팡세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83
B. 파스칼 지음, 이환 옮김 / 민음사 / 2003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꽤 오래 전에 읽었는데 독후감쓰기가 늦어졌습니다. 블레즈 파스칼의 <팡세>를 읽기로 한 것은 인간은 생각하는 갈대다라는 유명한 명제를 직접 확인해보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확인해본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인간은 자연에서 가장 연약한 한 줄기 갈대일 뿐이다. 그러나 그는 생각하는 갈대이다. 그를 박살내기 위해 전 우주가 무장할 필요가 없다. 한번 뿜은 증기, 한 방울의 물이면 그를 죽이기에 충분하다. 그러나 우주가 그를 박살낸다 해도 인간은 그를 죽이는 것보다 더 고귀할 것 이다. 인간은 자기가 죽는 다는 것을, 그리고 우주가 자기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알기 때문이다. 우주는 아무것도 모른다.(213)” 인간을 왜 갈대에 비유했는지는 분명치가 않아 보입니다.


<팡세>의 구성은 몽테뉴의 <수상록>과 닮았습니다. 그런데 차이점이라고 한다면 몽테뉴는 아예 작정을 하고 <수상록>의 집필에 들어갔다면, 파스칼의 <팡세>는 미리 기획을 하고 글을 써나간 것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파스칼이 그때그때 기억나는 사건과 연관된 단상들을 기독교적 신앙을 바탕 삼아 써놓은 글들을 그의 사후에 유족들이 엮어서 책으로 만든 것입니다.


사실 파스칼(1623~1662)은 몽테뉴(1533~1592)보다 거의 한 세기 뒤의 인물입니다. 몽테뉴는 종교개혁의 이후 신교와 구교 사이에 끔찍한 내전이 벌이던 시대를 살았습니다. 신을 앞세운 인간들의 광기를 지켜보면서 몽테뉴는 삶에 회의가 들었을 것입니다. 그래서 무신론을 주장한 인본주의자라 할 수 있습니다, 반면 파스칼은 신앙에서 길을 찾은 기독교인 이었습니다.


파스칼은 몽테뉴의 <수상록>을 성경 다음으로 많이 읽었다고 하는데, 그만큼 영향을 많이 받았을 터이나 <팡세>를 보면 몽테뉴에 대한 묘한 반감을 담은 대목들이 적지 않습니다. 예를 들면 이런 식입니다. “몽테뉴의 생각은 잘못이다. 그는 습관을 따르는 것은 단지 그것이 습관이기 때문이지 합리적이거나 정당하기 때문이 아니라고 한다. 그러나 민중은 정당하다고 믿는 단 하나의 이유로 습관을 따른다. 그렇지 않으면 아무리 그것이 습관이라 해도 따르지 않을 것이다. 사람들은 오직 이성과 정의에만 복종하고 싶어하기 때문이다. 습관은 이런 것들 없이는 폭군적인 것으로 받아들여질 것이다. 그러나 이성과 정의의 지배도 쾌락의 지배 못지않게 폭군적이다. 이 모든 것은 인간에게 자연적인 원리들이다.(106)”


글을 쓰고 있어서인지 새겨둘만한 대목이 있었습니다. “한 작품을 만들 때 최후로 깨닫는 것은 무엇을 제일 먼저 써야 할지를 아는 일이다.(17)” 건강과 관련된 내용을 정리해보려고 생각하고 있기 때문인지 이런 대목도 챙겨보았습니다. “우리는 오류의 또 다른 원리를 가지고 있다. 다름 아닌 병이다. 병은 우리의 판단과 감각을 해친다. 중한 병이 현저하게 손상시킨다면 가벼운 병도 그 정도만큼 작용한다는 것을 나는 의심치 않는다.(61)”


이런 대목도 있습니다. “사람은 건강할 때, 만약 병에 걸리면 어떻게 할까 하고 기이하게 여긴다. 그러나 병에 걸리면 기꺼이 약을 먹는다. 고통이 그렇게 시키는 것이다. 그때 사람은 건강이 주었던 오락이나 산책의 욕망을 더 이상 갖지 않게 된다. 이것들은 병이 요구하는 것과 양립할 없는 것들이다. 자연은 현상태에 적합한 정열과 욕망을 준다. 우리의 마음을 어지럽히는 것은 자연이 아니라 우리가 우리 자신에세 주는 두려움뿐이다. 이 두려움은 지금의 우리 상태에, 우리가 있지 않은 상태의 욕망들을 덧붙이기 때문이다.(88)”


마지막으로 하나 더 들어보겠습니다. “우리는 우리 자신을 너무나도 모른다. 그래서 건강할 때 죽어간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죽음이 임박했을 때 건강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다. 열병이 다가오고 농창이 생기려는 것을 모르기 때문에(89)”


파스칼이 독실한 기독교인이었던 탓에 종교적인 신념이 어찌 보면 편견처럼 느껴지는 대목이 적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