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유를 위한 희생
마거리트 히긴스 지음, 이현표 옮김 / 코러스(KORUS) / 2009년 3월
평점 :
품절


발칸여행길에 읽은 다섯번째 책입니다. 이번여행길에 이 책을 담은 이유는 이 지역이 그리 멀지않은 과거에 끔찍한 인종청소의 만행이 벌어진 곳이란 점을 고려하여 민족 상잔의 비극을 되새겨보자는 생각이었습니다.그리고 이책이 6.25동란 발발 직후부터 흥남철수에 이르기까지의 미군의 대응을 기록했다는 점에서 최근에 제기되고 있는 남침유도설 심지어는 북침설의 허구성을 밝혀줄 것으로 기대되었기 때문입니다.

마거리트 히긴스 기자는 뉴욕 헤럴드 트리뷴지의 도쿄특파원으로 6.25동란이 발발한 이틀 후서울에 도착한 이래 흥남철수에 이르기까지 현장을 지키며 전쟁의 향방을 지켜보았으며, 1951년 초에는 6.25동란에 관한 세계 최초의 단행본 <War in Korrea >를 집필했습니다. <자유를 위한 희생>은 그녀의 <War in Korrea >를 우리말로 옮긴 것입니다.

역시전쟁의 발발에서 부터 초반 대응과정을 보면 북한은 소련과 중국의 지원을 받아 전쟁을 치밀하게 준비했다는 정황이 분명했습니다. 반면 한국이나 미국은 전쟁이 북한이 침공할 것이라고는 전혀 생각하지 않은데다가 북한을 비롯한 소련이나 중국의 동향을 파악하지 못하고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전쟁의 발발에 대한 대응은 매우 신속했습니다.

히긴스기자는 제2차 세계대전이 종료된 이후 공산세계는 말로는 평화를 얘기하면서 전쟁을 준비해온데 반해 미국은 핵무기의 보유만으로 안보가 지켜질거란 자기만족과 독단에 사로 잡혀 있었다고 지적합니다. 그리하여 한국전쟁을 통하여 미국이 얼마나 약체인지 여실히 보여줬고, 무장의 필요성과 강하고 거칠게 싸우는 보병을 양성하는 것이 얼마나 절실한지를 깨닫게 해줬다고 맗했습니다. "대한민국은 세계인들을 잠에서 깨우는 일종의 국제적인 자명종 시계의 역할을 한 것(14)"이라고 했습니다.

사실 개전 조기에 투입된 미군도 밀려오는 북한군을 저지하기에 역부족이었습니다. 그리하여 미 본토에서 지원부대가 도착할 때까지 적의 진격을 막는 지연작전으로 일관했던 것입니다. 그런데 지원부대라는 병력도 전쟁을 수행할 능력이 충분치않아서 전장에서 희생되면서 전투력을 키워가는 형편이었습니다. 천행으로 미군의 이런 사정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한 북한군이 밀어붙이지 못하는 사이에 지원군이 도착했을 뿐 아니라 적의 허를 찌르는 인천상륙작전이 성공마면서 전세를 뒤집을 수 있었습니다.

그런데 미국이 많은 희생을 무릅써가면서 이 전쟁을 수행했는가 하는 의문이 생깁니다. 전쟁 초기에 허둥대거나 심지어 도망치는 모습을 보이던 이국 병사들을 보면서 히긴스기자는 "앞으로 한국전쟁보다 훨씬 더 중요한 전쟁을 수행하게 될지도 모를 미국은 이러한 사실에 철저히 대비해야 한다(119)"라고 지적했습니다.

그리고 전투가 이어지면서 미군 병사들의 인식에 변화가 생겼다고 적었습니다. "미국 병사는 자신이 우리를 위협하는 흉측한 적들과 싸우고 있으며, 가능한 한 조국과 멀리 떨어진 곳에서 그들과 싸워 이기는 것이 최선이라고 이해했다"라는 것입니다. 아마도 이 대목에서 미국의 참전 이유를 유추해볼 수 있지 싶습니다.

6.25동란을 호도하려는 세력들의 교묘한 선전선동에 속아넘어가지 않기 위해서 전후 세대들이 꼭 읽어야할 책이란 생각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