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인 이야기 12 - 위기로 치닫는 제국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12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200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위기로 치닫는 제국이라는 부제가 달린 <로마인 이야기12>는 서기 211년부터 284년까지의 기간을 다루었습니다. 11권까지의 로마인 이야기들의 공통점은 황제들의 재위기간별로 나누어 놓았던 것과는 달리 제1부 로마제국3세기 전반, 2부 로마제국3세기 후반, 3부 로마제국과 기독교 등으로 구분해 놓았습니다. 2세기에도 황제들이 난립했던 시기가 있었습니다만, 3세기에는 73년의 기간 동안 무려 22명의 황제가 제위에 올랐기 때문인데 그 가운데는 고르디아누스1세는 보름 만에 자살로 끝났을 뿐 아니라 재위 기간이 가장 길었던 갈리에누스 황제는 재위 15년이 되던 해에 암살당했습니다. 헤아려보니 22명의 황제들 가운데 14명이 암살을 당했다고 합니다. 3부에서 기독교 문제를 별도로 적은 것은 기독교가 로마제국의 쇠퇴와 연관이 있기 때문으로 본 것 같습니다.


로마제국이 위기상황에 들어서는 단초는 카라칼라 황제가 로마제국의 속주민들에게도 로마제국의 시민권을 부여했기 때문이라고 보았습니다. 카라칼라 황제 이전에는 속주민들은 제국에 기여한 바가 있어야 시민권을 부여받았을 수 있었습니다. 일종의 취득권이었던 시민권이 이제는 기득권이 된 것입니다. 저자는 로마제국의 시민권이 기득권화가 불러온 파장으로 1. 시민권자들의 기개와 긍지가 사라졌고, 2. 속주민들의 향상심과 경쟁심이 사라졌으며, 3. 공짜로 시민권을 취득한 속주민들은 제국에 대한 충성심도 사라졌다고 보았습니다. 로마가 로마인 이유를 잃어가는 결정적 계기가 되었다는 것입니다.


3세기 이전에도 로마군단을 이끌던 군단장을 경험한 황제들이 대부분이었습니다만 그래도 원로원의 인정이 전제가 되었습니다만, 알렉산드로 세베루스 황제가 암살된 뒤로 50년간은 원로원의 의향 따위는 완전히 무사하고 군단이 사령관을 황제로 추대하는 군인황제의 시대가 되었습니다. 앞서도 이 시기의 황제 22명 가운데 14명이 암살을 당했다고 했습니다만 암살의 사연도 가지가지였습니다. 물론 암살을 주도한 자들은 황제의 최측근이었습니다. 이렇듯 최측근에 의하여 암살된 황제가 이어지고 있는데도 황제가 된 장군들은 하나 같이 신변보호를 강화하지 못한 이유가 무엇이었는지 의문입니다.


광활한 영토를 경영하던 로마제국은 특히 도나우 강을 국경으로 마주한 게르만족과 유프라데스 강과 티그리스 강을 경계로 삼았던 페르시아 제국과의 국경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것이 중요했습니다. 따라서 황제는 군단을 경영한 군인으로서의 자질이 필요했을 뿐만 아니라 제국 경영의 중심이 되는 원로원이나 각지에 흩어져 있는 군단을 총괄하는 경영자로서의 자질을 겸해야 했습니다만, 군인 황제의 경우는 전장을 누비다보니 경영자로서의 자질을 갖추기에는 부족한 점이 많았던 것입니다.


제국을 둘러싼 이민족들의 세력이 커졌던 것도 로마제국이 위기로 치닫게 되는 가장 큰 이유였을 것입니다. 우선 야만족으로 치부되었던 도나우 강 건너 게르만족도 로마와의 교류를 통하여 수준이 향상되었으며, 전투와 외교로 유지되던 파르티아 왕국을 무너뜨리고 들어선 사산조 페르시아는 알렉산드로스 대왕에게 멸망한 페르시아의 부흥을 앞세우고 로마제국이 차지한 영토를 회복하겠다는 기치를 드높이고 있었던 것입니다.


그리고 3세기 들어 그리스도교가 확산된 것도 로마제국을 약화시키는데 기여했다고 보았습니다. 그리스도교가 로마제국에 충성을 다하지 않은 것은 여러 신을 섬긴 로마제국에서는 황제를 신격화하는 경향이 있었기 때문에 하나님 이외의 신을 배격하는 그리스도교의 전통에 따른 것이라고 해석하였습니다. 흔히 로마제국에 기독교가 스며드는 과정에서 많은 박해가 있었다고 이해하고 있습니다만, 실제로는 일시적이었으며 박해의 대상도 그리스도교의 지도자에 국한되었다고 합니다. 그리스도교가 철저하게 탄압받은 것은 4세기 초의 디오클레티아누스 황제의 시기라고 합니다. <로마인 이야기13>에서 탄압의 실상을 읽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