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인 이야기 10 -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 로마인 이야기 시리즈 10
시오노 나나미 지음, 김석희 옮김 / 한길사 / 2002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모든 길을 로마로 통한다라는 부제가 달려있는 <로마인 이야기10>는 지금까지 읽어온 <로마인 이야기>와는 형식과 내용이 전혀 달랐습니다. 저자는 <로마인 이야기>을 기획하면서 로마제국의 가회간접자본에 대하여 이야기하려는 계획을 가지고 있었다고 합니다. 부제까지도 모든 길을 로마로 통한다로 정해놓았다고 합니다. 로마 사람들은 사회간접자본의 중요성을 일찍 깨우치고 있었다는 것을 발견했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문제는 자료조사를 통해서 고대 로마의 사회간접자본에 대한 저술, 즉 관련자료를 찾아볼 수 없었다는 것입니다. 로마인이 생각하고 있던 사회간접자본의 범주가 너무 방대하여 이를 종합적으로 다룰 수 있는 연구가 불가능했던 까닭이라고 했습니다. 아마도 로마제국의 유럽, 북아프리카 및 중동 등 광대한 영역에서의 사회간접자본의 발전과정을 종합적으로 검토한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사실을 로마제국의 연구하는 학자들이 일반적으로 가지고 있던 생각이라는 것입니다.


사회간접자본(infrastructure)를 굳은 모(hardware)와 무른 모(software)로 구분한다고 했을 때, 로마사람들은 굳은 모 영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도로, 교량, 항만, 신전, 공회당, 광장, 극장, 원형경기장, 공중 목욕탕, 수도 등 모든 것을 포함하명, 무른 모 영역에는 국방, 치안, 조세, 의료, 교육, 우편, 통화 등의 영역을 포함한다고 인식했다는 것입니다.

결국 저자는 로마제국의 사회간접자본 가운데 굳은 모에 해당하는 가도, 다리, 그리고 수도를, 무른 모에 대항하는 의료와 교육 부문을 정리해서 이 책에 담기로 정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사회간접자본의 셩격상 문장으로 설명하기보다 그림이나 사진으로 보는 것이 이해를 빠르게 하므로 지도, 도면, 사진 등을 많이 실을 수밖에 없었다고 합니다.


로마제국의 본산이라 할 이탈리아를 비롯하여 로마제국의 영토였던 유럽과 중동 지방에 흩어져 있는 로마유적을 볼 기회가 있었기 때문에 로마제국의 사회간접자본 가운데 굳은 모에 해당하는 유적들을 볼 기회는 많았습니다. 아피아 가도를 비롯하여 남프랑스 아를 인근에 있는 퐁 뒤 가르, 영국의 바스에서 본 로마 욕탕 등 로마제국이 남긴 사회간접자본을 실제로 볼 기회가 있었습니다. 2000년 가까운 세월이 지나도록 원형에 가까운 구조를 지켜온 것들을 보면서 로마사람들에 찬탄을 금치 못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하지만 무른 모에 해당하는 교육이나 의료 체계를 실제로 볼 기회가 없었습니다. 다만 인상적인 것은 로마제국이 의사나 교사를 양성하기 위하여 직접 투자를 한 증거는 없습니다. 오히려 공적 기관을 설리하여 그것으로 의료나 교육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애쓰지 않고, 의사와 교사들을 자유 시장으로 내보냈다는 것입니다. 즉 의학교육에 투자하기 보다는 속주 등의 인력을 시민권을 부여하는 등의 유인책을 쓰면서도 자유롭게 학교나 병원을 개설할 수 있게 해주었다는 것입니다. 결과적으로 이런 정책이 수도 로마에만 혜택이 돌아간 것이 아니라 주둔 군단을 중심으로 속주에까지 파급되었다는 것입니다.


저자는 카이사르가 생각하고 아우구스투스가 정책화한 로마 제국의 의료체계는 로마인의 생사관을 반영했던 것으로 추정합니다. “수명이 다하면, 살려고 바둥거리지 않고 깨끗이 죽겠다.() 수명이 다하면 순순히 하늘로 올라가는 것이 어차피 죽음을 변할 수 없는 인간이 취해야 할 태도라는 것이 로마인의 생사관이다. 로마인의 묘비에는 DM이라는 두 글자로 시작되는 경우가 많다. ‘사자(死者)를 양쪽에서 부축하여 하늘로 데려가는 두 천사에게라는 의미를 가진 약자다. 로마인들은 자기가 죽으면 두 천사가 데리러 와서 두 팔을 잡고 하늘로 데려갈 거라고 믿고 있었다.(312)”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