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한 열정 (양장) -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99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99
아니 에르노 지음, 최정수 옮김 / 문학동네 / 2012년 11월
평점 :
절판


2022년에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아니 에르노를 처음 만난 것은 <바깥일기>였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그 무렵 지하철 등 공공의 장소가 마치 개인 사무실이라도 된 양 커다란 목소리로 시시콜콜한 이야기를 떠들어대는 사람들의 목소리를 지겨워하던 중에 떠오른 신박한 생각을 구체화하던 때입니다. 그렇게 떠드는 목소리를 녹음해서 한 편의 이야기를 구성할 수도 있겠다는 생각입니다. 마침 <바깥일기>는 그런 생각을 구체화하는데 도움이 되었던 것입니다.

그녀의 작품들은 자전적 소설, 사회적 전기형 자서전, 일기 등 자신의 삶을 소재로 하는 것들이 많다고 합니다. 지난 세기 말부터의 프랑스문학을주도한 이런 흐름은 '자아의 글쓰기'라고 요약된다고 합니다. 기억. 치매, 암 등 아니 에르노가 다루었던 주제들은 저 역시 관심이 많은 것들입니다. 아마도 단순한 열정을 읽게 된 것도 아니 에르노에 대한 관시미 최근에 높아졌기 때문이지 싶습니다.

책을 읽기 시작하면서 바로 든 생각이자, 책을 모두 읽고 나서도 머리를 떠나지 않는 것은 작가가 자신의 불륜을 솔직하게 고백했다는 것입니다. 들어가기에 해당하는 글을 "올여름 나는 텔레비전에서 포르노 영화를 보았다.(9)"라고 시작합니다. 성에 대하여 관대한 프랑스라고 해도 설마 공영방송에서 도색영화를 상영한 것은 아닐 것 같습니다. 그럼에도 작가가 도색영화의 장면을 노골적으로 묘사한 것은 자신의 불륜에 관한 이야기를 풀어가기 위하여 꼬투리를 풀어내기 위한 장치로 보입니다. 실제로 작가는 "아마도 이번 글쓰기는 이런 정사 장면이 불러일으키는 어떤 인상, 또는 고통, 당혹스러움, 그리고 도덕적 판단이 유보된 상태에 줄곧 매달리게 될 것 같다. (10)"라고 들어가는 글을 마무리합니다.

그리고 그 사람과의 사랑이야기를 "작년 9월 이후로 나는 한 남자를 기다리는 일, 그 사람이 전화를 걸어주거나 내 집에 와주기를 바라는 일 외에는 아무 것도 할 수 없었다.(11)"로 시작합니다. 청춘이건 장년이건, 노년이건 사랑은 아름다운 것입니다. 그런데 그 사랑이 배우자가 있는 사람이 배우자가 있건 그렇지 않은 사람과 사랑에 빠지는 상황은 대부분의 사회에서지탄을 받기 마련입니다. 그래서 그런 사실을 드러내지 않고 숨기려는 경향이 있는건데, <단순한 열정>의 작가는 배우자가 있는 남자와의 사랑놀음을 까발리기로 한 것입니다. 앞서 이야기한 '자아 글쓰기'의 주제에 한계가 없음을 보여주려는 생각이었던 모양입니다.

불륜상대의 아내에게 들키지 않으려는 심모원려를 아끼지 않는 것을 보면 화자는 자신의 불륜에도 진심이었던 것 같습니다. 이런 관계가 깊어지면 배우자가 있는 쪽이 혼인관계를 파하고 불륜 상대와 혼인관계를 맺으려 들 때 파국적 상황을 맞게 됩니다. 그렇지 않고 불륜관계를 이어 간다는 것은 두 사람이 진정 사랑은 한 것일까요?

두 사람의 관계도 남자가 본국으로 돌아가면서 끝나게 되었습니다. 화자는 다시는 그 사람을 만나지 못할 것을 예감하고 온몸이 아팠다고 했다. 처음에는 고통이 극심했지만 사람은 변하는 사정에 맞춰 살기 마련입니다. 그 사람과의 지난 날을 회상하는 것으로 상실감을 달래다가 결국 그 사람과 공유했던 시간들을 기록하기 시작했고, 그 결과물이 <단순한 열정>이 된 셈인데, 아무리 생각해봐도 단순할 수 없는 열정이었다고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