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판
로베르트 제탈러 지음, 이기숙 옮김 / 그러나 / 2019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벤 슈틸리히가 <존재의 박물관>에서 소개하여 읽게 된 책입니다. <들판>을 읽었더니 장소, 사람 또는 세상을 떠날 때 우리가 남기는 것은이라는 부제가 달린 <존재의 박물관>에서 <들판>을 인용한 이유가 분명해졌습니다.


<들판>의 목차를 보면 모두 30꼭지의 이야기가 담겼습니다. 첫 번째 이야기 그들 목소리를 제외하고 나머지 29꼭지의 글 제목은 모두 남자와 여자의 이름입니다. ‘작가는 무슨 이야기를 하려는 것일까하는 의문 속에서 책을 읽기 시작했습니다. ‘그들 목소리남자는 앞쪽 풀밭에 흩뿌린 듯 박혀 있는 비석들을 내려다보았다.”로 시작합니다. 화자가 와 있는 장소는 조그마한 마을 파울슈타트의 공동묘지입니다. 많은 이들이 그냥 들판이라고 불렀던 곳인데, 페르디난트 요나스라는 목장주의 휴경지였다고 합니다. 그래서 들판이라고 불렀던 것인지, 시에서 그 휴경지를 사들여 공동묘지로 만든 뒤에 생긴 이름인지는 분명치가 않습니다.


특이하게도 화자는 들판이라고 불리는 공동묘지를 매일 찾아 자작나무 아래 앉아 죽은 사람들에 대해 생각합니다. 공동묘지에 묻혀있는 많은 이들은 화자가 개인적으로 알고 지냈거나 살면서 적어도 한번은 만난 적이 있습니다. 그래서 화자는 그들의 얼굴을 떠올리려고 애쓰며 기억의 조각들을 모아 완성한 그림이 바로 <들판>이 된 셈입니다. “남자는 죽은 이들의 말소리가 들린다고 굳게 믿었다라고 고백한 것을 보면 제정신이 아닌 화자가 만들어낸 이야기일 수도 있겠습니다.


그들 목소리에 이어지는 29명의 인물들의 이야기를 읽어가다 보면 장삼이사의 삶에서 툭 튀어나오는 단편적인 이야기에 저 스스로 공감하게 됨을 느끼게 됩니다. 예를 들면 암은 악마같이 끔찍한 병입니다. 수년간 몸 안에 암을 품고 다니면서도 아무 것도 모르다가 갑자기 발병하거든요.(110)”라는 대목인데, 아마도 제가 암을 진단받아 수술을 받은 적이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늙어서 하찮아지지 않는 유일한 방법은 자신의 하찮음을 인정하는 것(178)”이라는 대목도 제가 늙었기 때문에 공감하는지도 모릅니다.


물론 쉽게 이해되지 않는 대목도 있습니다. 예를 들면 할아버지를 찾아 체스를 두는 소냐 마이어스는 액자에 끼워진 할머니의 사진 뒤에 적힌 글을 읽게 됩니다. “III/3/21 / 나는 병을 얻고 / 내 비극에서 / 주인공 역할을 하다가 / 죽었다. / 비극의 제목은 이렇다. / ‘모든 것이 헛되도다’” 할머니의 삶이 짧지 않았을 터인데 그 긴 삶을 왜 비극이라고 했을까요? 할아버지와 함께 살아낸 세월이 그저 헛되기만 했을까요? “나는 인생이 살아볼 만하다는 사실을 깨달았다는 게르트 잉걸란트의 생각을 적은 화자라면 소냐 마이어스의 이야기와는 사뭇 다른 이야기라서 그 이유를 밝혔어야 하지 않을까요?


아주 신박한 대목도 있습니다. 시력이 나빠졌지만 안경 쓰기를 거부했다는 화자의 이야기입니다. “누가 안경 이야기를 꺼내면, 어차피 이렇게 살아온 데가 이젠 주변 사물이 갈수록 흐릿해지는 게 마음이 편하다고 말했다는 것입니다. 학생 때부터 안경을 써온 저로서는 세상이 흐릿해 보이는 것이 그저 불편했습니다. 그래서 나이가 들어 노안이 올 때까지도 기를 쓰고 나빠지는 시력을 보정하려 안경 돗수를 올려왔던 것입니다. 그러다보니 고도근시가 되고 말았기 때문에 이제는 안경을 벗어던질 수가 없게 되었습니다.


아직 삶을 같이 할 짝을 찾지 못하고 있는 작은 아이에게 들려주고 싶은 대목도 있습니다. “네게 맞는 여자를 찾으려고 애쓰지 마라. 그런 여자는 없어. 너한테 맞는 여자를 찾았다고 믿는 순간, 그 여자는 너와 맞지 않는 사람이라는 게 드러날 거야. 어쨌든 맞지 않더라도 그 여자와 좋은 점을 많이 찾으려고 노력한다면 즐거움을 느낄 수 있을 거다. 실제로도 그렇고.(55)” 어찌 보면 저의 이야기인 것 같기도 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