는 오레곤 주의 유진에 정착을 하게 되었다는데, 하나 밖에 없는 딸을 엄격하게 키웠다고 합니다. 자녀의 삶을 스스로 결정하고 책임을 지게 하는 미국 엄마들과 달리 딸의 외모, 화장, 옷차림, 공부 등 사사건건 간섭했다는 것입니다. 이와 같은 엄마의 간섭에 딸은 저항감을 느낄 수밖에 없었는데 다만 먹는 것만큼은 한국음식을 맛있게 만들어 주었다고 합니다.


엄마의 간섭으로부터 탈출하기 위하여 동부에 있는 대학에 진학하면서 엄마의 마음을 조금씩 이해할 수 있게 되었는데, 호사다마라고 엄마가 암으로 진단을 받게 됩니다. 유진에 있는 집으로 돌아와 엄마를 간병하기 시작했지만 엄마는 결국은 죽음을 맞게 되었습니다. 엄마를 잃고서도 엄마가 해주던 음식의 맛을 기억하는 작가는 엄마가 해주던 음식을 직접 만들어 먹으면서 기억만은 생생히 남았다. 이제 엄마를 기억합니다. 그러니까 엄마가 돌아가신 뒤로 나는 H마트에만 가면 운다라고 시작하는 <H마트에서 울다>는 작가의 절절한 사모곡인 셈입니다.


막내 이모가 대장암으로 타계한 2년 뒤에 이번에는 엄마가 췌장암으로 진단받은 것입니다. 평소에 배가 아팠는데도 병원에 잘 가지 않았다고 합니다. 병은 때가 되면 낫는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랍니다. 옛날 사람들 가운데 그런 분들이 많은 편입니다. 아마도 한의원이든 병원이든 가는 것이 쉽지 않던 시절을 살아냈기 때문일 것입니다. 결국 췌장암 4기로 진단을 받았고 수술을 받지 않으면 생존율이 3퍼센트라고 했습니다.


대서양 연안의 필라델피아에서 공연을 하고 있던 그녀는 공연을 접고 태평양 연안의 유진에 있는 엄마에게 달려가 간병에 나섰습니다. 상태가 별로 좋지 않은데도 불구하고 가족들은 서울에 있는 이모를 만나 함께 제주로 여행하기로 했습니다. 아마도 작별하는 과정으로 생각한 듯합니다. 하지만 장거리 여행으로 한국에 도착해서는 입원을 해야 했고, 병세가 어느 정도 회복되자 유진으로 돌아가 남자친구와 결혼식을 올리기로 했습니다. 결혼식에서 신랑과 신부는 카펜터스의 <비오는 날과 월요일, Rainy Days And Mondays>에 맞춰 첫 춤을 추었다고 합니다. 저도 좋아하는 노래입니다. 비내리는 월요일 아침, 우울하고 쓸쓸한 분위기 속에서 지난 사랑의 기억을 떠올리며 그리워한다는 노랫말인데도 결혼식에서 들었다는 것도 대단한 것 같습니다.


어떻든 엄마가 살아계시는 동안 결혼도 하고 간병도 한 그녀의 효심이 대단한 것 같습니다. 결혼식을 마치고 얼마가 지나 엄마가 타계하였습니다. 아내를 잃은 아빠는 술에 의지하는 날이 많았지만, 그녀는 엄마를 생각하면 한국 음식을 만들고 노래를 지었습니다. 이 무렵 엄마는 간병하는 동안 고향집에서 만든 노래가 주목을 받았습니다. 악단 이름을 일본식 아침식사( Japanese Breakfast)라고 한 이유는 아마도 한류의 열풍이 불기 전이었기 때문이 아니었을까 싶습니다. <H마트에서 울다>를 통하여 암환자를 간병하는 일에 대하여 생각해보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